반응형

 

 

🔹 미쓰비시 서보 앰프(MR-J 시리즈) 내부 배터리 교체 방법

서보 앰프(Servo Amplifier) 내부 배터리는 앱솔루트(Absolute) 엔코더의 위치 데이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위치 데이터가 손실되므로, 정기적인 교체(일반적으로 3~5년 주기) 가 필요합니다.


📌 1. 교체 전 준비 사항

서보 앰프 모델 확인 (MR-J2S, MR-J3, MR-J4 등)
배터리 모델 확인

  • MR-BAT6V1 (MR-J2S, MR-J3 시리즈)
  • MR-BAT6V1SET (MR-J4 시리즈)
    PLC 및 서보 앰프 전원 차단
    교체 중 위치 데이터 유지가 필요하면 서보 앰프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교체 진행

📌 2. 배터리 교체 방법 (전원 OFF 상태에서 교체 권장)

① 서보 앰프 전원 차단

  • PLC 및 서보 앰프의 전원을 OFF 하고 잔류 전압이 방전될 때까지 5분 이상 대기
  • 감전 및 오작동 방지를 위해 완전히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작업

② 서보 앰프 배터리 커버 제거

  • 서보 앰프 전면의 배터리 커버를 열고 기존 배터리 위치 확인
  • MR-J2S 및 MR-J3 시리즈: 배터리는 CN1A 커넥터 옆에 위치
  • MR-J4 시리즈: 배터리는 CN3 커넥터 옆에 위치

③ 기존 배터리 제거

  • 배터리 커넥터를 조심스럽게 분리
  • 기존 배터리를 분리하고 폐기 (환경 규정에 따라 처리)

④ 새 배터리 연결

  • 새 배터리를 기존과 동일한 위치에 연결
  • 커넥터를 올바르게 꽂았는지 확인

⑤ 배터리 커버 장착 및 전원 ON

  • 배터리 커버를 다시 닫고 서보 앰프 및 PLC 전원을 켜기

📌 3. 배터리 교체 후 초기화 작업 (필요 시)

배터리 교체 후 알람이 발생하면 알람을 해제해야 함
앱솔루트 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 홈 위치 재설정 필요

① 배터리 알람 해제 (AL.33 또는 A.97 오류 해제)

  1. 서보 드라이브 전원을 OFF 후 ON
  2. Servo ON 신호 입력 (SON 신호 활성화)
  3. 알람 해제 후 위치 데이터가 유지되는지 확인

② 홈 위치 재설정 (앱솔루트 엔코더 사용 시)

  1. Servo ON을 활성화한 상태에서 원점 복귀 수행
  2. 원점 복귀 완료 후, PLC에서 위치 데이터 정상 여부 확인

📌 4. 주의 사항 (⚠)

🚨 배터리 교체 중 전원이 꺼지면 위치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음
🚨 앱솔루트 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배터리가 연결된 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 진행
🚨 배터리 교체 후 알람(A.97 등)이 발생하면 반드시 초기화 작업 수행


✅ 결론

미쓰비시 서보 앰프의 배터리는 앱솔루트 엔코더의 위치 데이터 유지에 중요합니다.
전원 OFF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앱솔루트 엔코더를 사용할 경우 전원 ON 상태에서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 교체 후 알람 해제 및 홈 위치 재설정을 꼭 확인하세요! 😊

반응형

🔹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 교체 방법 (MR-J 시리즈 기준)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MR-J 시리즈) 교체는 기존 드라이브의 설정 백업, 하드웨어 교체, 설정 복구 및 테스트 단계로 진행됩니다.


📌 1. 교체 전 준비 사항

PLC 및 시스템 전원 차단 (감전 및 장비 손상 방지)
기존 서보 드라이브의 파라미터 백업
서보 모터 및 케이블 상태 확인
교체할 새 서보 드라이브의 모델 확인


📌 2. 기존 서보 드라이브의 설정 백업

🔹 방법 1: FR Configurator2 소프트웨어 사용 (USB/RS-485 연결)

  1. PC에 FR Configurator2 프로그램 설치
  2. 서보 드라이브와 PC 연결 (USB 또는 RS-485 통신 포트 사용)
  3. 프로그램 실행 후 서보 드라이브 연결 및 파라미터 읽기
  4. 백업(파일 저장) 후 안전한 위치에 보관

🔹 방법 2: 서보 드라이브 내장 패널을 사용하여 직접 확인

  1. 서보 드라이브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주요 설정값 확인
  2. P000, P001, P002 등의 주요 파라미터 기록
  3. 기존의 게인 설정값 및 위치 데이터 확인 후 기록

📌 3. 기존 서보 드라이브 제거

서보 드라이브 전원 차단 후 5~10분 대기 (잔류 전압 방전)
모든 케이블(전원, 엔코더, 모터, 통신) 연결 위치 메모 후 분리
고정 나사 및 브라켓 해체 후 서보 드라이브 제거


📌 4. 새 서보 드라이브 설치 및 연결

새 서보 드라이브가 기존 모델과 호환되는지 확인 (전압, 통신 방식 등)
제어 케이블, 전원 케이블, 서보 모터 케이블을 기존과 동일하게 연결
PLC와 통신하는 경우 RS-485, CC-Link, EtherCAT 등의 설정 확인

🔹 케이블 연결 참고

신호명 기존 드라이브 연결 위치 새 드라이브 연결 위치

전원 입력 (L, N, PE) 기존 단자 확인 동일하게 연결
서보 모터 출력 (U, V, W) 기존 단자 확인 동일하게 연결
엔코더 피드백 CN2 커넥터 동일한 위치에 연결
통신 (CC-Link, Modbus 등) RS-485, CN3 동일하게 연결

📌 5. 파라미터 복구 및 설정

PC 소프트웨어(FR Configurator2)로 백업한 파라미터 복원
내장 패널에서 기존에 기록한 설정값 입력
새 서보 드라이브의 기본 파라미터 확인 및 조정
PLC와 통신하는 경우 통신 설정 (전송 속도, 노드 번호 등) 확인


📌 6. 테스트 및 시운전 (Run Test)

수동 모드로 서보 모터 구동 테스트
위치 제어 및 속도 제어 정상 동작 확인
비상 정지(EMG) 및 알람 기능 점검
서보 드라이브 상태 표시(디지털 패널) 확인


📌 7. 최종 점검 및 완료

PLC 및 전체 시스템과의 연동 확인
배선 정리 및 고정 나사 점검
이상 없을 시 정상 운영 시작


💡 ⚠ 교체 시 주의 사항

  • 전원 차단 후 최소 5~10분 대기 (잔류 전압 방전 주의)
  • 기존 서보 드라이브 모델과 새 모델이 호환되는지 확인 (전압, 제어 방식 등)
  • PLC와 연결된 경우 통신 설정 및 파라미터 동기화 필수
  • 최초 작동 시 저속으로 테스트 후 정상 여부 확인

✅ 결론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 교체는 백업 → 제거 → 설치 → 설정 복구 → 테스트 순서로 진행됩니다.
PLC와 연동된 경우, 파라미터 및 통신 설정을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

 

 

🔹 PLC와 서보 모터 연결 구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서보 모터(Servo Motor)는 공장 자동화 및 정밀 제어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조합입니다. 서보 모터를 PLC와 연결하려면 서보 드라이버(Servo Driver) 를 사용하여 통신하고 제어해야 합니다.


📌 1. PLC와 서보 모터 연결 개요

PLC는 서보 모터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서보 드라이버를 통해 제어 신호를 보냅니다.
서보 드라이버는 PLC에서 받은 신호를 해석하여 서보 모터를 구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본 연결 흐름:
PLC → 서보 드라이버 → 서보 모터
서보 엔코더 → 서보 드라이버 → PLC 피드백


📌 2. 연결 방식 (제어 신호 유형에 따른 차이점)

① 펄스(Pulse) 및 방향(Direction) 방식

소형 PLC 및 간단한 위치 제어에 사용
✅ PLC에서 펄스(Pulse) 및 방향(Direction, CW/CCW)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드라이버로 전송
✅ 서보 드라이버가 이 신호를 받아 서보 모터의 속도 및 위치를 제어

🔹 연결 신호

  • 펄스(PUL+, PUL-) → 모터의 회전 속도 결정
  • 방향(DIR+, DIR-) → 회전 방향 결정 (정방향/역방향)
  • 서보 온(SON+, SON-) → 서보 모터 활성화
  • 알람(ALM+, ALM-) → 서보 드라이버 오류 감지

🔹 사용 PLC 모듈 예시

  • FX5-40SSC-S (MELSEC iQ-F 시리즈)
  • QD75P (MELSEC Q 시리즈)

② 아날로그(Analog) 신호 제어 방식

속도 제어(010V 또는 420mA) 방식
✅ PLC에서 서보 드라이버로 전압(010V) 또는 전류(420mA) 신호를 전송하여 속도 제어
✅ 위치 제어보다는 속도 및 토크 제어에 적합

🔹 연결 신호

  • 아날로그 속도 입력(VR+, VR-) → 0~10V
  • 아날로그 토크 입력(TR+, TR-) → 4~20mA
  • 서보 온(SON) → 서보 모터 활성화
  •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LSP, LSN) → 안전 기능

🔹 사용 PLC 모듈 예시

  • FX5-4DA (MELSEC iQ-F 시리즈, 아날로그 출력 모듈)
  • Q68DA (MELSEC Q 시리즈)

③ 통신 방식 (RS-485, Modbus, EtherCAT, CC-Link 등)

고정밀 및 다축 서보 시스템에서 사용
✅ PLC와 서보 드라이버가 직접적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
고속 데이터 처리 및 다축 제어 가능

🔹 주요 통신 방식

  • RS-485(Modbus RTU) → FX5U 및 Q 시리즈에서 사용 가능
  • CC-Link, CC-Link IE Field → 미쓰비시 PLC 전용 네트워크
  • EtherCAT, PROFINET → 고속 산업용 이더넷 통신

🔹 사용 PLC 모듈 예시

  • FX5-485ADP (RS-485 통신 모듈)
  • QJ71E71 (Ethernet 통신 모듈)

📌 3. 서보 모터의 피드백(Encoder 신호) 연결

서보 모터에는 엔코더(Encoder) 가 장착되어 있어, 회전 위치 및 속도를 측정하여 PLC 또는 서보 드라이버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인크리멘탈(Incremental) 엔코더 → A상, B상, Z상 펄스 출력
앱솔루트(Absolute) 엔코더 → 현재 위치 값을 직접 전송

🔹 연결 방식

  • 엔코더(A, B, Z 신호) → 서보 드라이버로 입력
  • 서보 드라이버 → PLC로 피드백 신호 전송

📌 4. 미쓰비시 PLC와 서보 모터 연결 예시

🔹 예제 1: FX5U + MR-JE 서보 드라이버 (펄스 제어)

  1. FX5U PLC의 고속 펄스 출력 포트(PTO) → MR-JE 서보 드라이버 입력
  2. PUL+, PUL- (펄스 신호) → 서보 모터 속도 제어
  3. DIR+, DIR- (방향 신호) → 회전 방향 결정
  4. 서보 드라이버에서 알람(ALM) 신호를 PLC로 피드백

🔹 예제 2: Q 시리즈 PLC + MR-J4 서보 드라이버 (CC-Link 통신)

  1. Q 시리즈 PLC에 CC-Link 마스터 모듈(QJ71PB92V) 장착
  2. MR-J4 서보 드라이버와 CC-Link 네트워크 연결
  3. PLC에서 서보 모터로 속도 및 위치 명령 전송
  4. 서보 드라이버에서 상태 및 위치 피드백을 PLC로 전송

📌 5. 결론

펄스(Pulse) 방식 → 단일 축 제어 및 간단한 위치 제어
아날로그(Analog) 방식 → 속도 및 토크 제어
통신 방식(CC-Link, Modbus, EtherCAT) → 다축 및 정밀 제어

미쓰비시 PLC와 서보 모터를 연결할 때는 제어 방식과 필요한 모듈을 확인하여 적절한 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

미쓰비시 PLC에서 동기 엔코더(Synchronous Encoder) 는 모터의 회전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 시스템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중요한 센서입니다. 이를 통해 정밀한 위치 및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 동기 엔코더의 기본 구조

미쓰비시 PLC에서 사용되는 동기 엔코더는 일반적으로 광학식(Optical) 또는 자기식(Magnetic)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1️⃣ 주요 구성 요소

  1. 디스크(Encorder Disk)
    • 광학식 엔코더: 투명한 원판에 슬릿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 자기식 엔코더: 자기 신호를 감지하는 패턴 포함
  2. 광원 또는 자기 센서
    • 광학식: LED 및 광 검출기(포토센서) 사용
    • 자기식: 홀센서(Hall Sensor) 또는 자기 저항 센서 사용
  3. 신호 처리 회로
    • 회전 신호를 전기적 펄스로 변환
    • A상/B상 및 Z상 펄스 생성(Incremental 방식)
    • 절대 위치 값을 출력하는 경우(Absolute 방식) 직렬 통신을 통해 데이터 전송
  4. 출력 신호
    • 증분형(Incremental): A상, B상, Z상 펄스 출력
    • 절대형(Absolute): BCD, 그레이 코드 또는 직렬 데이터 출력

🔹 동기 엔코더와 미쓰비시 PLC 연결

미쓰비시 PLC에서 동기 엔코더를 연결할 때는 고속 카운터 모듈(High-Speed Counter Module) 또는 서보 증분형 엔코더 입력 모듈을 사용합니다.

1️⃣ 연결 방식

  • 증분형(Incremental) 엔코더: A상, B상, Z상 3선 신호 입력
  • 절대형(Absolute) 엔코더: 병렬(Gray/Binary) 또는 직렬(Ssi, EnDat, BiSS) 통신 방식

2️⃣ 주로 사용되는 모듈

  • FX5-40SSC-S: 고속 카운터 모듈 (FX 시리즈)
  • QD62-H: 고속 카운터 모듈 (Q 시리즈)
  • MR-J4-B: 서보 증분형 엔코더 입력 모듈

🔹 동기 엔코더의 동작 원리

  1. 모터가 회전하면 디스크가 함께 회전합니다.
  2. 광 센서 또는 자기 센서가 회전 디스크의 변화를 감지하여 펄스 신호(A상, B상, Z상) 를 출력합니다.
  3. PLC 또는 서보 드라이버는 이 신호를 분석하여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합니다.
  4. Z상 신호를 이용하여 한 바퀴의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절대형 엔코더의 경우, 초기화 없이 현재 위치 값을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 동기 엔코더 활용 예시

✅ 서보 모터의 정밀한 위치 및 속도 제어
✅ CNC, 로봇,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위치 보정
✅ 고속 회전 장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 미쓰비시 PLC와 엔코더를 연결할 때는

  • PLC 모델에 따라 지원하는 엔코더 타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양을 확인하세요!
  • 고속 카운터 모듈이 필요한지 여부를 체크하세요! 😊
반응형

 

1. MELSEC iQ-R 시리즈

✔ 최신 고성능 PLC
✔ 초고속 데이터 처리, 대용량 메모리
✔ 대규모 공장 자동화 및 스마트 팩토리용

2. MELSEC iQ-F 시리즈

✔ 소형·중형 자동화 시스템에 최적화
✔ 내장 네트워크 기능(Ethernet, RS-485 등)
✔ 경제적인 차세대 컴팩트 PLC

3. MELSEC-Q 시리즈

✔ 고속·고정밀 제어가 가능한 범용 PLC
✔ 모듈형 설계로 확장성 우수
✔ 공장 자동화(FMS, CIM 등) 및 대규모 생산라인 적용

4. MELSEC-L 시리즈

✔ Q 시리즈보다 콤팩트한 크기의 중형 PLC
✔ 다양한 확장 모듈 지원
✔ 비용 대비 성능이 우수한 모듈형 PLC

5. MELSEC-F 시리즈 (FX 시리즈)

✔ 콤팩트한 크기의 경제적인 PLC
✔ FX3U, FX5U 등 다양한 모델 제공
✔ 소규모 자동화 시스템 및 독립형 제어에 적합

6. MELSEC-QS/WS 시리즈 (안전 PLC)

✔ 기계 안전 및 산업 안전 규격 준수
✔ 위험 환경에서의 안전 제어 기능 제공
✔ 산업용 로봇, 프레스기 등의 안전 제어에 활용

반응형

https://youtu.be/OUJCu2Ezf2c?si=8TzerZbieKqvKw0s

반응형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서11

가상 모드(Simulation Mode)와 리얼 모드(Real Mode)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상 모드(Simulation Mode)

  • 정의: 실제 PLC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에서 PLC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테스트하는 모드
  • 사용 목적: 프로그램 디버깅, 논리 테스트, 오류 검출, 초기 개발 단계에서 사용
  • 특징:
    • 실제 입출력 장치(I/O) 없이 가상의 데이터 값을 사용
    • 실행 속도가 빠르며, 프로그램 수정이 용이함
    • 물리적 장비가 없어도 가상적으로 신호의 흐름을 확인 가능
    • 일부 특수 기능(타이머, 카운터, 통신 등)의 동작이 실제와 다를 수 있음

2. 리얼 모드(Real Mode)

  • 정의: 실제 PLC 하드웨어와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드
  • 사용 목적: 실제 장비 제어, 생산 공정 운영, 실시간 데이터 처리
  • 특징:
    • 실제 I/O 장치(센서, 모터, 밸브 등)와 연결되어 동작
    • 실시간 응답이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음
    • 디버깅이 어렵고, 프로그램 오류 시 장비 손상 위험 있음
    • 필드 테스트 및 최종 검증 단계에서 사용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 가상 모드(Simulation) 리얼 모드(Real)

실행 환경 소프트웨어 내에서 실행 실제 PLC 하드웨어에서 실행
입출력 방식 가상의 I/O 값 사용 실제 장비와 연결된 I/O 값 사용
프로그램 테스트 안전하게 테스트 가능 실제 장비 영향을 받음
속도 및 반응 빠른 시뮬레이션 가능 실시간 처리 요구됨
사용 목적 프로그램 개발, 디버깅 실제 공정 제어 및 운영
오류 발생 시 안전 (소프트웨어 내) 장비 오작동 및 손상 위험

결론

  • PLC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가상 모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 이후 리얼 모드에서 실제 장비와 연동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가상 모드는 개발 및 시뮬레이션에 유리하지만, 실제 동작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리얼 모드에서 최종 검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공정배관계장도(P&ID)

 

공장 배관계장도(배관 및 기기 계장도, P&ID)는 공장 설비에서 사용되는 배관, 밸브, 펌프, 유량계, 압력계, 온도계 등 다양한 기기와 이들의 연결 상태를 도식화한 도면입니다. 이 도면에는 각 배관의 인치수(직경)와 유량계의 위치 및 종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물리적 및 기능적 관계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구성 요소:

1. **배관**: 배관의 직경(인치수)와 재질을 표시하여, 유체 흐름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합니다.

2. **유량계**: 유체의 흐름을 측정하는 장치로, 설치 위치와 타입을 명시합니다.

3. **기기**: 밸브, 펌프, 압력계, 온도계 등 다양한 장비의 위치와 기능을 도면에 표시합니다.

4. **연결 상태**: 각 장비와 배관의 연결 방식을 도식화하여 시스템의 흐름을 명확히 합니다.

### 중요성:

1. **설계 및 건설**: 정확한 설계와 설치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2. **운영 및 유지보수**: 공정의 운영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3. **안전 관리**: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미리 식별하고, 안전 장치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습니다.

4. **규제 준수**: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ID는 공정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화학, 석유화학, 정유, 발전소 등의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https://youtu.be/LFY9UrbQRl4?si=XGc7vBv3t_4zLOmi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PRbzFQumGM

 

반응형

루베는 세제곱미터(㎥)를 의미하는 단위로, 건설 현장에서 레미콘 등의 부피를 셀 때 사용됩니다. 1루베는 1m x 1m x 1m의 정육면체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울 수 있는 양입니다.
루베를 계산하는 방법은 가로, 세로, 높이를 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가 10m, 세로가 10m, 높이가 0.5m이면 10m ×10m ×0.5m 해서 50㎥(루베)의 콘크리트가 필요합니다.
건설 현장에서는 주로 6루베 단위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레미콘을 운반하는 믹서트럭이 6루베까지만 실을 수 있어 주문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루베는 건축과 인테리어의 필수 단위로, 루베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영상도 있습니다.

반응형

 

[출처 : 전기청년]   

https://m.blog.naver.com/iclassici/222987220785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안녕하세요. 전기 청년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

blog.naver.com

 

1.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380V (3상 4선 차단기)

전기는 발전기에서 만들어질 때 3상으로 생산이 됩니다.

3개의 전선이 있습니다. 이를 각각 'R', 'S', 'T'라고 하며 상전압선 입니다.

(220V 단상의 상전압선도 'R', 'S', 'T' 중 한 선입니다.)

상전압선끼리는 380V를 만들어 냅니다.

'R'상 과 'S'상을 결합하면 380V

'R'상 과 'T'상을 결합하면 380V

'T'상 과 'S'상을 결합하면 380V

파란 동그라미 박스의 전선이 'N'상, 중성선이라고 합니다.

이 중성선을 통해 380V의 전압을 220V로 변전을 합니다.

'R'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S'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T'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정리를 하면 380V의 3상전기는 380V 사용 뿐만 아니라 220V사용도 가능하며, 3개의 단상교류를 하나로 통합합니다.

사진출저 : 김기사의 e-쉬운전기 (저자 : 김명진 / 출판사: (주) 성안당)

 

 

 

380V(3상)전기 사용하는 이유

 

380V 3상 교류는 220V 단상교류에 비하여 전기를 송전하는데 경제적이며, 380V와 220V를 동시에 사용도 가능합니다. 또한 전력효율이 높아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이 됩니다.

장점

(1) 전력효율이 단상교류전기에 비해 좋습니다.

(2)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3) 단상에 비해 송배전이 경제적입니다.

(4) 허용전류가 단상에 비해 차단기 용량이 줄일 수 있습니다.

(5) 가장 큰 장점은 3상 4선식의 경우 220V와 380V를 동시에 사용 가능합니다.

가정용 전기는 380V(3상 4선식)으로

승압이 안되나요?

그렇다면 380V 사용도 가능하고, 220V도 3개가 사용이 가능하며, 만들어 질 때 부터 3상으로 만들어졌는데 왜 가정에서는 220V 단상만 사용을 할까요?

첫번째, 안전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사진출처 : 픽사베이 (www.pixabay.com)

예를들어 110V -> 220로 승압시 전압이 2배가 높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은 4배가 됩니다. 그만큼 감전의 위험도 4배가 증가한다는 이야기겠지요.

380V의 감전은 사망 및 부상의 위험도를 훨씬 높입니다.

2. 비용문제

말 그래도 천문학적 비용이 듭니다.

110V에서 220V로 승압할 때, 우리나라는 당시 새마을 운동으로 전국적으로 개발공사가 한창이였으며, 정부의 의지도 강했습니다.

당시 220V 승압공사 누적 투자비용만 1조 4000억원, 연인원 754만 명이 투입되었습니다.

만약 380V로 승압을 한다면 이미 발전소 및 전봇대까지는 380V가 되어 있기때문에

예전만큼은 큰 공사는 아니지만, 각 가정에 들어간 계량기 및 1차측 전선과 더불어 분전함, 차단기 등 모든것을 교체해야 합니다.

또한 당시보다 인건비 및 재료비 등 물가상승폭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돈이 아니지요.

뿐만아니라 380V를 사용하게 되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와 가전제품들도 전부 바꿔야 합니다.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우리의 안전을 위해서도 380V 승압은 힘듭니다.

반응형

 

 

워드 파일을 새 페이지에 취합하는 매크로 코드

 

https://www.oppadu.com/shorts/%ec%9b%8c%eb%93%9c-%ed%8c%8c%ec%9d%bc-%ed%95%a9%ec%b9%98%ea%b8%b0/

 

워드 파일 합치기, 클릭 한 번으로 1초 안에 해결하는 방법 (모든 버전 가능) - 오빠두엑셀

 

www.oppadu.com

 

반응형

 

1. 목차 Tab 키의 숨겨진 기능

https://youtube.com/shorts/q-K-vtRuLQw?si=58W_uc9wf3-NBPgl

 

 

2. 표가 페이지에 잘릴때 사용

https://www.youtube.com/shorts/Y8fapdB4ADA

 

 

 

 

3. 워드 표 넘버링

https://www.youtube.com/shorts/DB1UqBOpIpw

 

 

4. 스켄사진을 문서로 넣을때

https://www.youtube.com/shorts/VvoweDLA3NE

 

5. 페이지 자동 맞춤 기능

https://www.youtube.com/shorts/JySqJQaIYs4

 

[MS Word] 단락의 줄 간격 제대로 사용하기

https://www.youtube.com/watch?v=FEioeyyj_A0

 

반응형

 

[배관교육] 배관 인치(inch)와 밀리미터(mm) 단위 아주 쉽게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youtube.com/watch?v=g6RLz9MX_7w

 

반응형

[짤컷님 영상]

바탕화면 광고 안나오게 하는 방법

https://youtube.com/shorts/R_sERmKjGS8?si=k8tA1tJRfx52xr7Y

 

반응형

 

1 프로젝트 구조 설명 Ver2 0

https://www.youtube.com/watch?v=xF-eH_p4KTM&list=PLl7rvubFsuNiii06WYFZjw7Q3xD30p4kj&index=1

 

 

반응형

‘나’와 ‘너’의 균형을 만드는 대화법 | 박재연 리플러스 인간연구소 소장

https://www.youtube.com/watch?v=ZEk_eMZ6Sjo

 

 

발성 치료사 안대성 자기님이 알려주는 목소리 전달력을 높이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F_GrGb8SUqk

 

 

목소리 180도 바꾼 아나운서가 알려주는 목소리 좋아지는 법

https://www.youtube.com/watch?v=ghMqRG_9gqw

 

 

"진짜 친구는 '여기' 있다" 중년 이후 친구 없어도 괜찮은 극 현실적 이유 (이호선 교수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33L-3R1TDPE

 

 

 목도 편하고 듣기 좋은 목소리 바로 찾아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2Zcs16U1vI

 

반응형

미쯔비시 멜섹 PLC 기초

1강 GX Works2 환경설정 및 단축키 사용

 

https://www.youtube.com/watch?v=P5IREjx6EKc&list=PLub8IKp8BfdURKQ80y5RDBTr-SWylGGqh&index=1

 

반응형

XGB PLC의 출력구조 설명(XBC DR20SU모델)

 

https://youtu.be/4yK5vFUMnsQ?si=NGu5VInzUHswtc_y

 

 

직장생활 결국 #plc cpu 교체후 프로그램 수정 후 업로드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i01lQ9Ngc

 

 

 

PLC 접점불량- 시퀀스 회로변경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DwPDsgld_M

 

 

 

콘트롤 제어함 누전 찾기

https://www.youtube.com/watch?v=urFm2sD-6DY

 

번호없는 조작선 결선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LUBkgg08c8s

 

 

계측기는 왜 4~20mA가 사용되는 것일까? (자동제어 소피디)

https://www.youtube.com/watch?v=7CbDUX6qjqY

 

(공압시스템에 대해) 공압시스템이란 무엇이고, 계장공기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https://www.youtube.com/watch?v=030IvDTsXSM

 

반응형

 

1. 구글원격지원

https://youtu.be/wohS8UBZ6i4?si=soG-Wx5A5-rXyvCH&t=99

 

반응형

1. 플랙슬 하이퍼 링크 넣는 방법

 

https://youtube.com/shorts/uXdCYEktLMk?feature=shared

 

반응형

1. 갤탭 활용

https://youtu.be/OUJCu2Ezf2c?feature=shared&t=403

 

2. 삼성노트 서식 생성 자동 생성

https://youtube.com/shorts/Gr8s3dF8Phs?feature=shared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블릿 활용]원격지원등  (0) 2024.11.24
[플랙슬] 활용 방법 모음  (0) 2024.11.23
노트북 비교  (0) 2024.10.29
윈도우11 유용한 단축키  (0) 2024.05.08
[태블릿 활용] 갤럭시탭 활용  (0) 2024.05.01
반응형

 

 

CE 인증은 유럽연합(EU) 시장에 판매되는 제품이 안전성, 건강성, 환경 보호, 소비자 보호 등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인증 마크입니다. CE 인증은 프랑스어로 '유럽 적합성'을 뜻하는 'Conformité Européene'의 약자로, 유럽표준화위원회(CEN)와 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CENELEC)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CE 인증을 받은 제품은 EU 및 유럽경제지역(EEA)에서 합법적으로 판매될 수 있으며, CE 마크는 제품의 패스포트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CE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은 유럽에서 유통이 금지되고, 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에 벌금이 부과되거나 제품이 회수될 수 있습니다. 
 
 
CE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제조자가 제품이 EU 지침에 적합하다는 것을 선언해야 합니다. 이 선언을 서술한 문서를 “적합성 선언서”라고 합니다. 또한, 일부 제품은 CE 마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인 기관에서 시험을 거쳐야 합니다. 
 
 
CE 마크는 제품에 부착하거나 포장에 인쇄할 수 있습니다. 제품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세로길이가 5mm 이상이 되어야 하며, 눈에 띄고 읽기 쉽고 지워지지 않아야 합니다. 
반응형

https://prod.danawa.com/info/?pcode=45547007&keyword=16ZD90SP-GX76K&cate=112758

 

[다나와] LG전자 그램 프로16 16ZD90SP-GX76K WIN11 (SSD 256GB)

최저가 1,618,990원, 현금최저가: 1,618,000원

prod.danawa.com

 

 

https://search.danawa.com/dsearch.php?query=750xfg&originalQuery=750xfg&checkedInfo=N&volumeType=allvs&page=1&limit=40&sort=saveDESC&list=list&boost=true&tab=main&addDelivery=N&coupangMemberSort=N&simpleDescriptionOpen=N&maker=702&mode=simple&isInitTireSmartFinder=N&recommendedSort=N&defaultUICategoryCode=112758&defaultPhysicsCategoryCode=860%7C869%7C10580%7C0&defaultVmTab=45&defaultVaTab=3559&isZeroPrice=Y&quickProductYN=N&priceUnitSort=N&priceUnitSortOrder=A

 

750xfg 통합검색 : 다나와 통합검색

'750xfg'의 다나와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danawa.com

 

 

 

 

 

https://search.danawa.com/dsearch.php?k1=NT950XEV-G51A&module=goods&act=dispMain

 

NT950XEV-G51A 통합검색 : 다나와 통합검색

'NT950XEV-G51A'의 다나와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danawa.com

 

반응형


ROI(정의)
ROI는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을 의미하는 단어로, 투자자가 투자 활동을 살펴보고 다른 투자에 비해 특정 투자의 성과가 어떤지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입니다. 간단히 말해, 투자수익률은 투자로 인해 얼마를 벌었거나 잃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수치를 파악하려면 벌어들인 총수익을 투자한 금액으로 나눠야 합니다. 그리고 백분율로 환산하기 위해 100을 곱합니다.

순이익/투자 비용 x 100 = ROI.

예를 들어, $100를 투자했고 해당 사업에서 $300의 수익이 창출되었다면, 이익은 $200입니다. $200/$100 x 100 = 200% ROI.



반응형

 

VX21・22・23시리즈 (VX214NGXB)

直動形2ポートソレノイドバルブ VX21・22・23シリーズ

静音構造の流体用電磁弁・エアオペレート弁。
【特長】
・保護構造IP65
・難燃性UL94V-0準拠
・配管バリエーション
・クリアランス
・鉄心の耐食性向上

 

 

 

 

 VQ2000 시리즈  (VQ2101-5W1)
5 포트 솔레노이드 밸브 베이스 배관형 플러그인 유닛 VQ2000 시리즈 

공간 절약으로 용적이 적은 솔레노이드 밸브.
【특징】
·밸브 교환이 간단한 논 비스·원 클램프 구조.
· 원터치 관 조인트가 내장되어 간단한 배관 작업.
· 슬라이드형 로크식 매뉴얼을 준비.
· 시리즈: VQ2000.
· 씰 방식: 메탈 씰·탄성체 씰.
· -Q: CE 대응(※CE 대응품은 DC 사양만 있음.)
· 램프·서지 전압 보호 회로: 없음(무기호)·있음(W) 내진·방분류형(IP65 대응).

 

 

 

반응형

 - 매매계약에 있어 중요한 조건으로 품질, 가격, 수량, 인도, 결제의 5가지 조건이 있다. 

 - 기업이 국내는 물론 국외 무역거래할 때 제품의 매도매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인도장소 및 방법과 시기에 대한

   약정이 필요한 인도조건은 필수이다.



- FOB(Free on Board 본선 인도조건)
  수출자가 지정된 선박에 선적까지 물건 값을 비롯한 지출된 비용을 부담하고 수출면허 의무를 지는 거래 조건이다. 

- CFR(Cost and Freight 운임포함 인도조건 = C&F)
  수출자가 목적지까지 제품원가 및 운임을 지불하는 거래 조건이다.

 이는 선적 후 손실 또는 파손위험, 비용부담은 선적과 동시에 수입자에게로 전환되는 조건이다. 

-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보험료 인도조건)
  수출자가 제품 원가 및 운임과 보험료를 지불한다.

  CIF 계약은 현실적인 물품인도가 아니고 선적서류의 인도이다.

 그러므로 선적서류가 제시되면 물품인도가 안 되었어도 대금을 지불해야 된다. 

- EXW(EX Works 작업장 인도조건)
  수출자의 공장에서 인도하는 조건으로 수출면허의 의무가 없다.

  또한 운임과 보험료의 지불 의무도 없다. 따라서 모든 위험과 손해에 대한 부담이 없다. 

- FCA(Free Carrier 운송인 인도조건)
  수입상이 지정하는 장소 즉 터미널이나 콘테이너 및 사람에게 인도하는 거래 조건이다. 이는 수출면허 의무는 있으나 운임 및 보험료의 지불 의무는 없다.

- FAS(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조건)
  수출자가 지정된 선적항의 부두에 선측 인도조건의 거래이다. 이는 수출면허 의무는 있으나 운임 및 보험료의 지불 의무는 없다.

- CPT(Carriage Paid To 운송비 지불 인도조건)
  수출자가 운임을 부담하고 선적 후 운송 도중에 손실 및 손상의 위험과 기타 비용은 수입자가 부담하는 거래 조건이다.

- CIP(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 보험료 지불 인도조건)
  수출자가 운임 및 보험료를 부담하는 거래 조건이다.

- DAF(Delivered At Frontier 국경 인도조건)
  수입국의 관세구역 즉, 보세구역까지 인도하는 거래 조건이다. 이는 주로 철도나 육로를 이용한 운송형태에서 사용한다. 

- DES(Delivered Ex Ship 착선 인도조건)
  수입국 항의 선상 인도 시까지 운임 및 각종 위험부담을 수출자가 부담하는 거래 조건이다. 

- DEQ(Delivered Ex Quay 부두 인도조건)
  수입국 항의 부두까지 인도조건의 거래이다. 운임 및 보험료는 수출자가 부담한다. 이는 수입면허가 없을 때 이용된다.

- DDU((Delivered Duty Unpaid 관세 미지급 인도조건)
  수입국의 지정장소까지 수출자가 부담하는 거래 조건이다. 수입국의 수입면허가 없을 때 이용된다. 

- DDP(Delivered Duty Paid 관세 지급 인도조건)
  수입국의 지정 장소까지 운임 및 보험료의 부담을 지고 수입국의 수입면허의 의무가 있을 때 이용된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wZQCK3BpH9k

 

 

https://www.youtube.com/watch?v=6O75pVy-Ie0

 

 

소비전력 (P = VI )

전력 P=VI[W]는 단위 시간(1초)에 소비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t초간 사용하였을 때의 에너지 H[Ws]는 H=Pt[Ws]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P[W]에 사용 시간 t[s]를 곱한 양을 전력량이라고 한다.

 

3상 소비전력 = √3 x V(전압)  x I(전류)                   

3상 계산 : 25kW(단상) x 1.732 = 43.5kW(3상)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9uPGNhl3GNA&t=960s

누전 차단기 영항 중간 부터 설명

 
 

 
 

누전 차단기 명판 설명

 
- 정격전압(Ue) : AC 110/220V 겸용으로 사용가능
 
- 정격 차단 전류(lcu) : 2.5kA(킬로 암페아), 2500A
  단락 사고시 차단할수 있는 전류의 용량을 나타냄
 
- 2극 2소자 (2P3E) 단상 2선식에 사용 가능
 
- 정격 감도 전류 : 30mA(0.03A)
   정격 부동작 전류
  동작 시간 0.03
  누설 전류가 발생 했을때, 

 


- AT(암페아 트립) : 정격 전류, 차단기 용량, 75A 

정격 전압 : 전기 기기 동작시 가장 정상적(100%이상적)으로 동작하는 전압

 

- AF(암페아 프레임) : 외형, 틀, 125A까지 버틸수 있다.

 

- 3P3E : 3P단자수, 3E 내부 과전류 검출하는 장치

 

 

 

- lcu : 정격 차단 전류(단락), 전류의 용량을 나타냄, 85kA(킬로암페아), 

 

- lcs : 정격 서비스 단락 용량. 몇 %까지 견디는가 

  lcs = 100lcu 

  lcs = 50%lcu  

 

- 50/60Hz (이 차단기는 둘다 가능함)

 

- Cat A (단시간 차단 능력 x)

  Cat B (단시간 차단 능력 o)

 

 

- Ui : 정격 절연 전압

  Ui 750V (최고 750V까지 절연이 파괴 되지 않고 버틴다는 의미)

 

-Uimp 8kV : 정격 임펄스 내전압 (낙뢰가 발생해 차단기에 유입시 견딜수 있는 전압, 8000V까지 버틸수 있다는 의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LnSkM_Dikp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