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멤브레인 필러(Membrane Filler)란?

멤브레인 필러(Membrane Filler)는 주로 멤브레인(membrane, 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필터 또는 충전재를 의미합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개념으로 사용됩니다.


1. 멤브레인 필터 (Membrane Filter)

멤브레인 필터는 미세한 기공을 가진 막(membrane)을 이용하여 액체나 기체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입니다.
🔹 주요 특징:

  • 미세한 기공(나노~마이크로미터 크기)으로 입자를 물리적으로 차단
  • 정밀 여과가 가능하며, 주로 수처리, 바이오, 반도체, 식품, 제약 등의 산업에서 사용됨

🔹 적용 분야:

  • 정수 및 폐수 처리: 초순수 제조, 역삼투(RO) 필터
  • 의료 및 제약: 멸균 필터(박테리아, 바이러스 제거)
  • 식음료 산업: 주스, 와인 여과
  • 반도체 공정: 고순도 화학물질 여과

2. 멤브레인 충전재 (Membrane Filler)

멤브레인 충전재는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에서 미생물이 부착하여 자라도록 설계된 충전재입니다. 주로 하·폐수 처리 공정의 MBBR(Moving Bed Biofilm Reactor)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 주요 특징:

  • 미생물이 부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표면 제공
  • 고효율 생물학적 처리 가능 (BOD, COD 제거)
  • 유지보수가 적고, 공정 효율 향상

🔹 적용 분야:

  • 하·폐수 처리장
  • 산업용 폐수 처리
  • 양식장 수질 정화 시스템

정리

멤브레인 필터 → 미세한 기공으로 액체·기체 정밀 여과
멤브레인 충전재 → 생물학적 폐수 처리에서 미생물 성장용

사용하는 산업과 기능이 다르므로,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반응형

 

"NL/min"은 **"리터 매분(Newton Liter per Minute)"**을 의미하며, 주로 기체 또는 유체의 유량(flow rate)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NL/min의 의미

  • NL: "Normal Liter(노멀 리터)"의 약자로, 표준 상태(Standard Condition)에서의 기체 부피를 나타냅니다.
    • 일반적으로 **0°C (273.15K)와 1기압(101.325 kPa)**에서 측정됩니다.
  • /min: "per minute(매분)"을 의미하며, 1분당 흐르는 유량을 나타냅니다.

🔹 NL/min vs L/min 차이점

단위 의미 적용 조건

NL/min 표준 상태(0°C, 1기압)에서의 유량 온도와 압력 보정 필요 없음
L/min 실제 측정된 상태에서의 유량 온도와 압력에 따라 부피 변함

🔹 사용 예시

  • 공압 시스템에서 압축 공기의 유량 측정
  • 산업용 가스(산소, 질소 등) 공급량 측정
  • 반도체 및 정밀 공정에서 기체 흐름 제어

💡 참고:
기체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부피가 변하므로, 표준 상태에서 측정한 "NL/min" 값이 주로 사용됩니다.

반응형

 

LT-C34G801WS

 

SOSHIN ELECTRIC의 LT-C34G801WS는 서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ive Device, SPD)로, 산업 기계나 스위치보드 등의 전원 라인을 낙뢰나 서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제품은 3상 400V 시스템에 적합하며, 정격 전압은 430V rms, 최대 연속 동작 전압은 480V rms입니다. AC 스파크오버 전압은 ±20%의 오차 범위 내에서 560V rms이며, DC 기준 전압은 ±10%의 오차 범위 내에서 940V입니다. 또한, 전압 보호 수준은 1.8kV로 설계되었습니다. 

LT-C34G801WS는 내부에 분리기능과 상태 표시 기능을 갖추고 있어, 외부 퓨즈 없이도 안전성을 확보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PKZM0-1.6/NHI11

 

EATON의 PKZM0-1.6/NHI11은 전동기 보호용 차단기로, 전동기를 과부하 및 단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제품은 3극 설계로, 과부하 트립 전류 설정 범위가 1~1.6A이며, 400V AC에서 AC-3 등급으로 0.55kW의 정격 운전 전력을 지원합니다. 

또한, PKZM0-1.6/NHI11은 1개의 정상 개방(NO) 및 1개의 정상 폐쇄(NC) 보조 접점을 통합하고 있어, 추가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제품은 회전식 손잡이로 작동되며, DIN 레일에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정격 제한 단락 차단 전류(Icu)는 400V AC에서 150kA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KZM0-1.6/NHI11은 소형 전동기의 보호 및 제어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NZMN3-4-AE400/250

EATON의 NZMN3-4-AE400/250은 4극(4-pole) 몰드 케이스 회로 차단기(MCCB)로, 전기 시스템을 과부하 및 단락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주요 사양:

  • 정격 전류(Iu): 400A
  • 정격 전압: 690V AC
  • 단락 차단 용량(Icu): 400V, 50Hz에서 50kA
  • 과부하 트립 설정 범위: 200~400A
  • 단락 트립 설정 범위: 800~4400A
  • 보호 등급: IP20
  • 작동 온도 범위: -25°C에서 70°C citeturn0search0

이 회로 차단기는 전면 스크류 단자로 연결되며, 고정형 설치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터 구동 장치를 옵션으로 추가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NZMN3-4-AE400/250은 높은 차단 용량과 신뢰성 있는 보호 기능을 제공하여, 전기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EATON의 FAZ-B10/1은 소형 차단기(MCB)로, 전기 회로를 과부하 및 단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제품은 1폴(1P) 구성으로, 정격 전류는 10A이며, B 특성 곡선을 갖추고 있습니다.

B 곡선은 주로 저항성 부하를 가진 회로에서 사용되며, 3~5배의 정격 전류에서 트립합니다.

주요 사양:

  • 정격 전류: 10A
  • 극 수: 1폴(1P)
  • 트립 특성: B 곡선
  • 정격 전압: 최대 415V AC 및 48V DC
  • 차단 용량: IEC/EN 60947-2 표준에 따라 15kA
  • 설치 방식: 35mm DIN 레일 장착

이 차단기는 빠른 단락 차단 기능을 제공하여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며, 산업 및 상업용 전기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공간 절약이 가능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EATON의 DILM9-10은 소형 전자기 접촉기

주로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에서 전동기와 기타 부하의 스위칭에 사용됩니다.

주요 사양:

  • 정격 전류: AC-3 부하에서 9A
  • 정격 전압: 최대 690V
  • 보조 접점 구성: 1개의 정상 개방(NO) 접점
  • 코일 소비 전력: 4.2VA (교류 전압 기준)
  • 코일 전압: 제조사 사양에 따라 다양한 전압 옵션 제공
  • 기계적 수명: 약 1,000만 회 작동
  • 전기적 수명: AC-3 부하에서 약 100만 회 작동

이 접촉기는 컴팩트한 디자인과 높은 신뢰성으로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모듈형 설계를 채택하여 보조 접점 블록, 타이머 블록 등 다양한 액세서리를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DIN 레일 또는 패널 장착이 가능하며, 국제 표준(IEC/EN 60947)에 부합하는 안전성과 성능을 제공합니다.

 


 

 

오므론(Omron)의 G2R-2-SN은 범용 플러그인 타입의 전자기 릴레이로, 다양한 산업 및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이 릴레이는 DPDT(2 Form C) 접점 구성을 가지며, 코일 전압에 따라 여러 모델이 존재합니다.

주요 사양:

  • 접점 구성: DPDT (2 Form C)
  • 정격 전류: 5A
  • 스위칭 전압: 최대 380VAC 또는 125VDC
  • 코일 전압 옵션: 12V AC, 24V AC, 110V AC, 240V AC 등 다양한 전압 옵션이 제공됩니다.
  • 코일 소비 전력: AC 코일의 경우 약 0.9VA
  • 장착 방식: 플러그인 타입으로, P2RF 시리즈 소켓과 호환됩니다.

이 릴레이는 기계적 및 LED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작동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래칭(Non-Latching) 코일 타입으로, 전원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합니다.

참고: G2R-2-SN 시리즈는 코일 전압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있으므로, 사용하려는 시스템의 전압에 맞는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G2R-2-SN AC12(S)는 12V AC 코일 전압을 가지며, G2R-2-SN AC24(S)는 24V AC 코일 전압을 가집니다. 

이 릴레이는 산업 자동화, 제어 시스템, 전력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성 있는 성능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삼성 노트(Samsung Notes)에서 음성 파일(녹음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1. 삼성 노트에서 녹음 파일 내보내기

1. 삼성 노트를 열고, 음성이 포함된 노트를 엽니다.


2. 녹음 파일을 길게 누르거나, '공유'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파일 저장' 또는 '공유' 옵션을 사용하여 음성 파일(M4A 형식)을 휴대폰이나 클라우드에 저장합니다.



2. 외부 앱을 이용하여 편집

삼성 노트에서는 직접 편집할 수 없으므로, 녹음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외부 앱을 사용해야 합니다.

Samsung 보이스 레코더: 삼성 기기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음성 녹음 앱에서 편집 가능

Audacity(PC용 무료 프로그램): 음성 파일 자르기, 노이즈 제거, 음량 조절 가능

WaveEditor(안드로이드 앱): 스마트폰에서 직접 편집 가능


3. 편집 후 삼성 노트에 다시 추가

1. 편집한 파일을 저장합니다.


2. 삼성 노트에서 '첨부' 기능을 이용하여 편집된 파일을 다시 삽입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삼성 노트에서 녹음한 파일을 편집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일본의 간장 공장에서 종이팩(카톤팩)에 핫필링(Hot Filling)하는 공정은 위생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1. 원료 준비 및 간장 살균

1. 원재료 혼합: 대두, 밀, 소금 등을 발효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숙성 과정을 거침.


2. 여과 및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마이크로 필터링(Microfiltration) 진행.

80~90°C 정도의 고온 살균(HTST: High-Temperature Short Time) 또는 UHT(초고온 살균, Ultra-High Temperature) 처리.

살균된 간장은 즉시 핫필링 공정으로 이동.





---

2. 종이팩 살균 및 준비

1. 종이팩(카톤팩) 살균

포장재 내부를 과산화수소(H₂O₂) 또는 자외선(UV) 살균.

종이팩 내부에 사용된 코팅(폴리에틸렌, 알루미늄층 등)이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



2. 충전기 내 무균 환경 유지

SK-S30과 같은 자동 충전기 내부는 HEPA 필터로 공기 정화.

작업 공간을 클린룸 등급으로 관리하여 외부 오염 방지.





---

3. 핫필링 (Hot Filling) 과정

1. 80~90°C 온도의 간장 충전

SK-S30 충전기는 온도 센서를 통해 적정 온도 유지.

종이팩이 변형되지 않도록 충전 속도를 조절.



2. 즉시 밀봉 (Heat Sealing or Ultrasonic Sealing)

충전 직후 즉시 고온 밀봉하여 외부 오염 방지.

일부 공장은 무균 밀봉(Aseptic Sealing) 기술 적용.



3. 충전 후 급속 냉각

밀봉된 종이팩은 **급속 냉각 시스템(Cold Air or Water Cooling)**을 통해 25~30°C로 빠르게 냉각.

이 과정이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고, 종이팩의 변형을 최소화함.





---

4. 유통기한 테스트 및 품질 검사

1. 밀봉 검사

초음파 검사 또는 압력 테스트를 통해 밀봉 상태 확인.



2. 미생물 검사

핫필링 후 샘플링하여 미생물 검출 테스트 진행.



3. 유통기한 안정성 테스트

온도 조건(저온, 실온, 고온)에서 저장 후 품질 변화 평가.



4. 라벨링 및 포장

종이팩에 유통기한, 제조일자 인쇄 후 최종 박스 포장 진행.





---

핫필링 종이팩 간장의 특징

✅ 무균 상태 유지: 열을 이용한 충전 및 밀봉으로 보존제 없이도 장기 보관 가능.
✅ 고온 충전에 적합한 패키징 필요: 종이팩의 내부 코팅이 내열성을 갖춰야 함.
✅ 냉각 과정이 중요: 충전 후 빠르게 냉각하지 않으면 품질 저하 위험.

이 방식은 아사히, 기코만, 야마사 등 일본의 주요 간장 제조업체에서 사용되며, 일부 공장은 아셉틱 충전(Aseptic Filling, 무균 충전) 방식으로 전환하여 더욱 긴 유통기한을 확보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시코쿠(SK) SK-S30 충진기로 간장을 핫필링(Hot Filling)한 후, 급속 냉각(Quick Cooling) 공정은 제품 품질 유지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SK-S30 자체에는 냉각 기능이 없으므로, 충진 후 별도의 냉각 시스템을 추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1. 급속 냉각(Quick Cooling) 방식

✅ 1) 공기 냉각 (Forced Air Cooling)

방식: 충진 후 냉각 터널(Cold Air Tunnel) 또는 강제 공기 순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품을 빠르게 냉각.

장점: 제품 변형이 적고, 대량 생산에 적합.

예시:

충진 후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하며 냉각팬(Cold Air Blower) 또는 냉각 챔버에서 15~30분간 식힘.

온도는 8030°C로 낮춤.


적용 가능 환경: 일반적인 종이팩 포장 라인.



---

✅ 2) 수냉 방식 (Water Cooling or Immersion Cooling)

방식: 충진 후 냉각수(Cold Water) 또는 냉각 샤워 시스템(Water Spray Cooling)으로 급속 냉각.

장점: 공기 냉각보다 빠르게 온도를 낮출 수 있음.

예시:

밀봉된 종이팩을 냉각수 탱크(Cold Water Tank) 또는 분무식 냉각기(Water Shower Cooling System)에 통과시켜 급속 냉각.

온도는 8030°C로 낮아짐.


주의점: 종이팩 내부 코팅이 물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방수 설계가 필요.



---

✅ 3) 냉각 터널 (Cooling Tunnel)

방식: 냉각 터널 내부에서 공기 및 수냉 혼합 방식으로 서서히 냉각.

장점: 대형 생산 라인에 적합, 온도를 균일하게 낮출 수 있음.

예시:

제품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냉각 팬 + 미스트 스프레이가 적용됨.

온도는 90°C → 30°C까지 낮춘 후 포장 공정으로 이동.




---

2. 왜 급속 냉각이 필요한가?

✔ 품질 유지: 간장의 맛, 향, 색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
✔ 종이팩 변형 방지: 높은 온도로 인한 변형을 줄이고 밀봉 강도를 유지.
✔ 미생물 성장 억제: 온도가 천천히 낮아지면 미생물 번식 위험 증가.


---

3. 실전 적용 예시 (SK-S30 충진기와 냉각 시스템 연계)

1️⃣ SK-S30에서 85°C 핫필링
2️⃣ 자동 밀봉 후 컨베이어로 이송
3️⃣ 냉각 터널(공기 냉각) + 냉각 샤워(물 냉각) 적용
4️⃣ 제품 온도 25~30°C로 낮춘 후 박스 포장

실제 일본 간장 공장에서는 냉각 터널 + 공기 냉각 또는 수냉 방식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K-S30을 사용할 경우, 생산 라인에 적합한 냉각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충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비에 사용되는 단위  (0) 2025.03.28
단위 시간 부피 유량  (0) 2025.02.27
멸균과 살균 차이  (0) 2025.02.27
CIP(Cleaning In Place) 세척 순서는?  (0) 2025.02.26
정제수를 만드는 방법은?  (0) 2025.02.26
반응형

시코쿠 SK-S30 간장 충전기로 종이팩에 핫필링(Hot Filling)을 할 경우,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1. 핫필링 온도 및 종이팩 내열성

  • 핫필링 시 보통 80~90°C 이상의 온도에서 충전됩니다.
  • 종이팩의 내열성이 이를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일부 종이팩은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내부 코팅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핫필링이 가능한 패키징 소재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멸균 효과와 미생물 문제

  • 핫필링의 목적은 제품을 충전하면서 미생물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 하지만 종이팩의 밀봉 공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외부 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충전 후 급속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생물 증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유통기한과 품질 변화

  • 핫필링 후 보관 온도에 따라 간장의 색, 향, 맛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종이팩 내부 코팅이 열에 의해 손상될 경우, 산소 및 습기 차단력이 저하되어 유통기한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핫필링 후 실제 보관 조건에서 품질 변화 테스트(유통기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4. 대체 충전 방식 고려

  • 만약 종이팩이 핫필링을 견디기 어려운 경우, 레토르트 충전(충전 후 고온 살균)이나 **멸균 충전(aseptic filling)**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SK-S30으로 종이팩에 핫필링을 진행할 경우, 종이팩의 내열성과 밀봉 상태가 적절해야 하며, 품질 테스트를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특히 장기 유통을 고려한다면 패키징 테스트 및 미생물 검사를 병행하여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380V, 60Hz, 3상 산업장비 (소모전력 35kW)용 변압기(트랜스) 선정 🔹

트랜스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장비의 전기소모량 (35kW)
  2. 입력전압 & 출력전압 (예: 3상 380V → 3상 380V or 변압 필요)
  3. 효율 및 여유율 고려 (일반적으로 1.2배~1.3배 권장)

✅ 트랜스 용량 계산

🔹 3상 변압기 용량 공식

트랜스 kVA=소모전력 (kW)효율×역률×1000\text{트랜스 kVA} = \frac{\text{소모전력 (kW)}}{\text{효율} \times \text{역률}} \times 1000

일반적으로

  • 효율: 95% (0.95)
  • 역률: 0.8 (산업용 기준)
    을 가정합니다.

트랜스 kVA=350.95×0.8×1000\text{트랜스 kVA} = \frac{35}{0.95 \times 0.8} \times 1000 ≈46kVA\approx 46 kVA

보통 안전 여유율(1.2~1.3배)을 적용하므로,
최소 50 kVA 트랜스가 필요합니다.


✅ 적합한 트랜스 사양

🔹 용량: 50 kVA 이상 (권장: 50~60 kVA)
🔹 입력 전압: 3상 380V, 60Hz
🔹 출력 전압: 3상 380V, 60Hz (or 필요 전압)
🔹 냉각 방식: 건식(Dry) or 유입식(Oil) 선택 가능
🔹 효율 & 보호장치: 고효율(95% 이상), 과부하 보호 기능


✅ 추천 트랜스 제품

LS산전 TRS-50K (건식, 50kVA)
삼화전기 SHT-50K (건식, 50kVA)
현대일렉트릭 HT-60K (유입식, 60kVA)

💬 출력 전압이 380V 그대로 필요한지, 또는 220V 변환이 필요한지에 따라 트랜스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가 정보 주시면 더 정확한 추천이 가능합니다! 😊

 

 


 

 

🔹 220V 전원을 사용하여 380V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변압기(트랜스) 선정

220V 전원에서 380V, 3상 전압을 얻으려면 **승압 변압기(Boost Transformer)**가 필요합니다.


✅ 트랜스 용량 계산

1️⃣ 3상 변압기 용량 공식

트랜스 kVA=소모전력 (kW)효율×역률×1000\text{트랜스 kVA} = \frac{\text{소모전력 (kW)}}{\text{효율} \times \text{역률}} \times 1000

  • 소모 전력 = 35 kW
  • 효율 = 0.95 (일반 산업용 변압기 기준)
  • 역률 (Power Factor) = 0.8

트랜스 kVA=350.95×0.8×1000\text{트랜스 kVA} = \frac{35}{0.95 \times 0.8} \times 1000 ≈46kVA\approx 46 kVA

안전 여유율(1.21.3배)을 적용하면, **5060 kVA급 변압기**가 필요합니다.


✅ 적합한 변압기 사양

🔹 입력 전압: 3상 220V, 60Hz
🔹 출력 전압: 3상 380V, 60Hz
🔹 용량: 50~60 kVA (권장)
🔹 냉각 방식: 건식(Dry) 또는 유입식(Oil) 선택 가능
🔹 보호 기능: 과전압/과부하 보호, 절연 등급 F 이상


✅ 추천 변압기 제품

1️⃣ LS산전 TFB-50K (건식, 220V → 380V, 50kVA)
2️⃣ 삼화전기 SHT-60K (건식, 220V → 380V, 60kVA)
3️⃣ 현대일렉트릭 HTB-50K (유입식, 220V → 380V, 50kVA)


⚠️ 설치 전 확인해야 할 사항

공장 전원(3상 220V)이 확보되어 있는지?
장비가 380V Y결선인지, △결선인지? (트랜스 선정에 영향)
장비가 정격 380V인지, 혹시 400V(일부 유럽 장비)인지?

이 정보를 알려주시면 더 정확한 변압기 추천이 가능합니다! 😊

반응형

🔹 스트레이너(Strainer)의 역할 🔹

스트레이너(Strainer)는 배관 시스템에서 이물질(이물, 오염물, 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산업용 배관, 펌프, 밸브, 열교환기 및 유체 시스템 보호에 사용됩니다.


✅ 스트레이너의 주요 역할

1️⃣ 배관 보호 (Pipe Protection)

✔ 배관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녹, 모래, 쇳가루, 스케일 등)**을 차단하여 시스템 보호
펌프, 밸브, 계량기, 센서 등 중요한 장비의 손상 방지

2️⃣ 유체 품질 유지 (Fluid Purification)

✔ 오염물 제거로 인해 유체(물, 오일, 화학 용액 등)의 품질 유지
✔ 특히, 식품, 화학, 제약 산업에서는 위생적인 유체 관리 필수

3️⃣ 기기 수명 연장 (Equipment Longevity)

✔ 이물질 축적으로 인한 펌프, 밸브 및 열교환기의 마모 방지
✔ 정기적인 필터 청소 및 교체를 통해 설비 수명 연장

4️⃣ 유량 및 압력 유지 (Flow & Pressure Maintenance)

✔ 이물질이 배관을 막아 유량이 감소하거나 압력이 변하는 문제 예방
✔ 스트레이너의 필터 메쉬 크기 조절을 통해 원하는 유량 유지 가능


🔹 스트레이너의 종류 & 특징

종류 특징 적용 분야

Y-스트레이너 (Y-Type Strainer) Y자 형태, 압력 손실 적음, 주기적 청소 필요 냉각수, 증기, 가스 배관
T-스트레이너 (T-Type Strainer) T자 형태, 대형 입자 제거 가능 고압 배관, 대형 펌프 보호
바스켓 스트레이너 (Basket Strainer) 바구니형 필터, 넓은 여과 면적 화학 플랜트, 산업용 오일
자동 세척 스트레이너 (Self-Cleaning Strainer) 자동 역세척 기능, 유지보수 간편 지속적인 필터링이 필요한 공정

📌 어떤 용도로 사용할 계획이신가요?

✔ 유체 종류(물, 오일, 가스 등)
✔ 사용 환경(고압, 고온, 일반 배관 등)
✔ 필터 교체 주기 및 유지보수 방식

➡️ 위 정보를 알려주시면 최적의 스트레이너를 추천해 드릴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물을 살균하여 공급하는 설비는 사용 목적(식수, 의료용, 산업용, 식품가공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살균 방식과 추천 설비를 안내해 드릴 테니, 용도를 말씀해 주시면 더 구체적인 추천이 가능합니다.


💧 주요 살균 방식 및 추천 설비

1. UV(자외선) 살균 장치

원리: 254nm 파장의 UV-C 자외선으로 미생물의 DNA 파괴
적용 분야: 정수 시스템, 병원, 식품 공장, 연구실, 산업용수
장점:
✅ 화학물질 없이 친환경적
✅ 실시간 연속 살균 가능
✅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
추천 설비:

  • TrojanUV Max (가정용 및 산업용 정수)
  • Hanovia UV System (식품, 제약, 반도체 산업용)
  • Xylem Wedeco UV Disinfection (대형 산업 및 하수 처리)

2. 오존(O₃) 살균 시스템

원리: 강력한 산화 작용을 통해 박테리아, 바이러스 제거
적용 분야: 병원, 식품 공장, 수처리 플랜트, 수영장, 산업용수
장점:
✅ 강력한 살균력 (염소보다 3,000배 빠름)
✅ 잔여 오존은 자연 분해되어 잔류물 없음
추천 설비:

  • OZONIA Ozone Generator (SUEZ Water) (산업용)
  • DEL Ozone Industrial Systems (식품 및 병원용)
  • BIOZONE Ozone Purification Systems (가정 및 실험실)

3. 염소(Chlorine) 및 차아염소산 나트륨 살균 시스템

원리: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HOCl)으로 세균 제거
적용 분야: 상수도, 수영장, 냉각탑, 식품 가공, 공장
장점:
✅ 대량의 물 살균 가능
✅ 유지보수가 쉬움
추천 설비:

  • Grundfos Oxiperm Pro (식품, 병원, 정수 처리)
  • Prominent Chlorine Dosing Systems (산업 및 공공시설)
  • Wallace & Tiernan Gas Chlorination Systems (대규모 정수장)

4. 역삼투압(RO) + EDI(전기탈이온) 시스템

원리: 초미세 필터와 전기 이온 제거 기술을 사용하여 물 속 불순물 제거
적용 분야: 제약, 반도체, 병원(주사용수 WFI), 실험실
장점:
✅ 초고순도 멸균수 생산 가능
✅ 장기적으로 경제적
추천 설비:

  • Veolia Orion RO+EDI Systems (제약 및 반도체용)
  • Sartorius Arium Pro (Lab-Grade Water System) (실험실용)
  • Aqua Solutions EDI Systems (병원 및 실험실)

📌 최적의 설비를 추천받으시려면?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음용수, 산업용, 의료용 등)와 필요 용량(리터/시간)을 알려주시면,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추천해 드릴 수 있습니다! 😊

 

 


 

 

산업용으로 1.5 L/min(= 90 L/h) 규모의 살균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설비를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 추천 살균 방식 및 설비

1. UV(자외선) 살균 시스템 (소형 산업용, 저유지보수)

적용 분야: 정수, 식품 가공, 반도체 세정수, 산업용 공정수
장점:
✅ 화학물질 없이 친환경적
✅ 실시간 연속 살균 가능
✅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

추천 설비:

  • TrojanUV Pro Mini (최대 2 L/min 지원)
  • Hanovia UV Solo+ (산업용 100 L/h 이상 지원 가능)
  • Wedeco Aquada 2 (소규모 산업 현장에 적합)

2. 오존(O₃) 살균 시스템 (고살균력, 화학 약품 불필요)

적용 분야: 식품 가공, 병원, 화장품 제조, 냉각탑, 공정수 살균
장점:
✅ 강력한 살균력 (박테리아, 바이러스 완전 제거)
✅ 잔류물 없음, 추가 정제 불필요

추천 설비:

  • OZONIA Compact Ozone Generator (최대 5 L/min)
  • DEL Ozone MP Series (1~10 L/min 소형 공정용)
  • BIOZONE Industrial Ozone System (맞춤형 지원 가능)

3. 역삼투압(RO) + UV 멸균 시스템 (고순도 멸균수, 제약 및 반도체용)

적용 분야: 반도체 공정수, 실험실, 의료 및 화장품 제조
장점:
✅ 초순수(불순물 99.9% 제거) 공급 가능
✅ UV와 조합하면 완벽한 멸균수 생성

추천 설비:

  • Veolia Orion RO+UV System (소형 산업용, 100 L/h 지원)
  • Sartorius Arium Smart UV (실험실 및 공정수용)
  • Millipore Elix UV System (제약 및 연구소용)

💡 어떤 방식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 UV 살균 → 설치 및 유지보수 간편, 연속 살균 가능
🔹 오존 살균 → 강력한 살균력, 잔여물 없음
🔹 RO+UV 시스템 → 고순도 멸균수 필요 시 적합

추천:

  • 일반 산업용 살균수: UV 살균 시스템
  • 고급 살균이 필요한 경우: 오존 살균 시스템
  • 초순수 & 멸균수 필요: RO + UV 시스템

💬 추가 요구사항(예: 특정 산업, 물 성분, 필터 포함 여부 등)이 있으면 더 맞춤형으로 추천해 드릴 수 있어요! 😊

반응형

**SDHC 카드(Secure Digital High Capacity)**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의 한 종류로, SD 카드의 용량 확장 버전입니다. SDHC 카드는 4GB에서 32GB까지의 저장 용량을 지원하며, 기존의 SD 카드(최대 2GB)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SDHC 카드의 특징

  1. 저장 용량: 4GB ~ 32GB
  2. 파일 시스템: 기본적으로 FAT32 파일 시스템 사용
  3. 속도 등급(Class): Class 2, 4, 6, 10 등으로 구분 (숫자가 높을수록 빠름)
  4. 호환성: SDHC를 지원하는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 (구형 SD 전용 기기에서는 사용 불가)
  5. 응용 분야: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SD 카드 vs SDHC 카드 vs SDXC 카드 비교

구분 SD 카드 SDHC 카드 SDXC 카드

저장 용량 최대 2GB 4GB ~ 32GB 64GB ~ 2TB
파일 시스템 FAT16 FAT32 exFAT
호환성 대부분의 기기에서 사용 가능 SDHC 지원 기기에서 사용 가능 SDXC 지원 기기에서 사용 가능

주의할 점

  • SDHC 카드는 SDHC를 지원하는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구형 SD 카드 전용 기기에서는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속도 등급(Class)을 확인하고, 용도(예: 고화질 동영상 촬영)와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용도로 사용하려는지 알려주시면 적절한 SDHC 카드 선택에 대해 더 자세히 안내해 드릴 수 있어요! 😊

반응형

ESCR 평가란?

ESCR(Environmental Stress Crack Resistance) 평가환경 스트레스 균열 저항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플라스틱 및 폴리머 재료가 외부 환경(화학물질, 장력, 온도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저항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 ESCR 평가의 핵심 요소

  1. 환경적 요인: 특정 화학물질(계면활성제, 기름, 용제 등)에 노출
  2. 기계적 응력: 지속적인 하중 또는 장력 적용
  3. 시간에 따른 균열 진행: 일정 시간 동안 재료의 균열 발생 여부 확인

📊 ESCR 평가 방법

ESCR 시험은 ASTM D1693 또는 ISO 22088 같은 표준 시험법을 따릅니다.
일반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샘플 준비: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재료를 표준 크기로 절단
  2. 스트레스 부여: 샘플을 휘거나 인장력을 가해 일정한 응력 상태 유지
  3. 화학물질 노출: 특정 계면활성제 또는 용제에 침지
  4. 시간 경과 관찰: 균열 발생 여부 및 진행 속도 측정

균열 발생까지 걸린 시간 또는 균열 정도를 기준으로 ESCR 등급을 평가


📌 ESCR 평가가 중요한 이유

포장재(HDPE 병, 용기 등)의 내구성 평가
배관, 케이블 등 산업용 플라스틱 소재의 신뢰성 검증
자동차, 의료기기 등에서 화학물질 저항성 테스트
재료 선정 및 품질 개선을 위한 필수 시험


📌 ESCR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 고분자 분자량 증가 (고밀도 PE, 고내구성 수지 사용)
  • 첨가제(안정제, 충격 보강제) 활용
  •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내부 잔류 응력 제거
  • 최적의 가공 공정 및 디자인 개선

ESCR 평가를 통해 제품의 수명 연장, 안전성 강화, 품질 향상이 가능합니다! 🚀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란트 뼈 이식 비용은?  (0) 2025.03.15
치과 인레이란?  (0) 2025.03.10
곰보 피부 해결법  (0) 2025.03.07
시간당 생산수량을 계산하는 방법  (0) 2025.02.24
자기개발(대인관계, 좋은목소리, 대화법)  (0) 2024.11.24
반응형

EXW, FCA, FOB는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인코텀즈(Incoterms) 조건으로, 판매자와 구매자의 책임과 비용 부담이 어디까지인지 정의하는 규칙입니다.

1. EXW (Ex Works, 공장인도)

  • 판매자의 최소 책임
  • 판매자는 자사 공장 또는 창고에서 제품을 인도하면 책임이 끝남.
  • 이후 운송, 수출 신고, 통관, 보험 등 모든 절차와 비용은 구매자가 부담.
  • 구매자가 모든 운송 과정을 관리해야 할 때 적합

💡 예시: 한국의 A회사가 EXW 조건으로 자동차 부품을 판매 → 구매자가 직접 한국 공장에서 픽업하고 운송을 담당.


2. FCA (Free Carrier, 운송인 인도)

  • 판매자가 지정된 장소(자사 공장, 창고, 항구 등)까지 제품을 운송하고, 운송업체(선적사, 항공사 등)에게 인도하는 순간까지 책임
  • 수출 통관은 판매자가 진행, 이후 비용과 위험 부담은 구매자가 담당.
  • 항공, 해상, 육상 운송 모두 가능.
  • EXW보다 판매자의 책임이 조금 더 크지만, FOB보다는 부담이 적음.

💡 예시: 한국의 A회사가 FCA 조건으로 전자제품을 판매 → 부산 항구에서 운송업체에게 넘겨줄 때까지 책임. 이후 운송 및 통관은 구매자가 담당.


3. FOB (Free On Board, 본선 인도)

  • 판매자가 선박에 제품을 선적할 때까지 모든 비용과 위험을 부담.
  • 선적 이후부터는 구매자가 운송 비용과 리스크를 책임짐.
  • 해상 운송에만 적용 가능.
  • 수출 통관은 판매자가 진행, 이후 운송 및 수입 통관은 구매자가 담당.
  • FCA보다 판매자의 부담이 큼.

💡 예시: 한국의 A회사가 FOB 조건으로 자동차를 판매 → 부산항에서 선적 완료 시점까지 판매자가 책임. 이후 해외 운송 및 보험 등은 구매자가 부담.


📌 EXW, FCA, FOB 비교 요약

조건 수출 통관 운송 책임 비용 부담 적용 가능 운송

EXW 구매자 구매자 구매자 모든 운송
FCA 판매자 구매자 (운송사 인도 후) 인도까지 판매자, 이후 구매자 모든 운송
FOB 판매자 구매자 (선적 후) 선적까지 판매자, 이후 구매자 해상 운송

📝 어떤 조건을 선택해야 할까?

  • EXW: 구매자가 모든 운송 과정을 직접 관리할 수 있을 때
  • FCA: 판매자가 수출 통관을 책임지고, 이후 운송은 구매자가 맡을 때
  • FOB: 판매자가 선적까지 부담하고, 이후 운송은 구매자가 담당할 때

🚢 FOB는 해상 운송 전용, EXW와 FCA는 모든 운송 방식에 사용 가능!

반응형

임플란트 시술 시 뼈 이식 비용은 환자의 상태, 이식 재료, 병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비용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뼈 이식 비용(국내 기준)

소량 뼈 이식: 30만 원 ~ 100만 원

대량 뼈 이식(광범위한 골 이식): 100만 원 ~ 300만 원

자가골 이식(본인의 뼈 사용): 150만 원 ~ 400만 원


2. 비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

이식 재료: 인공뼈, 동종뼈(타인의 뼈), 자가골(본인의 뼈) 등

이식 범위: 소량 보충 vs. 광범위한 골 이식

병원 위치: 대형 병원 vs. 개인 치과

보험 적용 여부: 건강보험에서는 임플란트(만 65세 이상, 2개까지)만 일부 적용되며, 뼈 이식은 비급여 항목으로 별도 부담


정확한 비용은 치과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면 근처 치과 비용을 조회해드릴 수도 있어요.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CR평가란  (0) 2025.03.17
치과 인레이란?  (0) 2025.03.10
곰보 피부 해결법  (0) 2025.03.07
시간당 생산수량을 계산하는 방법  (0) 2025.02.24
자기개발(대인관계, 좋은목소리, 대화법)  (0) 2024.11.24
반응형


치과 인레이(Inlay)란?

인레이(Inlay)는 치아가 충치나 외부 손상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때, 이를 복구하기 위해 제작된 맞춤형 보철물입니다. 일반적인 치아 충전재(레진, 아말감)보다 정밀하게 제작되어 치아와의 적합성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

인레이 vs 온레이(Onlay) 차이점

✔ 인레이(Inlay): 치아의 내부(교합면) 손상을 복구하는 보철물
✔ 온레이(Onlay): 인레이보다 범위가 넓어 치아의 교합면뿐만 아니라 일부 치아 벽까지 덮는 보철물


---

인레이 종류

1. 골드 인레이 – 금 합금으로 제작, 내구성 뛰어나지만 색상이 눈에 띔


2. 지르코니아 인레이 –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좋음


3. 세라믹(도자기) 인레이 – 자연 치아와 비슷한 색상으로 심미적, 단단하지만 깨질 가능성이 있음


4. 레진 인레이 – 비교적 저렴하고 자연스러운 색상, 하지만 강도가 낮아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음




---

인레이의 장점

✅ 충전재보다 강도가 높아 오래 지속됨
✅ 맞춤 제작으로 치아와의 적합성이 뛰어남
✅ 색상이 자연스러워 심미성이 우수함

인레이의 단점

❌ 충전재(레진, 아말감)보다 비용이 비쌈
❌ 제작을 위해 최소 2회 이상 치과 방문 필요
❌ 치아 삭제량이 일반 충전보다 많을 수 있음

인레이는 충치가 너무 크지 않은 경우에 적합하며, 만약 충치가 심하게 진행되었다면 크라운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CR평가란  (0) 2025.03.17
인플란트 뼈 이식 비용은?  (0) 2025.03.15
곰보 피부 해결법  (0) 2025.03.07
시간당 생산수량을 계산하는 방법  (0) 2025.02.24
자기개발(대인관계, 좋은목소리, 대화법)  (0) 2024.11.24
반응형

"곰보 피부"는 주로 여드름 흉터(패인 흉터), 모공 확장, 피부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려면 피부 타입과 상태에 맞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홈케어 방법 (가벼운 경우)

✔ 각질 제거 (AHA, BHA, PHA 사용)

AHA (젖산, 글리콜산): 피부 표면 각질 제거

BHA (살리실산): 피지 조절, 모공 청소

PHA: 자극이 적은 각질 제거


✔ 비타민 C & 레티놀 사용

비타민 C: 피부 재생, 색소 침착 완화

레티놀 (비타민 A): 콜라겐 생성 촉진, 피부 결 개선


✔ 보습 & 선크림 필수

피부 장벽이 약해지면 손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수분크림을 충분히 발라야 함.

자외선이 흉터를 악화시키므로 자외선 차단제(SPF 30~50) 필수.


2. 피부과 시술 (심한 경우)

✔ 레이저 치료

프락셀 레이저: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내고 재생을 유도해 흉터 완화

CO2 레이저: 깊은 흉터 개선 (다소 자극적)

PDT 치료: 피지 조절과 모공 개선


✔ 더마스탬프 / 더마롤러

미세 바늘을 이용해 콜라겐 생성을 촉진

재생 크림과 병행하면 효과 상승


✔ TCA 크로스

고농도 TCA (트리클로로아세트산)를 흉터 부위에 도포하여 콜라겐 재생 유도


✔ 필러 주입

깊게 패인 흉터에 필러를 주입하여 피부 표면을 평평하게 만듦


3. 생활습관 개선

✔ 충분한 수면 & 스트레스 관리: 피부 재생이 활발해짐
✔ 건강한 식습관 (비타민, 단백질 섭취): 피부 재생 촉진
✔ 손으로 얼굴 만지지 않기: 세균 감염 방지

➡️ 결론:

가벼운 경우: 홈케어 (각질 제거 + 재생 관리)

심한 경우: 피부과 치료 (레이저, TCA 크로스, 필러 등)

꾸준한 관리가 핵심!


현재 피부 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맞춤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질문 주세요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란트 뼈 이식 비용은?  (0) 2025.03.15
치과 인레이란?  (0) 2025.03.10
시간당 생산수량을 계산하는 방법  (0) 2025.02.24
자기개발(대인관계, 좋은목소리, 대화법)  (0) 2024.11.24
CE 인증  (2) 2024.11.04
반응형



미쓰비시 PLC에서 SSCNET(Servo System Controller Network)은 서보 앰프(Servo Amplifier)와 모션 컨트롤러(Motion Controller)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전용 네트워크입니다. 주로 고속, 고정밀 모션 제어를 위해 사용됩니다.

SSCNET의 역할

1. 고속 데이터 전송

광섬유(Optical Fiber) 케이블을 사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SSCNET III/H)은 최대 15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2. 실시간 모션 제어

서보 앰프와 모션 컨트롤러 간의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정밀한 모션 제어가 가능합니다.

위치, 속도, 토크 등의 제어 명령을 신속하게 전달합니다.



3. 노이즈 내성 강화

광섬유를 사용하여 전자기적 노이즈(EMI)에 강하고, 장거리 전송에서도 신호 감쇄가 적습니다.



4. 다중 서보 앰프 연결 가능

한 개의 SSCNET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서보 앰프를 연결하여 복잡한 모션 시스템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축 로봇이나 CNC 장비에서 여러 개의 모터를 동기화하여 제어할 수 있습니다.



5. 서보 상태 모니터링

모터 위치, 속도, 부하 상태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오류 감지 및 진단 기능을 통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SSCNET의 버전별 특징

주요 적용 분야

산업용 로봇

반도체 제조 장비

CNC 머신

자동 조립 라인

포장 기계


결론적으로, SSCNET은 정밀하고 안정적인 모션 제어를 위해 설계된 미쓰비시 전용 네트워크로, 고속·고정밀 서보 제어가 필요한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반응형

A9GT-QBUSS는 미쓰비시(Mitsubishi) 전자에서 생산한 산업용 제어 장비용 케이블입니다. 주로 GOT(HMI) 시리즈와 PLC(프로그램 가능 논리 컨트롤러) 간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

1. A9GT-QBUSS 케이블 개요

용도: 미쓰비시 GOT(HMI) 시리즈와 Q 시리즈 PLC 간의 통신 연결

지원 기기: 미쓰비시 A/Q 시리즈 PLC 및 GOT1000, GOT2000 시리즈

인터페이스: QBUS (MELSEC-Q 시리즈용 확장 통신 인터페이스)



---

2. 케이블 주요 특징

직접 연결: Q 시리즈 PLC와 GOT를 바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

전용 커넥터 사용: 미쓰비시 전용 인터페이스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보장

일반적인 길이: 보통 3m ~ 5m (모델에 따라 다름)

고속 데이터 통신 지원: GOT와 PLC 간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가능



---

3. 사용 방법

1. 연결 장비 확인

사용하려는 GOT(HMI) 모델과 PLC가 A9GT-QBUSS 케이블을 지원하는지 확인



2. 물리적 연결

한쪽은 GOT(HMI)의 통신 포트에 연결

다른 한쪽은 Q 시리즈 PLC의 대응 포트에 연결



3. HMI 설정

GOT의 통신 설정 메뉴에서 QBUS 통신 방식으로 설정

PLC의 통신 속도 및 설정이 맞는지 확인



4. 테스트 및 운용

연결 후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지 테스트

HMI 화면에서 PLC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읽어오는지 확인





---

4. 관련 참고 정보

대체 케이블: 만약 A9GT-QBUSS가 없을 경우, RS-232C 또는 Ethernet 연결을 이용한 통신 가능

주의사항: QBUSS는 미쓰비시 전용 통신 방식이므로, 일반적인 시리얼(RS-232C) 케이블과 호환되지 않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A9GT-QFNB4M 케이블 설명

A9GT-QFNB4M은 미쓰비시(Mitsubishi) GOT(HMI) 시리즈와 MELSEC-Q 시리즈 PLC 간의 통신을 위한 전용 케이블입니다.


---

1. 케이블 개요

용도:

미쓰비시 GOT(HMI)와 Q 시리즈 PLC 연결

GOT와 PLC 간 직접 통신 및 전원 공급 기능 지원


길이: 4m

커넥터: 미쓰비시 전용 커넥터 사용

대응 기기:

GOT 시리즈: GOT1000, GOT2000 시리즈 등

PLC 시리즈: MELSEC-Q 시리즈




---

2. 주요 특징

1. Q 시리즈 PLC 전용 통신

QCPU와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 가능

별도의 인터페이스 모듈 없이 사용 가능



2. 전원 공급 기능 포함

일부 모델에서는 HMI(GOT)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추가 전원 연결이 필요 없음



3.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

Q 시리즈의 고속 통신 방식(QBUS)을 지원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 가능





---

3. 사용 방법

1. 연결 장비 확인

A9GT-QFNB4M 케이블이 사용하는 GOT 및 Q 시리즈 PLC와 호환되는지 확인



2. 물리적 연결

한쪽은 GOT(HMI)의 전용 포트에 연결

다른 한쪽은 MELSEC-Q PLC의 대응 포트에 연결



3. GOT(HMI) 설정

GOT의 통신 설정에서 Q 시리즈 통신 방식 선택

PLC 통신 설정(속도, 프로토콜 등)과 일치하도록 설정



4. 테스트 및 운용

HMI에서 PLC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읽어오는지 확인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모니터링 기능 테스트





---

4. 관련 참고 정보

대체 케이블:

다른 길이의 A9GT-QFNB 시리즈 케이블 사용 가능

RS-232C, Ethernet 등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연결 가능


주의사항:

이 케이블은 미쓰비시 전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일반적인 시리얼(RS-232C)이나 USB 케이블과 호환되지 않음

HMI와 PLC 간 설정이 맞지 않으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




반응형

m³/h는 **"세제곱미터 per 시간"**을 의미하는 단위로, **1시간당 흐르는 부피(유량)**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0 m³/h → 1시간에 10 세제곱미터(㎥)의 유체(물, 공기, 가스 등)가 흐른다는 뜻입니다.

주로 펌프, 팬, 배관 시스템, 환기 설비 등에서 유량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비슷한 단위로는 L/min(리터/분), CFM(입방피트/분, 공기유량에서 자주 사용됨)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배관에서 1B, 1/2B, 3/4B는 배관의 직경(Nominal Pipe Size, NPS)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여기서 "B"는 보통 "inch(인치)"를 의미하며, 파이프의 공칭 크기를 뜻합니다.

주요 차이점:

1. 배관 직경(내경, 외경)

1B(1인치, 25.4mm): 비교적 굵은 배관으로 유량이 많음

3/4B(3/4인치, 19.05mm): 중간 크기로 가정용 및 일반 산업용에서 많이 사용

1/2B(1/2인치, 12.7mm): 상대적으로 작은 배관으로 수도관 등에 흔히 사용



2. 적용 용도

1B: 산업용 배관, 냉각수, 유체 이송

3/4B: 가정용 온수 배관, 보일러 배관

1/2B: 수도관, 가스관 등 소규모 배관



3. 유량 차이

배관의 직경이 커질수록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같은 압력에서 더 많은 유량을 처리할 수 있음.

1B > 3/4B > 1/2B 순으로 유량이 많음.




배관을 선택할 때는 유량, 압력,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배관에서 1/2S, 1.5S는 주로 스테인리스(STS, Stainless Steel) 배관에서 사용되는 명칭이며, "S"는 "스케줄(Schedule)"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2S와 1.5S 차이점

1. 배관 직경(NPS, 공칭 크기)

1/2S (NPS 1/2, 12.7mm): 직경이 작음

1.5S (NPS 1.5, 38.1mm): 직경이 더 큼



2. 외경(Outside Diameter, OD)

1/2S: 약 21.3mm

1.5S: 약 48.3mm



3. 적용 용도 차이

1/2S: 일반적으로 소규모 유체 이송, 수도 배관, 가스 배관 등에 사용

1.5S: 산업용 배관, 화학 플랜트, 냉각수 배관 등 상대적으로 큰 유량이 필요한 곳에 사용



4. 유량 차이

배관 직경이 클수록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여 1.5S가 1/2S보다 더 많은 유량을 처리할 수 있음



5. 두께(Schedule, 벽 두께)

배관 스케줄(Schedule, SCH)에 따라 같은 NPS라도 벽 두께가 달라질 수 있음 (예: SCH 10S, SCH 40S 등)

벽 두께에 따라 내부 유량이 차이 날 수 있음




배관을 선택할 때는 직경뿐만 아니라, 사용 압력, 유체 특성, 용도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멸균(Sterilization)과 살균(Pasteurization)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식이지만, 개념과 목적이 다릅니다.

1. 멸균(Sterilization)

완전한 미생물 제거를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모든 균(유해균+유익균)과 포자까지 사멸시킵니다.

온도: 100°C 이상 (예: UHT 멸균은 135~150°C)

방법: UHT(초고온 멸균), 고압 증기 멸균(121°C, 15분), 방사선 멸균 등

적용 대상: 멸균 우유, 조제분유, 의료기구, 실험실 도구 등

특징: 무균 상태로 장기간 보관 가능, 맛과 영양소 일부 변화 가능



---

2. 살균(Pasteurization)

질병을 유발하는 유해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이며, 모든 균을 없애지는 않음.

온도: 보통 60~85°C

방법:

저온 장시간 살균(LTLT): 63°C, 30분 (치즈 제조에 사용)

고온 단시간 살균(HTST): 72~75°C, 15초 (일반 우유에 사용)


적용 대상: 우유, 주스, 계란액, 맥주, 와인 등

특징: 냉장 보관 필요, 원래의 맛과 영양소 비교적 잘 유지



---

멸균 vs. 살균 비교

결론:

멸균: 모든 균을 없애서 장기 보관 가능, 하지만 맛과 영양이 일부 변할 수 있음.

살균: 유해균만 제거하여 신선한 맛과 영양 유지, 하지만 냉장 보관 필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UHT(초고온 살균, Ultra-High Temperature) 멸균은 우유, 주스, 두유 등의 액체 식품을 1355초 동안 가열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살균 방식입니다.

UHT 멸균 특징

1. 고온 단시간 처리

짧은 시간에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포자 등을 사멸함.

기존 저온살균(63°C, 30분)이나 고온 단시간 살균(HTST, 72~75°C, 15초)보다 더 효과적임.



2. 장기간 보존 가능

무균 상태의 포장(예: 테트라팩)에 담기면 냉장 보관 없이도 수개월~1년 보관 가능.

개봉 후에는 일반 우유처럼 냉장 보관 필요.



3. 영양 성분과 맛

고온에서 처리되므로 일부 열에 민감한 비타민(B1, C 등)이 감소할 수 있음.

그러나 단시간 가열하므로 일반적인 가열 방식보다 맛과 영양소 보존이 뛰어남.



4. 활용 제품

멸균 우유, 두유, 주스, 스프, 액상 커피, 유아용 조제분유 등 다양한 액체식품에 사용됨.




UHT 멸균과 살균 우유 차이점

UHT 멸균 우유: 상온 보관 가능, 개봉 후에는 냉장 보관

일반 살균 우유(HTST): 냉장 보관 필수, 유통기한 짧음


UHT 멸균 덕분에 냉장 유통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안전한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T100 측온저항체는 온도를 측정하는 저항 온도 감지기(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의 한 종류입니다. **백금(Platinum, Pt)**을 센서 재료로 사용하며,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PT100의 특징

1. 저항 값:

PT100은 0°C에서 100Ω의 저항 값을 갖습니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며, 3850ppm/°C(0.385Ω/°C)의 온도 계수를 가집니다.



2. 정확성과 안정성:

백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장기간 사용해도 신뢰성이 높습니다.

다른 온도 센서(예: 서미스터, 열전대)보다 선형성이 우수합니다.



3. 온도 범위:

일반적으로 -200°C ~ 850°C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 PT100 센서는 주로 -50°C ~ 250°C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4. 배선 방식:

2선식: 저항 변화만 측정하지만, 선의 저항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선식: 선 저항의 영향을 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임.

4선식: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함.




PT100의 용도

산업용 온도 측정 (화학, 발전소, 제조업 등)

정밀한 실험실 온도 모니터링

의료 및 식품 산업에서 온도 관리

반도체 및 전자 부품 테스트


PT100은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 덕분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필요한 온도 범위와 정확도에 따라 적절한 배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CIP(Cleaning In Place) 시스템은 배관 내부, 탱크, 열교환기 등 장비를 분해하지 않고 세척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식품, 제약, 화학, 음료 산업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인 CIP 세척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CIP 기본 단계 순서

1️⃣ 프리 린스 (Pre-rinse, 예비 세척)

  • 배관 내부에 남아 있는 제품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온수 또는 냉수) 로 미리 헹굽니다.
  • 일반적으로 5~10분 정도 진행되며, 오염도를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2️⃣ 알칼리 세척 (Caustic Cleaning, 알칼리 세정)

  • NaOH(수산화나트륨, 1~3%) 등의 알칼리 세정제를 사용하여 유기물(지방, 단백질 등)을 제거합니다.
  • 일반적으로 60~80℃의 온수를 사용하여 세척하며, 10~30분 동안 순환시킵니다.
  • 배출 후 헹굼 진행.

3️⃣ 중간 린스 (Intermediate Rinse, 중간 세척)

  • 알칼리 세정 후 남아 있는 화학 세정제를 제거하기 위해 온수 또는 냉수로 헹굼.
  • 보통 5~10분 정도 진행됩니다.

4️⃣ 산 세척 (Acid Cleaning, 산 세정) (필요 시 적용)

  • 배관 및 장비 내부에 생긴 무기물(스케일, 석회질, 미네랄 침전물) 제거.
  • 일반적으로 인산(H₃PO₄, 0.52%) 또는 질산(HNO₃, 0.51%) 을 사용.
  • 50~70℃ 정도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순환.

5️⃣ 최종 린스 (Final Rinse, 최종 헹굼)

  • 남아 있는 화학약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정제수(RO 또는 탈이온수)로 세척.
  • 5~15분 동안 진행.

6️⃣ 살균 (Sanitization, 멸균 세척) (필요 시 적용)

  • 최종 세척 후 과산화수소(H₂O₂),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열수(80℃ 이상) 또는 증기 로 살균.
  • 보통 5~15분 동안 진행.

7️⃣ 건조 (Drying, 건조 단계) (필요 시 적용)

  • 에어 블로우(Air Blow)나 증기 건조를 통해 배관 내부를 말려줌.

CIP 조건 최적화 팁

  • 온도: 알칼리 세척(6080℃), 산 세척(5070℃)
  • 농도: 알칼리(13%), 산(0.52%)
  • 시간: 각 단계별 5~30분
  • 유속: 1.5~3 m/s 이상 유지 (세정력 강화)

CIP 순서는 세척 대상과 오염 정도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특정 장비나 제품에 맞춘 CIP 프로그램이 필요하시면 말씀해주세요! 😊

반응형

정제수를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용 목적(실험실, 의료, 산업, 가정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류법 (Distillation)

  •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든 후, 이를 냉각하여 다시 액체로 응축시키는 방식입니다.
  • 대부분의 불순물(미네랄, 박테리아, 중금속 등)이 제거됩니다.
  • 실험실이나 병원에서 고순도의 정제수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방법:

  1.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듭니다.
  2. 증기를 냉각하여 깨끗한 물만 응축시킵니다.
  3. 이렇게 얻어진 물을 깨끗한 용기에 보관합니다.

2. 역삼투압 (Reverse Osmosis, RO)

  • 반투막을 이용하여 미세한 불순물을 걸러내는 방법입니다.
  • 가정용 정수기나 산업용 정수 시스템에 많이 사용됩니다.
  • 미네랄 성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습니다.

방법:

  1. 정수 필터를 이용해 큰 입자(녹, 먼지 등)를 제거합니다.
  2. 역삼투막을 통해 고압으로 물을 밀어 넣어 미세한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3. 최종적으로 활성탄 필터 등을 거쳐 깨끗한 물을 얻습니다.

3. 이온교환법 (Ion Exchange)

  • 물속의 양이온과 음이온을 제거하여 순수를 얻는 방식입니다.
  • 전도도가 낮아야 하는 전기화학 실험이나 산업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방법:

  1.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칼슘(Ca²⁺), 마그네슘(Mg²⁺) 같은 미네랄 이온을 제거합니다.
  2.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염소(Cl⁻) 등의 음이온을 제거합니다.
  3. 여러 번 반복하면 고순도의 정제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여과법 (Filtration)

  • 미세 필터를 이용해 물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방식입니다.
  • 완전한 정제수라기보다는 깨끗한 식수 정도의 품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방법:

  1. 활성탄 필터: 염소, 냄새, 유기물을 제거
  2. 미세 필터 (0.2μm 이하): 박테리아 제거
  3. 울트라필트레이션 (UF): 단백질, 박테리아, 바이러스 제거

5. 전기탈이온법 (EDI, Electrodeionization)

  • 이온교환과 전기 분해를 결합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초순수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 반도체, 제약 산업에서 초고순도 물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방법:

  1. 물속의 이온을 전기장을 이용해 제거합니다.
  2. 정제된 물은 초순수 상태에 가깝습니다.

가정에서 간단한 정제수 만드는 법

집에서 간단한 정제수를 만들고 싶다면 증류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것:

  • 큰 냄비
  • 유리 뚜껑(볼록한 형태가 좋음)
  • 작은 그릇
  • 얼음

과정:

  1. 큰 냄비에 수돗물을 넣고 중앙에 작은 그릇을 놓습니다.
  2. 냄비 뚜껑을 거꾸로 덮고, 뚜껑 위에 얼음을 올려놓습니다.
  3. 물을 끓이면 증기가 발생하여 뚜껑에 맺혔다가 작은 그릇에 응축됩니다.
  4. 작은 그릇에 모인 물이 정제수입니다.

마무리

  • 가장 순도가 높은 방법은 증류법전기탈이온법입니다.
  • 가정에서는 역삼투압 정수기증류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실험용, 의료용 정제수가 필요하면 시판되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어떤 용도로 정제수가 필요한지 알려주시면 더 적합한 방법을 추천해 드릴 수 있어요! 😊

반응형

 

시간당 생산수량을 계산하려면, 주어진 작업 시간 동안 생산된 제품의 수를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예시:

어떤 회사에서 한 기계가 8시간 동안 일하며 400개의 제품을 생산했다고 가정합시다. 이 경우 시간당 생산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총 생산된 수량: 400개
  2. 작업 시간: 8시간

시간당 생산수량 계산:

시간당 생산수량=총 생산수량작업 시간=4008=50개/시간\text{시간당 생산수량} = \frac{\text{총 생산수량}}{\text{작업 시간}} = \frac{400}{8} = 50 \text{개/시간}

따라서 이 기계는 시간당 50개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생산수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인레이란?  (0) 2025.03.10
곰보 피부 해결법  (0) 2025.03.07
자기개발(대인관계, 좋은목소리, 대화법)  (0) 2024.11.24
CE 인증  (2) 2024.11.04
ROI는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0) 2024.10.17
반응형

 

1. 16비트
16비트 숫자는 2의 16승(216)까지의 고윳값을 저장할 수 있는 숫자입니다.
16비트 숫자의 범위는 부호 유무에 따라 다릅니다. 

 

2. 16비트 숫자의 범위

부호가 없는 16비트 정수의 범위는 0부터 65,535까지입니다
부호가 있는 16비트 정수의 범위는 -32,768부터 32,767까지입니다




1.  32비트
32비트 숫자는 32개의 비트로 표현한 숫자로,
32비트 컴퓨터에서 정수로 저장할 수 있는 최대값은 2,147,483,647입니다. 

2. 32비트 숫자의 범위

32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의 숫자는 0부터 4294967296까지입니다. 

32비트 부호형 정수형이라면 -2147483648 ~ 2147483647입니다. 

 

3. 32비트 숫자의 특징
양과 음이 있는 정수를 표시하려면 32비트 가운데 한 비트는 비워두어야 합니다. 
부호 있는 정수는 2의 보수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가장 중요한 비트는 부호(음수의 경우 1, 양수 및 0의 경우 0)를 포함합니다. 
32비트 컴퓨터는 메인 메모리인 RAM을 읽고 쓸 때 4 GB(기가바이트) 까지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 

 

 

 


 

 

 

 mAh 단위

 

mAh(밀리암페어시, milliampere-hour)**는 배터리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읽는 방법

 "밀리암페어아워" (한글)
 "밀리암페어시" (조금 더 직역된 표현)
 "엠에이치" (줄여서 읽는 경우)
 "밀리암페어아워즈" (영어 발음: milliampere-hours)

예를 들어 3000mAh
🔹 "삼천 밀리암페어아워"
🔹 "삼천 엠에이치"
🔹 "Three thousand milliampere-hours" (영어)
등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1. PNP : 0V전원이 인가되어 있다가, 입력 신호가 24V가 되어 나옴
  - PLC카드에는 L, M이 있고, 각 24VDC임.
  - 카드에 24VDC가 들어가야함.
  - 카드에 0V가 들어가서, 컴온(공통)으로 있는 상태.

2. NPN : 24V전원이 인가되어 있다가, 입력 신호가 0V가 되어 나옴
  - PLC카드에는 L, M이 있고, 전원(24VDC)을 넣어줘야함.
  - 카드에 입력은 0VDC가 들어가야함.
  - 기본 24V가 인가되어 있고, 이를 COMMON(공통)으로 있는 상태.

3. 솔벨브 코일을 살려줄려면, +24VDC, -0VDC 두선이 연결되어야,
   자기장이 형성되어서 밸브가 열림.

4. 단자대 (P, N)에서 솔밸브 동작 구조
   - N에서 여러개 솔밸브에 0V의 선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음. 다른 한선은 PLC에서 출력이 오면 솔밸브 동작(PNP 유럽)
   - P에서 여러개 솔밸브에 24V의 선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음. 다른 한선은 PLC에서 출력이 오면 솔밸브 동작(NPN 일본)






반응형

미쓰비시 Q 시리즈 PLC에서 내장 Ethernet 포트를 사용한 접속 설정 방법을 설명합니다.
(Q 시리즈 PLC 중 Ethernet 포트가 내장된 모델을 대상으로 하며, 별도의 Ethernet 모듈(QJ71E71-100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합니다.)


1. 기본 사항 확인

(1) Q 시리즈 PLC 내장 Ethernet 포트 확인

Q 시리즈 PLC 중 일부 CPU는 내장 Ethernet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Q03UDECPU, Q04UDEHCPU, Q06UDEHCPU 등은 내장 Ethernet 포트 지원
  • Q00J, Q01, Q02, Q06H 등은 별도 Ethernet 모듈(QJ71E71-100) 필요

사용하는 PLC가 내장 Ethernet 포트 지원 모델인지 확인하세요.

(2) 기본 IP 주소

  • 기본 IP 주소: 192.168.1.254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포트 번호 (MC 프로토콜): 5006

2. IP 주소 확인 및 변경

PLC의 기본 IP 주소를 변경하려면 GX Works2 또는 GX Developer를 사용해야 합니다.

(1) IP 주소 확인

  1. GX Works2 실행
  2. [프로젝트] → [PLC 파라미터] → [Ethernet 포트 설정]
  3. 현재 IP 주소 확인 (192.168.1.254 기본값)
  4. 필요하면 변경 (예: 192.168.0.100)

(2) IP 주소 변경 방법

  1. GX Works2에서 IP 주소 변경
    • [PLC 파라미터] → [Built-in Ethernet 포트 설정]
    • IP 주소 변경 (예: 192.168.0.100)
    • 서브넷 마스크 확인 (255.255.255.0)
    • TCP 포트 번호 (5006 기본값) 확인
  2. 변경 사항을 PLC로 전송
    • [온라인] → [변경사항 쓰기] → [PLC 리부트]
  3. Ping 테스트로 연결 확인
    • ping 192.168.0.100

3. GX Works2에서 Ethernet 접속 설정

(1) PC 네트워크 설정

  • PC의 IP 주소를 PLC와 같은 서브넷 대역으로 설정
    • 예: 192.168.0.10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PLC와 LAN 케이블로 연결 (직접 연결 시 크로스 케이블 사용, 허브 경유 가능)

(2) GX Works2에서 접속 설정

  1. [온라인] → [트랜스퍼 설정] → [접속 설정]
  2. "Ethernet" 선택
  3. IP 주소 입력 (192.168.0.100)
  4. 포트 번호 입력 (5006)
  5. 테스트 버튼 클릭하여 통신 확인
  6.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연결 성공" 메시지 확인

4. PLC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업로드

(1) 프로그램 다운로드

  1. GX Works2에서 프로그램 작성
  2. [온라인] → [PLC에 쓰기] 클릭
  3. Ethernet 연결 선택 후 다운로드

(2) 프로그램 업로드

  1. [온라인] → [PLC에서 읽기]
  2. Ethernet 경로 선택 후 프로그램 업로드

5. Ping 테스트로 연결 확인

PLC와 PC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려면 Ping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1. Windows CMD 실행
  2. 다음 명령 입력:
    ping 192.168.0.100
    
  3. 응답이 오면 정상 연결됨

6. MC 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통신

미쓰비시 Q 시리즈 PLC는 MC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외부 장치와 TCP/IP 통신이 가능합니다.

(1) 기본 설정

  • 기본 포트: 5006
  • MELSOFT Connection 사용 가능
  • PLC와 통신하려면 MC 프로토콜 명령어 사용

(2) Python을 이용한 TCP/IP 연결 예제

PLC와 소켓 통신을 할 경우 Python 코드 예제:

import socket

plc_ip = "192.168.0.100"
plc_port = 5006

s = socket.socket(socket.AF_INET, socket.SOCK_STREAM)
s.connect((plc_ip, plc_port))

# MC 프로토콜 명령어 (데이터 읽기 예제)
cmd = b'\x50\x00\x00\xFF\xFF\x03\x00\x0C\x00\x10\x00\x01\x04\x00\x00\x00\xA8\x00\x00'
s.send(cmd)
response = s.recv(1024)
print(response)

s.close()

7. 정리

  1. PLC의 기본 IP 주소 확인 및 변경 (192.168.1.254)
  2. PC와 동일 네트워크 대역 설정
  3. GX Works2에서 Ethernet 접속 설정
  4. Ping 테스트로 연결 확인
  5. MC 프로토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가능

이 방법을 따르면 미쓰비시 Q 시리즈 PLC의 내부 Ethernet 포트를 사용하여 PC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nDUu_aOUSKs

 

PLC와 터치화면 통신을 이더넷 접속하는 경우가 많음.

 

장점 : 직접 CPU유닛 USB케이블등을 접속할 필요가 없고, HUB를 통해서 LAN케이블을 접속하여,

          원거리에서 모니터, 쓰기, 읽기등의 조작이 가능

 

 

 

🔽使用したPLC
CPUユニット:Q03UDECPU
電源ユニット:Q61P
ベースユニット:Q38B

 

 

1. PLC + 허브 + PC를 렌케이블로 연결함.

2. PC의 GX Works2를 실행

프로젝트 > 신규작성 > 기종 선택합니다.

 

 

 

 

3. 파라메타 > PLC 파라메타 선택.

 CPU유닛 이더넷 포트를 사용하므로, 이더넷 내장 포트를 선택 합니다.

    (만약, 이더넷 유닛을 사용해서 통신할 경우, 네트워크 파라메타를 설정 합니다. 하기 화면)

 

 

이번에는, CPU유닛측의 IP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IP어드레스 초기 설정 값은 192.168.3.39로 되어 있음. 

 

 

PLC 및 터치판넬, 그외 기기, 복수의 기기와 네트워크 접속하는 경우는, IP 어드레스가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 할것.

 

 

4.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오픈설정을 선택

  - 프로토콜 : 통신 할때, 기기 쌍방에서 결정하는 약속(규)을 말함.

  - UDP와 TCP를 선택하는 것이 가

    TCP : 상대방에게 데이터가 도착 했는지 확인 하면서 통신

    UDP : 상대방에게 데이터가 도착 했는지 확인 하지 않고 통신

  - 이번에는, UDP로 하겠습니다.

 

 

- 오픈 시스템 : MC프로토콜, MELSOFT접속, 소켓 통신 3개를 선택하는것이 가능합니다.  선택 후 종료.

 

MC프로토콜 : 미쯔비시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RS-232나 이더넷의 통신

                       상대기기에서 CPU 유닛에 엑세스 하기 위한 통신.

MELSOFT접속 : 프로그램 툴 GX Works2 등의 각종 MELSOF 제품을 접속할때의 통신.

                           복수의 MELSOF 제품과 통신할 경우,

                           접속하는 MELSOF기기와 같은 대수분, PC파라메터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소켓 통신 : 소켓 통신 전용 명령으로, TCP 또는 UDP로 하는 통신.

 

5. 커뮤니케이션 데이터 코드 설정

바이너리 코드 : 1바이트 데이터를 그대로 신, 수신

아스키 코드 : 1바이트 데이터를 아스키 코드 2문자분의 데이터로 송수신 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파라메터를 종료합니다.

 

 

 

6. PLC와 PC에 USB 케이블을 접속하여, GX WORKS2를 실행. (PC 쓰기)

LAN케이블을 접속해서, 갑자기 이더넷 접속은 불가함.

우선, USB접속하여 파라메터 설정할 필요가 있음.

GX WORKS2 의 화면 아래 접속처를 선택

 

 

USB의 경우 그대로 사용가능, 통신테스트 후 OK

 

7. 온라인 >  PC쓰기 > 파라메터 + 프로그램을 클릭 후 실행함.

    PLC CPU유닛에 파라메터 데이터를 쓰고난 후 전원 OFF/ON또는 리셋하여 파라메터를 유효화 합니다.

 

8. PC측 네트워크 설정

 PC에서 네크워크  > 어뎁터 옵션 변경 > 이용하는 네트워크 오른쪽 클릭 > 설정 

 > 인터넷 프로토콜 TCP/IPv4를 선택 > 어드레스 입력 후 종료.

IP어드레스 : 192.168.3.10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9. 통신 테스트

GX WORKS2 > 접속처 > 이더넷 통신을 위해서는 신규 추가 > 

기존 접속처를 선택후 오른쪽 클릭 > 데이터 신규작성, 이름 이더넷이라고 선정

PC측 I/F(인터페이스) : 이더넷 포트 선택. > 프로토콜 UDP로 변

 

 

시켄서 I/F : CPU유닛 선택.

 

IP어드레스 검색 > 선택하여 설정 

 

 

 통신 테스트 후 성공했다면, 완료.

 

 

 

 

 

 

 

 

 

 

 

 

 

 

 

 

 

 

 

 

 

 

 

 

 

 

 

 

 

 

 

 

 

 

 

 

 

 

 

 

 

 

 

 

 

 

 

 

 

 

반응형

 

릴레이 배리어(Relay Barrier)란?

 

전기 회로에서 릴레이(Relays)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 장치입니다.

배리어 릴레이, 배리어, 접점신호변환기 등으로도 불립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역할

  1. 전압 및 전류 보호
    • 과전압,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릴레이를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합니다.
  2. 신호 간섭 방지
    • 외부 전자기 간섭(EMI)이나 노이즈로 인해 릴레이가 의도치 않게 작동하는 것을 막습니다.
  3. 안전성 향상
    • 릴레이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기계적 오작동이나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절연 기능
    • 고전압 회로와 저전압 제어 회로를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종류

  1. 방폭형 배리어(Explosion-Proof Barrier)
    • 폭발 위험이 있는 산업 현장에서 릴레이 신호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광절연 배리어(Opto-Isolated Barrier)
    • 광학 절연(Optocoupler)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합니다.
  3. 서지 보호 배리어(Surge Protection Barrier)
    • 번개나 순간적인 전압 상승으로부터 릴레이 및 전자 장치를 보호합니다.

릴레이 배리어는 주로 산업 자동화, 전력 시스템, 통신 장비 및 방폭 지역 등에서 사용됩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릴레이 배리어 배선 방법

릴레이 배리어의 배선은 사용 목적(예: 신호 절연, 방폭, 서지 보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배선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기본적인 릴레이 배리어 배선 개요

릴레이 배리어는 입력(제어 신호), 출력(릴레이 또는 부하), 그리고 전원(DC 또는 AC) 단자로 구성됩니다.

🔹 기본적인 배선 흐름:

  • 제어 신호(입력) → 릴레이 배리어 → 릴레이(출력) → 부하(모터, 램프 등)

2️⃣ 배선 방법 (Step by Step)

① 전원 연결

  • 릴레이 배리어의 전원 단자(예: +V, GND)에 적절한 전압(예: DC 24V, AC 220V) 을 연결합니다.
  • 올바른 극성을 확인하여 연결해야 하며, 서지 보호를 위해 퓨즈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② 입력(제어 신호) 연결

  • PLC, 스위치, 센서 등에서 나오는 신호선을 입력 단자(IN+, IN-) 에 연결합니다.
  •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릴레이 배리어가 동작하여 출력을 제어합니다.

③ 출력(릴레이 또는 부하) 연결

  • 릴레이 배리어의 출력 단자(OUT+, OUT-)를 릴레이 코일 또는 부하(전등, 모터 등) 에 연결합니다.
  • 만약 릴레이를 사용한다면, 릴레이의 NO(통상 개방), NC(통상 폐쇄), COM(공통) 단자에 맞춰 배선해야 합니다.

3️⃣ 릴레이 배리어 배선 예시

📌 PLC와 릴레이 배리어를 사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

PLC 출력  →  릴레이 배리어 입력
릴레이 배리어 출력  →  릴레이 코일
릴레이 접점  →  모터 ON/OFF

🔹 배선도 예제:

[PLC] ---- (입력) ---- [릴레이 배리어] ---- (출력) ---- [릴레이] ---- [모터]
  • PLC의 출력 신호가 ON되면 릴레이 배리어가 동작하여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모터가 구동됩니다.

4️⃣ 배선 시 주의 사항

전원 극성 확인: DC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오동작할 수 있습니다.
입력 신호 레벨 확인: PLC나 센서의 출력 전압이 릴레이 배리어의 입력 전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세요.
출력 전류 용량 확인: 릴레이 배리어의 출력 전류가 부하(릴레이 코일, 모터 등)의 요구 전류보다 충분한지 체크하세요.
노이즈 방지: 신호선과 전력선을 분리하여 배선하고, 필요하면 차폐선을 사용하세요.


릴레이 배리어의 배선 방법은 제품의 사양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매뉴얼을 반드시 확인하고 배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iOQoWngmMw0

 

 

 

내부 회로 블럭도

 

- 아래 : 부분이 비 위험측 (비안전회로)

- 위 : 위험측 (본안전회로)

- 위험측 : 입력 기기를 접속하는 위치

 -  L,N 부위 : AC전원은 직류전원에 변환되어, DC/DC컨버터에 의해 직류가 강압되어 있습니다.

    어느쪽의 변환 부분도 아이솔레이션(도체적으로 분해 해서, 절연)된 상태입니다.

- 입력과 출력간의 포토 커플러도 절연 되어 있습니다.

 

 


배선 방법

 

 

 

 

입력측인 위험 장소측에 셀럭트 스위치를 접속합니다.

 

전체 도면

 

 

 

이번에는 PLC측의 전원 및 24V 전원의 1차측에 배선합니다.

 

 

 

 

우선. PLC 입력유닛 QX40의 COM단자에 24V 전원의 (+)를 접속합니다.

 

 

 

 

 

 

 

 

 

 

 

 

 


 

 

1. 전원 확인

브레이커를 ON하면 전원이 켜지고, PLC, 릴레이 배리어에 전원이 들어옵니다

 

2. 테스터로 전압 확인

- 위헙장소측의 전압을 테스터로 확인하면, 직류 12V임을 확인 가능합니다.

- 비위험장소측의 전압은 직류 24V임을 확인 가능합니다.

- 비 위험장소측과 위험장소측이 전압이 틀리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 이유 : 위험장소측의 현장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해서, 착화가 되는 화제가 발생하지 않는 레벨로

             제어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3. 셀렉터 스위치를 ON 동작시

 - 위험장소측의 CH1 P1 옆에 표시가 점등되어 입력됩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CH1이 ON되고, PLC의 입력이 ON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반응형

MR-J4S-200B-KS020은 미쓰비시 전기의 MELSERVO-J4 시리즈에 속하는 서보 앰프로,
2kW의 정격 출력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SSCNET III/H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속 시리얼 통신을 지원하며,
통신 주기는 0.222ms, 0.444ms, 0.888ms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 회로 전원 입력은 삼상 AC 200~240V, 50/60Hz를 사용하며, 정격 전류는 10.5A입니다.
제어 회로 전원 입력은 단상 AC 200~240V, 50/60Hz로, 정격 전류는 0.2A입니다.
또한, 인터페이스용 전원으로 DC 24V ±10%를 사용하며, 필요한 전류 용량은 0.3A입니다. 

이 서보 앰프는 정현파 PWM 제어 방식의 전류 제어를 채택하여 높은 응답성과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내장된 다이나믹 브레이크와 재생 저항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STO(안전 토크 차단) 기능을 지원하여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MR-J4S-200B-KS020 모델은 특수 코팅이 적용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MR-J4S-200B-KS020 서보 앰프는 고정밀도와 고속 응답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