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KIZgHVGpT54

 

영상은 제어판 내부에 어떤 부품들이 들어있는지와 그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초보자와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를 위한 내용으로, 다양한 전기 기기와 그 기능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며,
각 부품의 중요성과 사용 방법을 강조합니다.
이 영상을 통해 제어판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소개 및 목적

이 영상은 제어판의 내부에 어떤 기기가 들어 있는지, 각 기기의 역할과 제어판의 기능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전기 기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초보자나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 기계 유지보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다.

제어판의 구성은 기계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상에서는 자주 보이는 전기 부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산업에 따라 자주 보이는 기기는 다를 수 있다.

 

2. 단자대

제어판의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에서 빨간 테두리 부분은 단자대이다.

단자대는 전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한다.

분전반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의 센서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나사식 단자대가 사용되며, 전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돌린다.

감전 위험이 있어 대부분 투명한 커버로 덮여 있다.

 

3. 차단기(=브레이커)

차단기는 전원을 끄기 위한 기기로, 수동으로 전원을 끄거나 특정 전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한다.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있는 형태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1. 배선용 차단기 : 큰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2. 누전 차단기 : 누전 차단 기능 추가,

    누전 발생 시 전원을 끄지 않고 경고하는 기능이 있는 차단기가 있음(중요 회로 보호용)  

 

 

 

 

 

차단기를 오프 상태로 하지 않으면 제어판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차단기의 기본 구성은 큰 전류를 설정하는 메인 차단기와 여러 개의 작은 차단기 또는 서킷 프로텍터가 있다.

 

 

4. 서킷 프로텍터(= CP, 차단기)

 

 

서킷 프로텍터는 차단기와 유사하게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주로 용량이 낮은 회로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0.1A, 0.2A.... 등 다양한 정격 전류가 많이 있다. 

서킷 프로텍터는 크기가 작아 제어판 내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5. 변압기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일반 모터는 AC200V가 필요하지만, 제어 기기는 AC100V가 필요할 수 있다. 

변압기는 전압을 낮추거나 높이는 데 사용된다.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 전압은 배선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서비스 콘센트

제어판 내에 서비스 콘센트가 있을 수 있다.

이 콘센트는 PLC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PC용으로, 대전력 기기는 연결할 수 없다.

과거에 청소기를 연결해 회로가 차단된 사례가 있다.

 

7. PLC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장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이다.

PLC는 입력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간단한 제어의 경우 PLC 없이 배선만으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8.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기기이다.

많은 제어 기기는 DC24V로 작동하므로, AC 전원을 직류로 변환해야 한다.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이 클수록 더 많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사진의 파워서플라이의 사양

입력 : 100~240V

출력 : 직류 24V, 용량 30W

 

9. 인버터

 

 인버터는 입력된 AC 전압을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로 컨베이어 모터나 펌프에 사용된다.

 

10. 서보 앰프

서보 앰프는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서보 모터는 높은 정밀도로 지정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11. 릴레이

 

 

 

 릴레이는 전자기 접점을 열고 닫는 부품이다.

전자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열리거나 닫힌다.

 

12. 전자 접촉기

 

 릴레이와 차이점

 

릴레이를 크게 만든 느낌의 접촉기

전자 접촉기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접점을 여닫는 기기이다.

주로 모터, 히터, 램프 등의 부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주접점 : 모터의 전원 ON/OFF용

보조접점 : 주접점이 ON되면 ON이 되기 때문에, 모터가 운전한다는 신호를 PLC등에 전달할때 사용

 

그외 사용 용도

 

 

전자 개폐기

 

1. 전자 계폐기 : 전자접촉기에 서멀 릴레이를 추가 것

 

2. 서멀 릴레이 (과부하 보호용 릴레이)

모터 등의 부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부하 전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접점을 개폐시킴

서멀릴레이는 모터를 ON/OFF하는 주회로를 차단하는것은 불가.

차단할 때는 조작회로(제어회로)에 서멀 릴레이를 접속함.                      

 

 

 

서멀릴레이 분해 : 전기의 힘으로 동작하지 않고, 열의 힘으로 동작 (바이메메탈)

 

 

 

13. 허브

 

 

허브는 PLC나 터치 패널을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할 때 필요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수집 및 원격 조작을 위한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14. 표시등 및 경고음

표시등은 장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다.

부저는 장비의 오작동이나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발하는 기기이다.

 

15. 결론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 내 전기 기기 부품을 소개했다.

제어판에는 다양한 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기기에 대해 배우면 장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채널의 다른 영상이나 블로그를 참고하길 권장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