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R-J4S-200B-KS020은 미쓰비시 전기의 MELSERVO-J4 시리즈에 속하는 서보 앰프로,
2kW의 정격 출력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SSCNET III/H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속 시리얼 통신을 지원하며,
통신 주기는 0.222ms, 0.444ms, 0.888ms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 회로 전원 입력은 삼상 AC 200~240V, 50/60Hz를 사용하며, 정격 전류는 10.5A입니다.
제어 회로 전원 입력은 단상 AC 200~240V, 50/60Hz로, 정격 전류는 0.2A입니다.
또한, 인터페이스용 전원으로 DC 24V ±10%를 사용하며, 필요한 전류 용량은 0.3A입니다. 

이 서보 앰프는 정현파 PWM 제어 방식의 전류 제어를 채택하여 높은 응답성과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내장된 다이나믹 브레이크와 재생 저항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며,
STO(안전 토크 차단) 기능을 지원하여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MR-J4S-200B-KS020 모델은 특수 코팅이 적용되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MR-J4S-200B-KS020 서보 앰프는 고정밀도와 고속 응답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niE1CLPL8qg

 

 

 

 

 

 

 

리드봉 단선 확인 방법

저항으로 하고, 리드봉을 접속하면 0근처로 되어 있으면, 리드봉이 단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 가능합니다.

큰 저항치는 단선을 의미, 수리 필요합니다.

 


 

 

교류 전압 측정 방 (콘센트의 전압을 측정)

1. 교류측정레인지로 이동

교류는 +, - 극성에 관계 없으므로, 리드봉 색에 상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콘센트  전압 약 102.5V임을 확인. (일본의 경우)

 


직류전압 측정 방법

1. 직류 전압측정으로 돌

붉은색 리드봉을 전지의 +측,  검은색 리드봉을 -측에 접속합니다.

 

2. 건전지 전압은 약 1.6V임

 

 


저항(전) 측정 방법

 

케이블 단선을 확인 하는 방법.

- 실제 저항측정 및 전도 확인을 확인시 전압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해 주세요.

- 전압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저항치를 즉정하면 스파크가 튀어, 테스트기 내부 휴즈가 고장남.

 

1. 저항

2. 전선을 리드봉으로 접속하고, 표시가 0옴 근처에 있다면 정상.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2UDVg9cS4Rs

 

 

 

 

 

오므론 MY형식의 릴레이.

이 릴레이의 접점은 2C, 3C, 4C 의  3종류가 있음. 2C / 4C를 많이씀.

릴레이는 코일부분에 전압이 인가되면 접점이 동작합니다.

점점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코일의 전압에는 종류 있고, 교류(AC)와 직류(DC)가 있습니다.

 

코일 전압이 직류의 경우 (+)와 (-)의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 합시다.

 


 

오므론 MY형식의 릴레이.

 

13번, 14번은 코일 단자입니다.

13번, 14번에 전압을 가하면, 코일 전류가 흘러 접점이 개폐합니다.

 

코일 전압이 직류의 경우 : 13번에 (-)측의 배선을 14번에 (+)측의 배선을 접속 합니다.

(-)마이너스는 [낮음, 작음]의 의미로, 14번보다 작은쪽 13번을 마이너스라고 외워두면 편리함.

 

 

릴레이 위에 적혀져 있는 번호와 소켓의 단자 번호의 읽는 방향이 반대임

이유 : 아래에서 본 단저번호가 기제되어 있기 때문임.  릴레이를 소켓에 삽입히면 같은 번호가 

배선시 : 소켓의 번호를 보고 배선하면됨.

 

 


 

온 / 오프 회로로 설명

 

 

동작 설명

 

1. 푸쉬버튼 BS1을 누르면, 릴레이(R) 코일단자에 전압이 걸려, 코일이 여자됨.

2. 코일이 여자되어, 릴레이의 a접점이 닫힘.

3. 릴레이의 접점이 닫힘으로, 표시등이 점등됨.

 

 

 

 


참고 자료

 

1. 시퀀스 접점에 대해

 

https://blog.naver.com/bonitastudio/220891675762

 

시퀀스제어에 대하여.. 기호, 문자기호 등, 시퀀스회로 접점에 대한 이야기...

안녕하세요 포동이 인사드립니다. 오랜만에 제가 포스팅하게되네요~ 와이프는 바쁜 사람인지라.. 물론 저도...

blog.naver.com

 

 

 

 

 

 

2. 릴레이 배선

https://blog.naver.com/bonitastudio/221101930275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Le_1pJYPm-A

 

 

 

 

 

 

COM은 공통 단자 및 공통선을 말함.

 

 

 

릴레이 CO 접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자가 COM이됨. (9번, 12번)

 

 

 

 

 

 

 

직류 24V 회로에서 a접점의 경우.

5를 + 전원측

9를 - 전원측에 접속

 

 

릴레이를 정면에서 보면, 배선이 위의 단자로 들어가서,

아래의 단자로 나옵니다.

 

 

미쯔비시 PLC, DC 전원 사양, 입력 유닛 종류

 

1. 플러스 코먼 타입 : COM 단자에 플러스 전원(24V)을 접속

2. 마이너스 코먼 타입 : COM 단자에  마이너스 전원(0V)을 접속

3. 플러스 마이너스 커먼 공용 타입 : COM 단자에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으로도 접속됨.

 

 

 

상기 도면은 미쯔비시 PLC Q시리즈, 유저 매뉴얼에 기제되어 있는, 플러스 커먼 타입의 입력유닛 QX40의 사양

 


 

미쯔비시 PLC 입력유닛 QX40의 사양 전기 도면

 

도면 설명

TB17의 COM단자에 DC24V의 플러스측을 접속할 필요가 있음.

+측의 전원은 입력 유닛의 내부에 공유되어 있음.

 

 

 

 

입력유닛 QX40의 실물

 

[TB17]  커먼(COM) 단자에 DC 24V(+)를 접속함.

일본 설비에는 플러스커먼 타입의 입력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커먼(COM)선은 공통의 선으로, 여러선을 모은 배선 및 COM단자에 접속하는 배선을 말함.

릴레이 (-)측의 배선 부분이 공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COM선이 됩니다.

 

 

입력 유닛 QX40

 

 

QX40  COM단자에 24V를 접속함으로, 24V가 입력 유닛의 내부에 공통이 되어, 이부분의 배선이 COM선이 

누름 버튼등의 입력기기에는 마이너스 전원 OV와 PLC의 입력선을 접속합니다.

 

 


 

입력단에서 PLC의 공통단자는 무슨말일까?

PLC 내부의 결선을 한데 묶어 놓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끝단에는 LED가 각각 1개씩  정방향, 역방향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입력단에서 보면, COM 입력단에 +24V를 입력한다는 것은 입력포트에 24G(GND, 0V)를 입력받겠다는 의미이다.

이래야 입력단의 포트LED를 점등할 수 있다. 

실제의 PLC 내부의 입력단의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보기가 좀 어렵다. TB는 Terminal Block의 약자이다.

 

그럼 출력단에서 COM은 무엇일까?

입력단의 COM과 같은 의미이나 출력단에서는 COM으로 들어온 선을 그대로 내부회로(래더도)의 연산 결과를 내보내는 릴레이로 ON/OFF 하겠다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COM에 220V 선(특정 색)을 연결하였다면 출력에는 220V가 나간다. 물론, +24V를 연결해 놓으면 +24V가 나간다. 

 

입력단과 출력단의 차이점은 하나 더 있는데,  출력단의 COM이 여러개 있는점이 다르다.

COM0 P40
COM1 P41
COM2 P42, P43
COM3 P44, P45, P46, P47

출력단의 COM이 여러개 있는 이유는 출력단에는 전류를 소모하는 LOAD가 걸리는데 이 때 너무 많은 LOAD를 하나의 출력단에 연결해 놓으면 출력전류가 낮아서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출력이 필요하면 P40, P41에 저출력이면 P44, P45, P46, P47을 이용하자.

 

끝으로, 

XBC/XEC-DN20E : Tr 출력부(싱크타입)

XBC/XEC-DP20E : Tr 출력부(소스타입)

이라는 모델이 있는데 이 모델은 왜 만들어 졌을까?

 

정답은 출력속도를 높히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 릴레이 출력은 내부의 코일을 여자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이것을 싱크와 소스로 나눈 이유는 로드에서 원하는 출력단의 형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출처: https://fotc.tistory.com/entry/PLC의-COM공통단자의-의미 [Fire On The Candle:티스토리]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74BmN5k0ANA

 

반응형

전기는 양경식 TV 님 유튜브님

 

https://www.youtube.com/watch?v=8qHJTiLyj8g

 

 

 

 

반응형



두줄을 한줄로 바꾸는 방법

https://youtube.com/shorts/CVd3lXqnDw0?si=V3gTiHG-JFXYkEUf


미니 겔린더
https://youtube.com/shorts/elHR8hUdV10?si=BvObfWokvkDcudck




https://youtube.com/shorts/GoAqeVbUAow?si=3lsShSj6v5ezelrG



단위
https://youtube.com/shorts/wBeUm7qmzQI?si=ywXz5zLKhqRvmSNu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tdsxM5W-M0g

 

 
 
 

 
고장 진단에 사용하는 디지털 데스터기 기능
1. 전압 측정(교류, 직류)
2. 저항 측정
 


 
 

 
각 기기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 확인 할 필요가 있음.
 
 
1. 차단기 
차단기의 1차측과 2차측을 측정 합니다.
이번에는 100V 전원의 제어반이기 때문에, 정상일 경우에는  1차측도 2차측도 100V 부근을 표시합니다.

 

1차측 측정 103.7V (정상) 모습

 
예를들어, 트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1차측 전압이 0V인 경우, 그 상류의 차단기 등을 조사 합니다.
 
또, 트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1차측 전압이 100V로
2차측 전압이 0V의 경우는, 브레이커 내부의 접점 불량으로 결상이 되어 있거나, 
볼트의 풀어짐으로 소손되어 있거나,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때는 차단기의 교환이 필요합니다.
 


 
1. 파워 서플라이의 1차측과 2차측을 측정합니다.
1차측과 2차측이 직류, 교류이므로, 테스터기의 레이지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tQtYM01daU

 

 

 

- 전류에는 누전과 부하전류가 있음.

- 横河電機  : リーククランプメーター : CL340

- 후쿠메타 라고도함.

 

 

 

 

누전은 mA로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작은 전류가 측정되는 누전 전용 클램프 메타로 측정합니다.

부하전류용 클램프메타로는 측정이 불가능함.

 

 

누전은 고장 트러블을 발견하는 지표가 됨으로, 사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 누전전류의 기준치로서, 1mA 이하로 되어 있습니다.

 

 

1mA 이하라면, 절연성능이 잘되어 있다고 해석 된다.

 

 

 

- 절연 저항의 판정 기준

- 상기 표에 기제 되어 있는 전압과 절연저항에서 전류치를 계산하면, 어느 경우에도 1mA가 됩니다.

 

- 누전전류는 노이즈를 발생 하거나, 주의의 사람을 감전 하거나 하므로 주의가 필요함.

- 설비 노후화에 따라 누전이 늘어남.

 

 

 

요코가와 CL340 제품은 mA부터 A까지 광범위한 전류 측정이 가능한 클램프 메터임.

 

 

 

 

 

 


 

누전 측정 방법 2가지


 

 

 

1.  배선을 모아서 센서 부분에서 모아서 즉정하는 방법.

 

 

- 측정 원리

  전류는 부하로 가서 돌아온다. 가는 방향과 돌아오는 방향은 반대임. 서로 곂쳐져서 약  0A가 되어야함.

  만약 누전이 발생하면, 가는 방향, 오는 방향의 차가 발생하므로 그 차를 측정함.

 

 

 

 

단상 2선식 경우 : 2개의 선을 모아 측정

 

 

 

3상 3선식 경우 : 3개의 선을 모아 측정

 

 

 

 

 

 


 

 

 

 

 

 

 

 

 

 

2.   1번에서 어스선 1본을 더 모아서 어스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음.

 

 

 

 

 - 1번 전류와. 2번 전류가 거의 비슷해야함.

 -  다를 경우, 누전전류가 어스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에 흐르기 때문임.

 

 

 

 

 

 

반응형

 

테스터기(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브레이커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 안전 주의사항

전압 측정은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절연 장갑 및 보호 장비 착용
테스터기의 측정 범위와 리드선 상태 확인
측정할 부위에 절연 상태 확인 후 접근
한 손으로 측정하여 감전 위험 최소화


1. 필요한 장비

🔹 디지털 멀티미터 (DMM) 또는 아날로그 테스터기
🔹 절연 장갑
🔹 절연화


2. 테스터기 설정

  1. 테스터기의 전압 측정 모드(V)로 설정
    • 교류(AC) 전압을 측정할 경우 "V~" 또는 "ACV" 선택
    • 직류(DC) 전압을 측정할 경우 "V⎓" 또는 "DCV" 선택
    • 보통 가정 및 산업용 전기는 AC 220V 또는 AC 380V이므로 AC 전압 측정 모드(V~) 로 설정
  2. 측정 범위 설정
    • 220V, 380V 브레이커를 측정할 경우, 600V 이상 범위 선택 (예: 750V AC)
    • 자동 범위 설정(AUTO RANGE)이 있는 테스터기는 자동 선택됨

3. 브레이커 전압 측정 방법

(1) 단상 220V 브레이커 측정

🔹 목적: 브레이커의 정상 동작 및 전압 확인

📌 측정 방법

  • 검은색 리드(접지) → 중성선(N) 또는 접지(GND)에 연결
  • 빨간색 리드(전압 측정용) → 브레이커 출력 단자(L)에 연결

정상 값: 약 220V 표시됨
이상 값:

  • 0V → 브레이커 차단됨 또는 이상 발생
  • 180V 이하 → 전압 강하 또는 문제 발생 가능

(2) 삼상 380V 브레이커 측정

🔹 목적: 3상 전원 상태 및 상간 전압 확인

📌 측정 방법

  • R, S, T 상간 전압 측정
    • R-S: 380V
    • S-T: 380V
    • T-R: 380V
  • 각 상과 중성선(N) 간 전압 측정
    • R-N: 220V
    • S-N: 220V
    • T-N: 220V

정상 값: 상간 380V, 상-중성선 220V
이상 값:

  • 특정 상에서 0V → 상 결손(Fault) 또는 단선 의심
  • 상간 전압이 350V 이하 → 변압기 문제 또는 전압 강하 가능

4. 측정 후 정리

✅ 테스터기 전원을 끄고 리드선을 정리합니다.
✅ 브레이커 주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전기 전문가에게 점검 요청합니다.


📌 결론

테스터기 설정: AC 전압 모드(V~) + 600V 이상 범위 선택
단상 220V: L-N 간 220V 측정
삼상 380V: R-S, S-T, T-R 간 380V 확인
이상 값이 나오면 차단기 및 배선 점검 필요

안전하게 측정하세요! 🔧⚡

 

 


https://www.youtube.com/watch?v=zloUM3W4bzI

 

 

사용할 테스터기

 

 

단상 100V회로에 사용되는 브레이커의 전압을 측정 합니다.

 

 

 - 끝 부분 프로

 

 

일본 일반 가정의 분전반 모습 (단상 100V 다상 200V가 있음)

 

 

 

 

 

 

- 교류전압으로 다이얼 돌림.

- 이때, 저항측정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것.

  실수로 측정하면, 브레이커 트립, 테스터기 고장, 테스터내 휴즈 끊어짐 등의 고장 발생 가능성 있음.

 

 

 

 

 

 

 

 

 

 

 

 

 


3상 브레이커 측정

 

 

 

외관상은 단상 3선식에 사용되는 브레이커와 동일한 형태로 보이지만,

단자간의 전압이 틀립니다.

 

하기의 3구간을 측정해 보면 틀림을 알수 있습니다.

3개 구간이 200V 정도 동일한 전압이면 정상임

  - R-S간 : 205.3V (정상)

  - S-T간

  - R-T간

 

R-S간 : 205.3V (정상)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JrkdC_EdDYE

 

 

🔽今回の動画で使用したPLC
  - CPUユニット:Q03UDECPU
  - バッテリー:Q6BAT

 

 

 

- 2번의 이유 : 대용량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 가능한 내부 슈퍼커패시터에 충전하기 위함.

 

- 슈퍼커패시터란?

축전용량이 대단히 큰 커패시터로 울트라 커패시터(Ultra Capacitor) 또는 초고 용량 커패시터라고 부른다.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배터리와 달리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 한 이온의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 현상을 이용한다.

 

 

- PLC 전원을 ON 한 상태에서 교환하면, 감전 및 PLC 오동작,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미쯔비시 Q시리즈 PLC 밧데리 교환 방법 순서

 

CPUユニット:Q03UDECPU

 

 

1. 데이터 백업

   -  PC와 PLC 연결하여 백업 할 것.

 

모델명을 보면 유니버셜 모델 인지, 하이퍼포퍼먼스 모델 인지 알수 있음

 

 


 

2. PLC 전원 OFF

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를 OFF 해서 PLC전원을 OFF함.

밧데리의 커텍터를 분리 후 정전유지시간은 3분을 기다려야 합니다.

3분 이내에 교환을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커버를 분리

 

 

PLC 배선 덕트의 거리감이 좁을수록, 하부 커버를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

베이스 유니트에서 CPU유니트를 분리하면 작업하기 쉽습니다.

 

 

 

4. 홀더에서 밧데리를 분리

  - 전압이 저하하고 있는 밧데리를 홀더에서 분리합니다.

 

 

 

5. 밧데리를 커넥터에서 분리

 

 

 

 

6. 신규 밧데리를 커넥터에 연결

7. 홀더 조립

 

 

 

8. 커버 조립

9. 전원을 ON

  - 해당하는 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를 ON하여 PLC 전원을 ON 시킴

 

 

10.  교환 후의 확인 방법

 

1.  BAT 표시의 점등이 없어졌는지 확인함.

 

2.  PLC에 PC를 연결하여, 확인

 

 

특종 디바이스 SM51, SM52가 OFF가 되어 있는지 확인 한다.

 

 

 

교환 완료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9dMLcNBsK4

 

 

 

 

시지계, 시지조절계 차이점

 

 

 

 

 

아즈빌 제품 : 열전대 입력

요코가와 제품 : 측온저항체입력

 

 

 

 

 

 

 

 

 

 

 

 

 

 - 단자대에 조절기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되어 있음

 - 입력 :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배선

 - 출력 : 밸브, 덴퍼, 히터등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자계폐기등의 배선을 접속합니다.

 

 

 


 

구성

 

 


 

 

 

1.  아즈빌 제품 : 열전대

      - 입력 : 열전대(봉 형태)

 

 

2. 요코가와 제품 : 측온저항체 입력

    - 단자대에 3개의 전선이 접속 되어 있고, 끝단이 금속 봉형태로 되어 있는게 측온저항체 입니다.

 

 

3. 지시조절계

  - 온도센서의 출력을 현재치로 변환해서,

  - 온도가 목표치로 가까워 지도록, 조작기기에 제어출력을 행함.

  - 제어 출력 종류 : 릴레이 출력, 전압출력, 전류출력이 있음

 

 

 

 

 

 

[참고]

왜 직류 0~20mA가 아니고,  4~20mA를 쓰고 있는가?

  - 고장, 배선 단선으로 신호가 오지 않을 상태와,   측정치가 0일때를 구분하기 위해서임


 

 

 

조작기기

  - 측정 대상의 상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의 전류를 온/오프 하기위해,  전자계폐기 및 SSR을 말함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GLkNrxM9EM

 

 

使用した機器
ターミナルリレー:オムロン G6D-F4B DC24V(配線で使用)
ターミナルリレー:ミスミ MWTR-1A-4 DC24V
ターミナルリレー:オムロン G6B-47BND DC24V
セレクタスイッチ:オムロン
表示灯(赤):富士電機 DR22D0L-E4R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黄):富士電機 DR22D0L-E4Y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緑):富士電機 DR22D0L-E4G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白):富士電機 DR22D0L-E4W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赤):IDEC  HW1P-1H2R (AC100V 配線で使用)
パワーサプライ:オムロン  S8VS-09024S
遮断器:三菱電機 NF30-FA 5A
PLC:三菱電機Qシリーズ 出力ユニット QY40P他

 

 

 

 

 

 

터미널 릴레이 : 4개의 릴레이가 독립되어 있음, 각각 제어 가능.

 

 

 

 

일반 렐리이 4개 쓰는것 보다, 터미널 릴레이 1개를 사용하는게 공간활용에 좋음.

 

 

 

 

 

 

- 터미널 릴레이에는 C접점 타입이 판매되고 있음.

  접점의 종류는 A접점이 대부분임.

- 용도 : 다른 설비와 운전, 정지등 신호를 주고받기,

  1극으로 충분할 경우. PLC와 전자변등의 부하를 연결하는 중계용 릴레이등으로 사용됨

 

 

 

 

 


 

 

코일에 전압이 인가되면, 릴레이의 접점이 동작 함.

그때, 상기 표시등이 점등 된다.

 

 


 

 

 


 

 

 


 

파워서플라이 +측과 셀렉터스위치를 연결함.

 

 

 


 

 

 

 

 

 

 

 

 

 

 

 

 

 

 

 

 

배선 완료


 

 

스위치를 ON 하면,  터미널 릴레이와 램프가 ON 됨.

 

 

 

 

 


PLC와 터미널 릴레이 연결

 

  -  PLC:三菱電機Qシリーズ 出力ユニット QY40P他

 

 

 

PLC 출력 유닛(QY40P) 단자 TB17에    DC24V   +(24V) 를 접속함.

 

 

 

 

 

PLC 출력 유닛(QY40P) 단자 TB18에    DC24V   - (0V) 를 접속함.

 

 

 

 

 

 

 

 

 

 

 

 

 


 

표시등을 점등, 소등 하기 위해 접점을 배선 합니다.

 

 

 

 

 

 

 

 

 

 


 

동작 테스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b8Aih12wbA

 

 

 

 

 

 


1.  단선 결선도

차단기, 변압기등 기기 전체적인 접속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GL-01  : 주간이 되는 간선의 명

수변전 설비(배전반)에서 부설 되어 있는 케이블

그 분전반으로 메인이 되는 제일 사이즈가 큰 케이블

 

- 1상 3W 200~100V : 이 분전반의 전원의 종류를 표시되어 있음

   (단상 3선식 200 - 100V로 되어 있음)

- CVT 150sq (스퀘어) : 상류의 설비에서 배선되어 있는 케이블 종류와 사이즈

 

- CVT 케이블 : 트립렉스 케이블이라고 해서, 단심 3본을 합쳐서 폴리에텔렌 절연 비닐 시스 전선

  전력용 케이블로 국내에서 폭 넓게 보급되어 있는 케이블

 

3개의 선을 합친 모

 

 

동바

 

- 동바 : CVT150sq 케이블이 동바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

- 동바와 1R, 1N이 접속되어 있음 표시

 

 

퓨즈 3A

 

WL(흰색 램프), 상류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지 표시되어 있는 램

 

 

유도등 차단기(계단통로투광등) : 차단기 정격은 50AF (암페어 프레임) / 20AT(암페어 트립)

 

 

브레이커에 붉은색 핸들이 붙어있음.

이것은 소방설비등의 전원을 떻어뜨리면 안된다라는 의미의 표시

 

MCCB 225AF 200AT 차단기 : 이 분전반의 메인 브레이커(차단기) 입니다.

 

 

 

- 메인브레이커(메인 차단기)에서 하기의 동바의 금속판이 3개가 있고, 이중 2개를 분배용 브레이커로

  접속하는데, 어느쪽에 접속하는가에 따라 전압이 달라집니다.

 

 

 

 

 

 

 

브레이커 문자의 색이 다름

- 단상 200V(오렌지색)

- 단상100V(흰색)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83drmZzOZ5o

 

 

 

 

 

 

정기적으로 PLC 시간 설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1. PC와 PLC를 USB로 연결

 

2. 기존 PLC데이터 파일을 열기

    없을 경우 PLC에서 데이터 가져와서 열기

 

 

3. PLC 시간 설정 방법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JG21n6KAdU&list=PL4jXe_SNMQxe3GLpORtVeAVyytQl1hHsh&index=3

 

 


 

 

1.  사용한 볼륨 품명 :  東京コスモス電機 :  RV24YN20S B102

      ボリューム (주파수 설정기) 1K옴 가변 저항기

 

2.  노브 장착 (돌리기 쉽게)

 

3. 인버터 : FR-D710W-0.1K (단상 전원 입력 사양)를 이용해서 3상 모터를 동작 할 예정

 

 

 


 

 

 

 

도면을 이미지화 하면 이렇게 됩니다.

 

 

 

 

 

 

 


 

 

 

 

 

 

 

 

 

 

 

 

 

 

 

 

인버터 단자 U에서 모터 단자 U에 접속

인버터 단자 V에서 모터 단자 V에 접속

인버터 단자 W에서 모터 단자 W에 접속

 

여기까지 주 전원 회로 연결 완료.

 

 


 

제어 회로 연결

 

 

 

 

 


 

운전 테스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SknTFOuKYc&list=PL4jXe_SNMQxe3GLpORtVeAVyytQl1hHsh&index=2

 


 

 

 


배선 연결 순서


 

 

 

 

 

 

 

 

 

 

 

 

 

 

 

 

 

 

 


동작 테스트


 

 

 

센서 교환, 설비 개조등으로 센서 배선할 기회가 있을때 사용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6rvTn21NQk&list=PL4jXe_SNMQxe3GLpORtVeAVyytQl1hHsh&index=34

 

1. NO 노말 오픈 타입 : 통상 OFF, 검출시 ON 동작(A접점)

2. NC 노말 클로즈 타입 : 통상 ON, 검출시 OFF 동작(B접점)

 

 

1. 🔌 근접 센서와 PLC의 배선 방법
근접 센서의 배선 방법으로 3선식 노멀 오픈과 2선식 노멀 클로즈를  사용한다.

 

 

 

 

1.  3선식 (노멀 오픈) 근접센서 배선

 - 구성 : PLC 시스템은 전원 유닛, CPU 유닛, 입력 유닛, 출력 유닛, 베이스 유닛으로 구성된다. 

 

 

2.  PLC와 근접 센서의 배선 방법

 

차단기에서 파워 서플라이와 PLC의 전원 유닛으로 연결

 

 

 

 

 

근접 센서에 금속을 접속시키면, PLC에 점등됨.

3.  근접 센서의 동작 확인 및 PLC 연동 과정
 - 전원을 켠 후 금속을 탐지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근접시켜 테스트한다. 
 - 노말 오픈(Normal Open) 센서는 보통 비활성 상태이며, 객체를 탐지하면 활성화된다. 

GX WORKS2에서 확인 가능.

 

 

 


 2선식 노멀 클로즈 센서의 배선 방법

 

 

 

 

 


4. 2선식 노멀 클로즈 센서의 배선 방법
2선식 근접 센서는 갈색과 파란색의 배선이 있으며, 갈색은 24V 전원의 플러스, 파란색은 마이너스, 검은색은 PLC의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입력 단자는 갈색 배선을 PLC의 입력 단자에, 파란색을 전원 공급 장치의 24V 전원의 -0V 쪽에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입력 유닛의 공통 단자와 24V 전원의 플러스를 연결하여 배선을 마무리한다. 
노멀 클로즈 타입의 키에이스 근접 센서인 EV-118MC는 비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일반 시에는 온 상태이고 검출 시에 오프가 된다. 
배선이 완료된 후, 금속 드라이버를 근접시키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근접 센서의 2선식 및 3선식 배선 방법
- 2선식 배선은 1본의 전선이 적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만,

  소비 전력과 누설 전류 문제로 인해 부하가 꺼질 때 확인이 필요하다.
- 만약 오작동이나 챠터링 현상이 발생할 경우, 부하와 병렬로 저항을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 2선식의 경우, 센서 출력 시 전압이 3선식보다 잔류하므로 전압이 약간 저하되는 현상이 있다.
- 릴레이와 같은 부하를 사용할 때는 올바르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반응형

 

 

1. 🔌 SSR의 배선 방법 소개

 

SSR은 오무론의 G3FD-X03SN을 사용하며, 일반적인 접점 리레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1-2]처음 접하는 사람은 리레의 단자 배치와 내부 연결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실은 거의 동일한 방식이다. [1-5]

미니파워 리레 MY2N과 비교하여 같은 형태의 소켓을 사용해 배선을 설명한다. [1-7]

 

 

 

2. ⚡ SSR과 유접점 릴레이 회로 비교

 

1) G3FD-X03SN 사

 

  • 입력 전압 DC5부터 24V,
  • 출력 적응 부하 : DC4V에서 48V, 최대 3A의 전류 값에 대응

 

  • 회로는 셀렉터 스위치를 켜면 SSR이 ON되고 표시등이 점등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 이번 회로는 실제 SSR을 사용하지 않지만,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유접점 릴레이 동작 구조

미니파워 리레 MY2N, 회로도

 

미니파워 리레 MY2N

회로도 설명 : 입력단자 13,14

단자 : 8, 12 (A접점)

 

 

셀렉터 스위치가 ON되면, 코일 단자에 전가 흘러, 코일이 여자되면 A접점이 닫힘

 

 

표시등에 전기가 흘러 점등되는 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SSR 릴레이 동작 구조

 

 

 - 입력측 : 단자 14, 13이 릴레이 코일 단자에 해당 하는 부분

 - 출력측 : 단자 8, 12가 릴레이 접점에 해당하는 부

 

- 동작 : 셀렉터 스위치가 ON되면 단자 14, 13에 전압이 걸리면, SSR이 ON되어, 접점 대신에 전자 회로에서 신호를 전달

  출력측의 단자 8, 12부분이 ON 

 

SSR 이런 이미지가 됨

  • 유접점 릴레이와 비교하기 위해 회로도를 제시하고, 릴레이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분해 설명한다.
  • SSR을 사용할 경우, 세레크타 스위치를 켜면 전압이 가해져 SSR이 활성화되고, 전자 회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어 출력 접점이 ON된다.

 

 

 

3. 🔌 SSR 배선 방법

 

  • SSR배선 작업을 시작한다. 
  • 배선에 사용되는 부재 목록은 설명란을 참조해야 한다. 
  • 효율성을 위해 전원 라인에서 배선하는 것이 좋지만, 이번에는 순서대로 배선한다. 
  • 입력 측에서 24V 전원 공급 장치의 플러스와 세렉트 스위치를 연결한다. 
  • SSR의 단자 14와 세렉트 스위치의 배선이 연결된다. 
  • 24V 전원 공급 장치의 마이너스와 SSR의 단자 13이 연결된다. 
  • 출력 측에서는 24V 전원 공급 장치의 플러스와 SSR의 단자 8이 연결된다. 
  • SSR의 단자 12와 표시등이 연결된다. 
  • 마지막으로 24V 전원 공급 장치의 마이너스와 연결되지 않은 표시등의 단자가 연결된다. 
  • 배선 작업이 끝난다. 

 

1) 입력측 배선

 

 

 

2) 출력측 배선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NhOqyoob20

 

 

 

 

SSR (무접점 릴레이)

 

 

 

이번 영상에서는 SSR(소리드 스테이트 릴레이)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다양한 용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SSR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비접촉형 릴레이로, 고속 스위칭과 정숙한 동작이 특징이며,
 
특히 노이즈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SSR의 구체적인 배선 방법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 SSR 개요

SSR은 소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의 약자로, 무접점 릴레이를 의미함.

전통적인 릴레이와 달리, 반도체 소자(트랜지스터, 트라이악, 사이리스터 등)를 사용하여 전자적으로 작동함.

SSR은 기계적 소음이 없고, 접점의 마모가 없음.

 

2. 장단점

1) 장점 

- 빠른 동작 속도

- 접점의 마모가 없음

- 소음이 없음

 

2) 단점

- 출력은 1A로 제한됨

- SSR 자체가 발열하므로, 큰 전류의 경우 방열 대책이 필요함

- off시에도 매우 작은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음

- 유접점 릴레이보다 비쌈

 

3. 사용 용도

 

1) SSR은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사용됨

 - 빠른 동작 속도가 필요한 회로

 - 높은 빈도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회로

 - 노이즈에 민감한 약전류 회로

 

4.  SSR 구체적인 사용 사례

고속 생산 라인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때 사용됨. 기존 릴레이로는 신호 전송이 지연될 수 있음.

- 히터 제어에서 많이 사용됨. 히터는 온/오프가 잦아, 점점이 마모해서, 접점 릴레이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음.

- LED 점등 제어에서도 사용됨. LED는 빠른 온/오프를 통해 빛의 양을 조절함.

 

5. SSR의 종류 및 특징

 

SSR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오므론의 G3FD-X03SN 모델이 소개됨.

 

예시 제품 : G3FD-X03SN은 기존의 접점 릴레이와 동일한 소켓을 사용함.

 

 - 입력측 : 단자 13, 14  (입력이 직류의 경우,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 필요)

 - 부하측(출력측) : 단자 8, 12

 

 - SSR 제로 크로스 기능 :  AC 전압이 0이 되는 순간에 SSR을 ON/OFF하는 기능

 - 장점 : 전압이 0V일 때 스위칭하여, 돌입 전류를 억제함으로, 램프, 히터, 모터등에 급격한 전류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메리트가 있음

 

 

 

 

6. SSR의 외관 비교

 

 

 

 

 

 

  

두 가지 SSR(G3HD와 G3FD)의 차이점은 단자의 형태임.

- G3HD는 오므론의 바이파워 릴레이와 동일한 형태

- G3FD는 미니파워 릴레이와 동일함.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DiONNW8E4o

 

 

이번 영상은 제어판 내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소개합니다.
압착 단자는 크게 기계와의 연결용과 전선 간의 연결용으로 나뉘며,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이 영상은 압착 단자의 중요성과 사용 시 주의사항을 강조하며, 특히 일본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압착 단자의 현황을 설명합니다.

 

1. 소개 및 목적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와 특징을 소개함.

압착 단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이번에는 기계의 단자에 연결하는 압착 단자에 대해 설명함.

 

2. 압착 단자의 정의

압착 단자는 전선과 단자대를 연결하기 위한 필수 부품임.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압착 도구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해 고정함.

과거에는 납땜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압착 단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3. 주요 제조사

주요 압착 단자 제조사로는 일본 압착 단자 산업, 일본 압착 단자 제조, 대도 단자 제조, 후지 단자 산업 등이 있음.

 

4. 압착 단자의 종류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는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의 4가지가 있음.

각 단자의 종류와 특징을 순서대로 설명함.

 

5. Y형 압착 단자

 

Y형 압착 단자는 Y자 형태로, 와이어 단자라고도 불림.

Y형 단자는 네지 볼트를 통해 연결되며, 전선 연결이 용이함.

단점 : 네지 볼트가 느슨해지면 전선이 빠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함. 주로 중요도가 낮은 회로에 사용됨.

 

 

6. 원형 압착 단자

 

 

- 원형 압착 단자는 원형 끝단을 가지며, R형, 마루탄이라고도 불림.

- 전선이 빠질 위험이 적어 감시 회로 및 전원 회로에 사용됨.

- 단점으로는 매번 네지를 풀어야 하므로 배선 효율이 떨어짐.

- JIS 기준을 준수해야 할 경우, 원형 단자를 사용해야 함.

 

 

 

7. 막대형 압착 단자

 

페루루 단자 (이런 타입이 늘고 있음)

막대형 압착 단자는 막대 모양으로, 삽입형이라고도 불림.

사용 빈도가 낮고, 주로 제어판 내에서 제한된 용도로 사용됨.

최근에는 페룰 단자와 같은 다른 단자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

 

 

 

8. 블레이드형 압착 단자

 

인버터 등에 블레이드 단자를

 

블레이드형 압착 단자는 판 형태로, 판형 또는 판상형이라고도 불림.

사용 예로는 미쓰비시 전기의 인버터 제어 회로의 단자대가 있음.

최근에는 페룰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음.

 

 

 

9. 압착 단자의 크기

 

 

 

압착 단자의 크기는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일본의 원형 압착 단자는 R1.25mm와 3.5mm가 있음.

알파벳은 단자의 형태를 나타내며, 숫자는 전선 적합 범위를 나타냄.

R : 원형

Y : Y형

TC : 봉

BT : 블레이드형

 

1.25mm : 전선보호 범위, 전선의 단면 사이즈, より線の場合 : 0.25~1.65mm

3.5mm : 구멍 직경(단자 설치 구멍)

 

전선 사이즈 (R1.25mm와 3.5mm) 사용범

 

 

 

10. 결론 및 참고 자료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를 소개함.

압착 단자는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 등이 있으며, 형태와 크기에 따라 사용 가능 전선 크기가 다름.

페룰 단자와 같은 다른 유형도 소개되었으며, 해외에서는 스프링식이나 푸시식 단자가 주류임.

일본에서는 여전히 압착 단자가 주로 사용됨.

더 알고 싶다면 2023년 일본 전기 산업 협회와 일본 전기 제어 기기 산업 협회가 발행한 자료를 참고하길 권장함.

 

 

반응형

렌카드(랜카드)가 없는 장비에 랜 케이블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주로 USB 이더넷 어댑터라고 합니다. 이 장치는 USB 포트에 연결하여 랜 케이블을 꽂을 수 있게 해주며, 랜카드가 없는 장비에도 인터넷 연결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USB 이더넷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1. 장비의 USB 포트에 어댑터를 연결합니다.
  2. 어댑터의 RJ-45 포트에 랜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3.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되거나, 설치 후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이 방식은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랜카드가 고장났을 때, 또는 랜카드가 없는 장비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구입 시 참고 사항:

  • USB 3.0 이상을 지원하는 어댑터를 선택하면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습니다.
  • 장비와 호환되는 드라이버가 제공되는지 확인하세요. 대부분의 운영 체제에서는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되지만, 특정 운영 체제에서는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해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장비 도어의 볼트 고정 방식을 개조하여 열기 쉽게 변경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원하는 개조 수준과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 개조 방법

  1. 퀵 릴리즈 패스너(Quick Release Fastener) 사용
    • 볼트를 제거하고 고정핀(빠른 탈착이 가능한 핀) 또는 퀵 릴리즈 래치로 교체
    • 예: 핸드 스크류, 캠 래치, 덮개 클램프
  2. 경첩 & 자석 또는 래치 시스템 적용
    • 볼트 대신 경첩과 자석(마그넷 캐치) 또는 푸쉬-투-오픈 래치 사용
    • 문을 쉽게 밀거나 당겨서 열 수 있도록 변경 가능
  3. 도어 락 해제 레버 또는 손잡이 추가
    • 기존 볼트 대신 원터치 레버(레버 래치) 또는 손잡이 장착
    • 예: 트위스트 래치, 패들 래치, 푸쉬 래치
  4. 슬라이딩 도어 방식 변경
    • 힌지 방식이 아니라 슬라이딩 도어(레일 방식)로 개조하여 볼트 없이 쉽게 개폐
  5. 전자식 락 장치 적용
    • 만약 전원이 있는 장비라면 전자석 잠금장치(EM Lock) 또는 솔레노이드 락 사용
    • 버튼이나 센서를 통해 쉽게 개폐 가능

🔩 개조 시 고려할 점

  • 🔹 안전성 유지: 개조 후에도 도어가 확실히 고정되는지 확인
  • 🔹 방진/방수 성능: IP 등급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밀폐 장치 적용
  • 🔹 사용 편의성: 자주 여닫아야 한다면 원터치 방식 추천

어떤 방식으로 개조하려는지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최적의 솔루션을 추천해 드릴 수 있습니다! 😊

'기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관 인치 규격  (0) 2025.02.27
플런저(Plunger)란?  (0) 2025.02.10
공정배관계장도(P&ID) 기초 개념 정리  (0) 2025.02.10
공정배관계장도(P&ID)  (0) 2025.02.05
루베란  (0) 2025.01.08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KIZgHVGpT54

 

영상은 제어판 내부에 어떤 부품들이 들어있는지와 그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초보자와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를 위한 내용으로, 다양한 전기 기기와 그 기능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며,
각 부품의 중요성과 사용 방법을 강조합니다.
이 영상을 통해 제어판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소개 및 목적

이 영상은 제어판의 내부에 어떤 기기가 들어 있는지, 각 기기의 역할과 제어판의 기능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전기 기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초보자나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 기계 유지보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다.

제어판의 구성은 기계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상에서는 자주 보이는 전기 부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산업에 따라 자주 보이는 기기는 다를 수 있다.

 

2. 단자대

제어판의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에서 빨간 테두리 부분은 단자대이다.

단자대는 전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한다.

분전반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의 센서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나사식 단자대가 사용되며, 전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돌린다.

감전 위험이 있어 대부분 투명한 커버로 덮여 있다.

 

3. 차단기(=브레이커)

차단기는 전원을 끄기 위한 기기로, 수동으로 전원을 끄거나 특정 전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한다.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있는 형태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1. 배선용 차단기 : 큰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2. 누전 차단기 : 누전 차단 기능 추가,

    누전 발생 시 전원을 끄지 않고 경고하는 기능이 있는 차단기가 있음(중요 회로 보호용)  

 

 

 

 

 

차단기를 오프 상태로 하지 않으면 제어판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차단기의 기본 구성은 큰 전류를 설정하는 메인 차단기와 여러 개의 작은 차단기 또는 서킷 프로텍터가 있다.

 

 

4. 서킷 프로텍터(= CP, 차단기)

 

 

서킷 프로텍터는 차단기와 유사하게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주로 용량이 낮은 회로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0.1A, 0.2A.... 등 다양한 정격 전류가 많이 있다. 

서킷 프로텍터는 크기가 작아 제어판 내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5. 변압기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일반 모터는 AC200V가 필요하지만, 제어 기기는 AC100V가 필요할 수 있다. 

변압기는 전압을 낮추거나 높이는 데 사용된다.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 전압은 배선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서비스 콘센트

제어판 내에 서비스 콘센트가 있을 수 있다.

이 콘센트는 PLC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PC용으로, 대전력 기기는 연결할 수 없다.

과거에 청소기를 연결해 회로가 차단된 사례가 있다.

 

7. PLC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장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이다.

PLC는 입력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간단한 제어의 경우 PLC 없이 배선만으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8.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기기이다.

많은 제어 기기는 DC24V로 작동하므로, AC 전원을 직류로 변환해야 한다.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이 클수록 더 많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사진의 파워서플라이의 사양

입력 : 100~240V

출력 : 직류 24V, 용량 30W

 

9. 인버터

 

 인버터는 입력된 AC 전압을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로 컨베이어 모터나 펌프에 사용된다.

 

10. 서보 앰프

서보 앰프는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서보 모터는 높은 정밀도로 지정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11. 릴레이

 

 

 

 릴레이는 전자기 접점을 열고 닫는 부품이다.

전자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열리거나 닫힌다.

 

12. 전자 접촉기

 

 릴레이와 차이점

 

릴레이를 크게 만든 느낌의 접촉기

전자 접촉기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접점을 여닫는 기기이다.

주로 모터, 히터, 램프 등의 부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주접점 : 모터의 전원 ON/OFF용

보조접점 : 주접점이 ON되면 ON이 되기 때문에, 모터가 운전한다는 신호를 PLC등에 전달할때 사용

 

그외 사용 용도

 

 

전자 개폐기

 

1. 전자 계폐기 : 전자접촉기에 서멀 릴레이를 추가 것

 

2. 서멀 릴레이 (과부하 보호용 릴레이)

모터 등의 부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부하 전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접점을 개폐시킴

서멀릴레이는 모터를 ON/OFF하는 주회로를 차단하는것은 불가.

차단할 때는 조작회로(제어회로)에 서멀 릴레이를 접속함.                      

 

 

 

서멀릴레이 분해 : 전기의 힘으로 동작하지 않고, 열의 힘으로 동작 (바이메메탈)

 

 

 

13. 허브

 

 

허브는 PLC나 터치 패널을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할 때 필요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수집 및 원격 조작을 위한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14. 표시등 및 경고음

표시등은 장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다.

부저는 장비의 오작동이나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발하는 기기이다.

 

15. 결론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 내 전기 기기 부품을 소개했다.

제어판에는 다양한 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기기에 대해 배우면 장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채널의 다른 영상이나 블로그를 참고하길 권장한다.

 

 

반응형

🔹 플런저(Plunger)란?

**플런저(Plunger)**는 왕복 운동(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형 또는 원통형 부품으로, 펌프, 밸브, 유압 및 공압 장치 등 다양한 산업 기계에서 사용됩니다.


📌 1. 플런저의 기본 개념

액체나 기체를 압축, 밀어내거나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
직선 운동을 반복하며 유체의 흐름을 조절
펌프, 실린더, 밸브, 연료 분사 장치 등에서 사용

📌 💡 플런저와 피스톤의 차이점

  • 피스톤(Piston) →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하면서 압력을 생성
  • 플런저(Plunger) → 피스톤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실린더 벽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보다 높은 압력을 생성 가능

📌 2. 플런저의 주요 용도

① 플런저 펌프 (Plunger Pump)

고압 액체 이송용 펌프
플런저가 왕복 운동하여 유체를 밀어내는 방식
정확한 정량 제어가 가능하여 고압 세척기, 연료 분사, 수처리 시스템에 사용

📌 예시:

  • 고압 세척기 (고압수 펌프)
  • 수처리 플랜트
  • 정량 펌프 (계량 이송 장치)


② 플런저 밸브 (Plunger Valve)

유체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밸브
공압 또는 유압 방식으로 작동
유체 흐름을 개폐하거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

📌 예시:

  • 공압 및 유압 장비의 제어 밸브
  • 자동차 엔진 연료 분사 밸브
  • 화학 공정의 유량 조절 밸브

③ 유압/공압 실린더 플런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서 힘을 전달하는 부품
고강도 재질(스테인리스강, 세라믹)로 제작되어 마모 및 부식 저항성이 높음

📌 예시:

  • 유압 프레스 머신
  • 산업용 공압 액추에이터
  • 자동화 설비에서 이송 및 압착 장치

④ 연료 분사 플런저 (Fuel Injection Plunger)

디젤 엔진에서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역할
플런저가 왕복 운동을 하며 연료 압력을 생성

📌 예시:

  • 디젤 엔진 연료 분사 시스템
  • 고압 연료 펌프 (Common Rail System)

📌 3. 플런저의 장점과 단점

장점

고압에서 안정적인 작동 가능
정밀한 유량 및 압력 제어 가능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 가능

단점

왕복 운동으로 인해 마찰이 발생 → 유지보수 필요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작 비용이 높을 수 있음


✅ 결론

💡 플런저는 왕복 운동을 통해 유체를 밀어내거나 압력을 조절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 펌프, 밸브, 유압/공압 실린더, 연료 분사 시스템 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됨
  • 특히, 고압 환경에서 정밀한 유체 제어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활용

📌 즉, 플런저는 "정확한 힘과 유량을 조절하는 핵심 부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https://youtu.be/b-i5otITC64?si=x-kFdThMQtufwMKX

 

반응형

🔹 공정배관계장도(P&ID) 기초 개념 정리

**P&ID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공정배관계장도)**는 산업 플랜트, 공장, 설비 시스템의 배관 및 계장(제어기기)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배관, 밸브, 계측기, 제어장치 등의 배치를 포함하여 공정(Process) 흐름을 상세히 표현합니다.


📌 1. P&ID의 목적 및 역할

플랜트 및 공장 설비의 전체적인 흐름 이해
배관, 밸브, 기기, 계측기의 연결 관계 표현
제어 시스템 구성(PLC, DCS 등) 및 신호 흐름 분석
유지보수 및 트러블슈팅을 위한 기준 도면 역할

📌 💡 적용 분야:

  • 화학 공장, 정유 공장, 발전소, 제약 공장
  • 반도체 공정, 식품 가공, 수처리 설비 등

📌 2. P&ID 기본 구성 요소

P&ID 도면에는 크게 4가지 핵심 요소가 포함됩니다.

① 배관 (Piping)

  •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선(Line)으로 표시
  • 배관 크기(NPS, DN) 및 재질 정보 포함

📌 주요 배관 기호 예시:

배관 종류 기호

일반 배관 ————
유연 배관(Flexible Hose) ─ ─ ─ ─
절연(Insulated) 배관 ≡≡≡

② 계기 및 제어 시스템 (Instrumentation & Control)

  • 온도, 압력, 유량, 레벨 등의 측정기기 포함
  • DCS(분산제어시스템), PLC(자동제어 시스템) 연계 표현

📌 주요 계기 기호 예시:

계기 종류 기호 설명

압력 게이지 P Pressure (예: PI - Pressure Indicator)
온도 센서 T Temperature (예: TI - Temperature Indicator)
유량계 F Flow (예: FI - Flow Indicator)
레벨 센서 L Level (예: LI - Level Indicator)

📌 예시:

  • PI-101Pressure Indicator 101 (압력 지시기 101번)
  • LT-202Level Transmitter 202 (레벨 센서 202번)

③ 기계 장비 및 밸브 (Equipment & Valves)

  • 펌프, 열교환기, 압축기, 저장탱크 등 주요 장비 표시
  • 수동 및 자동 밸브의 종류와 동작 방식 표현

📌 주요 밸브 기호 예시:

밸브 종류 기호

게이트 밸브 ⬤—⬤
볼 밸브 ◯—◯
체크 밸브

📌 주요 장비 기호 예시:

장비 기호

펌프 🔺 (원형 삼각형)
열교환기
압축기

④ 신호 및 제어 연결 (Signal & Control System)

  • 계측기 및 장비 간의 신호 연결 방식 표현
  • 전기 신호 (—), 공압 신호 (- - -), 데이터 신호 (-·-·-) 등으로 구분

📌 제어 신호 연결 예시:

신호 종류 기호

전기 신호 ————
공압 신호 - - - -
디지털 신호 -·-·-·

📌 3. P&ID 해석 방법

P&ID를 읽을 때는 다음 3단계 순서로 분석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주요 장비(펌프, 탱크, 열교환기 등) 확인
2️⃣ 배관 흐름과 연결 관계 파악
3️⃣ 계측기 및 제어 신호 흐름 분석

📌 예제 분석 (기본적인 P&ID 예시)

  • P-101 (펌프) → 배관을 통해 유체 이동
  • FT-201 (유량 트랜스미터) → 유량을 측정하여 PLC로 신호 전송
  • CV-301 (제어 밸브) → PLC 신호를 받아 자동 개폐

📌 4. P&ID 작성 및 관리 시 유의 사항

국제 표준(ISA, ANSI, ISO) 준수
기호 및 태그 넘버링(Equipment ID) 일관성 유지
배관 크기, 압력 등급(Class), 유체 흐름 방향 명확히 표시
제어 신호(PLC, DCS 연계) 및 인터락(Interlock) 정보 포함


✅ 결론

💡 P&ID는 공정 배관과 계장(계측기, 제어장치 등)의 관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도면입니다.

  • 배관 흐름, 주요 장비, 계측기 및 제어 신호 흐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핵심
  • PLC, DCS와 연계된 제어 시스템 분석에도 필수적

📌 P&ID를 해석할 수 있으면 공정 엔지니어, 설비 유지보수, 자동화 엔지니어로서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

반응형

미쓰비시 서보 모터(MR-J 시리즈 등)에서는 리얼 모드(Real Mode)와 가상 모드(Virtual Mode) 개념이 사용됩니다.
이 두 가지 모드는 위치 결정 및 모터 제어 방식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 리얼 모드 (Real Mode)란?

실제 서보 모터를 구동하는 모드
모터와 엔코더가 물리적으로 동작하여 실시간 위치 피드백을 받음
실제 하드웨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동작
기계적 부하(Load)에 영향을 받음

📌 💡 특징:

  • 실질적인 모터 회전이 발생
  • 서보 드라이브가 실제 위치/속도/토크를 제어
  • 모터와 기계 장치 간의 상호작용이 존재

📌 💡 사용 예:

  • 실제 장비에서 서보 모터를 이용한 가공, 이동, 위치 제어
  • 생산 라인에서 실시간 위치 및 속도 제어

📌 2. 가상 모드 (Virtual Mode)란?

모터를 물리적으로 동작시키지 않고 제어 신호만 시뮬레이션하는 모드
서보 드라이브 내부에서 가상의 위치 데이터를 연산하여 동작
실제 모터가 움직이지 않지만, 가상 위치 피드백은 제공됨
PLC 및 상위 제어 시스템에서 테스트용으로 사용 가능

📌 💡 특징:

  • 서보 모터가 실제로 구동되지 않음 (소프트웨어적으로만 움직임)
  • 기계적 부하 영향을 받지 않음
  • 서보 드라이브 및 PLC에서 동작 시뮬레이션 가능

📌 💡 사용 예:

  • PLC 프로그램 디버깅 및 테스트 (실제 모터 없이 위치 제어 테스트)
  • 설비 유지보수 시 가상운전으로 서보 시스템 점검
  • 기계 조립 전,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을 통한 동작 검증

📌 3. 리얼 모드와 가상 모드 비교

구분 리얼 모드 (Real Mode) 가상 모드 (Virtual Mode)

모터 동작 실제 구동됨 가상으로만 연산됨 (실제 모터 정지)
피드백 방식 실제 엔코더 피드백 사용 가상 위치 피드백 생성
기계 부하 영향 부하에 따라 동작 변동 가능 부하 영향 없음
사용 목적 실장비 구동 및 작업 수행 테스트 및 디버깅
적용 사례 생산 라인, 로봇, CNC 장비 등 PLC 시뮬레이션, 가상 시험운전

📌 4.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에서 가상 모드 설정 방법 (MR-J4 시리즈 기준)

🔹 가상 모드 설정 (Virtual Mode 활성화)

파라미터 변경 (MR Configurator2 소프트웨어 사용)

  • 파라미터 Pn002.1 = 1 (가상 모드 활성화)
  • 서보 드라이브 전원을 껐다 켠 후 적용

PLC 프로그램에서 가상 운전 실행 (Virtual Operation Mode ON)

  • 모터 없이 서보 위치 데이터 변화 확인

📌 💡 주의 사항:

  • 가상 모드에서는 모터가 실제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기계적 동작 검증에는 사용할 수 없음
  • 실제 운전 전에 반드시 리얼 모드로 변경 후 테스트 필요

✅ 결론

💡 "리얼 모드는 실제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 **"가상 모드는 모터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 신호를 시뮬레이션하는 방식"**입니다.
PLC 프로그램 디버깅 및 서보 설정 테스트 시 가상 모드를 사용하면, 실제 모터 없이 제어 로직을 검증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그러나 실제 구동 환경에서는 반드시 리얼 모드로 전환하여 테스트해야 합니다. 😊

반응형

🔹 미쓰비시 서보 모터 원점 복구 구조 및 방법

미쓰비시 서보 모터의 원점 복구는 앱솔루트(Absolute) 방식과 인크리멘탈(Incremental) 방식에 따라 다르게 동작합니다.
각 방식별 원점 복구 구조복구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1. 서보 모터 원점 복구 방식

🔹 ① 앱솔루트 엔코더 (Absolute Encoder) 방식

배터리 내장형 엔코더로, 전원이 꺼져도 위치 데이터 유지
배터리 교체 시 원점 데이터 삭제될 수 있음 → 원점 복구 필요
일반적으로 초기 설치 시 한 번만 원점 설정 필요

🔹 ② 인크리멘탈 엔코더 (Incremental Encoder) 방식

✅ 전원이 꺼지면 위치 데이터가 삭제됨 → 매번 원점 복귀 필요
기계식 리미트 센서 또는 Z상 펄스(Z-pulse) 신호를 사용하여 원점 복구


📌 2. 미쓰비시 서보 원점 복구 구조

🔹 앱솔루트 엔코더 방식 (Absolute Encoder)

  1. 서보 드라이브 내부 배터리가 위치 데이터를 저장
  2. 전원이 꺼져도 원점 좌표를 유지
  3. 배터리 방전 또는 교체 시 원점 데이터 삭제 → 원점 설정 필요

📌 원점 데이터가 삭제되었을 경우 원점 복구 과정
PLC 또는 서보 드라이브 설정에서 원점 복구 명령 실행
기준 위치에서 초기 원점 데이터 저장
이후부터 전원을 꺼도 원점 정보 유지됨


🔹 인크리멘탈 엔코더 방식 (Incremental Encoder)

  1. 전원 ON 시 위치 데이터 초기화됨
  2. 원점 복구를 위해 기계식 리미트 센서 또는 Z상 펄스를 사용
  3. PLC 또는 서보 드라이브에서 원점 복귀 프로그램 실행

📌 원점 복구 구조 (3가지 방식)
리미트 스위치 방식 → 기계식 리미트 센서 접촉 후 후진하여 원점 설정
Z상 펄스 방식 → 모터의 Z상 신호를 기준으로 원점 설정
근접 센서 + Z상 펄스 조합 → 근접 센서 감지 후 Z상 펄스에서 원점 결정


📌 3. 미쓰비시 서보 원점 복구 방법 (실제 적용)

🔹 앱솔루트 엔코더 원점 복구 방법 (배터리 교체 후)

🔹 사용 장비: MR-J2S, MR-J3, MR-J4 서보 드라이브
🔹 원점 데이터 손실 시 수행 절차:

1️⃣ 서보 드라이브 전원 ON
2️⃣ PLC 또는 서보 드라이브 설정 화면에서 원점 설정 모드 진입
3️⃣ 모터를 수동으로 원점 위치로 이동 (기준 위치 맞추기)
4️⃣ 원점 설정 명령 실행 (파라미터 P0000 저장)
5️⃣ 서보 OFF 후 다시 ON → 원점 데이터가 유지되는지 확인


🔹 인크리멘탈 엔코더 원점 복구 방법 (리미트 센서 사용)

🔹 사용 장비: 일반 인크리멘탈 서보 모터
🔹 원점 복귀 순서:

1️⃣ PLC 프로그램에서 원점 복귀 명령 실행
2️⃣ 서보 모터가 리미트 센서를 감지할 때까지 이동
3️⃣ 리미트 센서를 감지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Z상 펄스 검출
4️⃣ Z상 펄스 검출 시 현재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
5️⃣ 원점 복귀 완료 후 서보 모터 정지

📌 💡 참고:

  • 리미트 스위치 감지 후 바로 원점을 설정하면 정밀도가 낮아질 수 있음
  • 리미트 감지 후 후진하여 Z상 펄스에서 정확한 원점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

📌 4. 원점 복구 관련 트러블 및 해결 방법

문제 원인 해결 방법

원점 설정 후 전원 껐다 켜면 원점이 초기화됨 배터리 방전 또는 배터리 연결 오류 - 배터리 상태 확인 및 교체 - 배터리 커넥터 재확인
원점 복귀 중 정지됨 리미트 스위치 고장 또는 위치 설정 오류 - 리미트 스위치 및 Z상 펄스 신호 확인 - 원점 복귀 속도 조정
원점 복귀 완료 후 위치 오차 발생 기계적 백래시 또는 센서 위치 오류 - 감속기 및 기계적 오차 보정 - 근접 센서 위치 재조정

✅ 결론

미쓰비시 서보 모터의 원점 복구는 앱솔루트 방식과 인크리멘탈 방식에 따라 다르게 동작합니다.
1️⃣ 앱솔루트 엔코더는 배터리가 유지되면 원점 정보가 저장됨
2️⃣ 배터리 방전 시 원점 데이터를 초기화해야 함
3️⃣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매번 원점 복귀를 수행해야 함

원점 복구 후, PLC에서 위치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반응형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MR-J 시리즈)에서 트러블(알람, 오류)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에 에러 코드가 표시됩니다.
각 오류 코드에 따라 원인과 해결 방법을 확인하고 조치해야 합니다.


📌 1. 서보 트러블 발생 시 기본 점검 항목

🔹 ① 디스플레이 에러 코드 확인 (서보 앰프 화면 확인)
🔹 ② 에러 원인 분석 (설명서 또는 아래 코드별 조치 참고)
🔹 ③ 전원 OFF → ON 후 초기화 (재부팅 시 해결 여부 확인)
🔹 ④ 배선 및 연결 상태 점검 (전원, 신호, 통신 등 확인)
🔹 ⑤ PLC 및 프로그램에서 서보 제어 신호 확인 (제어 신호 이상 확인)


📌 2.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 주요 에러 코드 및 조치 방법

에러 코드 내용 (원인) 조치 방법

AL.13 (A.13) 과부하 (Overload) - 부하(Load) 감소 (기계 마찰 확인) - 모터 토크 설정 확인
AL.14 (A.14) 과전류 (Overcurrent) - 배선 상태 점검 (U, V, W) - 서보 드라이브 및 모터 손상 여부 확인
AL.16 (A.16) 엔코더 오류 (Encoder Error) - 엔코더 케이블 확인 (CN2 연결 확인) - 엔코더 초기화 수행 (홈 위치 재설정)
AL.19 (A.19) 과속도 (Overspeed) - 속도 설정 확인 - 서보 제어 신호 이상 여부 확인
AL.21 (A.21) 과전압 (Overvoltage) - 전원 공급 상태 확인 - 회생 저항(Brake Resistor) 점검
AL.22 (A.22) 저전압 (Undervoltage) - 전원 전압이 정상인지 확인 - 서보 드라이브 전원 입력 상태 점검
AL.33 (A.33) 배터리 이상 (Battery Alarm) - 배터리 교체 후 알람 해제 (앱솔루트 엔코더 사용 시)
AL.50 (A.50) 서보 온(Servo ON) 실패 - PLC에서 서보 온(SON) 신호 확인 - 인터락 및 외부 신호 점검
AL.E6 (A.E6) 통신 오류 (Communication Error) - RS-485, CC-Link, EtherCAT 등 통신 상태 점검

📌 3. 서보 트러블 해결 상세 가이드

🔹 ① 서보 드라이브 과전류 (AL.14, A.14) 해결 방법

✔ 원인

  • 서보 모터 및 배선 단락(Short)
  • 과부하로 인해 순간적으로 전류 초과

✔ 조치 방법
✅ 서보 모터와 드라이브 간 배선(U, V, W) 점검
✅ 서보 드라이브 리셋 후 부하 감소하여 테스트


🔹 ② 엔코더 오류 (AL.16, A.16) 해결 방법

✔ 원인

  • 엔코더 케이블 접촉 불량
  • 엔코더 손상

✔ 조치 방법
엔코더 커넥터(CN2) 재연결 및 확인
서보 초기화 및 홈 위치 재설정


🔹 ③ 과전압/저전압 오류 (AL.21, AL.22) 해결 방법

✔ 원인

  • 전원 공급 불안정
  • 회생 저항(Brake Resistor) 이상

✔ 조치 방법
입력 전압 확인 (AC 200V~230V 범위인지 확인)
회생 저항 손상 여부 점검 및 교체


🔹 ④ 서보 온(Servo ON) 오류 (AL.50, A.50) 해결 방법

✔ 원인

  • PLC에서 서보 온 신호(SON) 미출력
  • 인터락(Interlock) 설정 문제

✔ 조치 방법
✅ PLC에서 서보 온(SON) 신호가 정상 출력되는지 확인
인터락 신호 및 긴급 정지(EMG) 신호 확인


🔹 ⑤ 통신 오류 (AL.E6, A.E6) 해결 방법

✔ 원인

  • RS-485, CC-Link, EtherCAT 등 통신 단절
  • 통신 속도 및 노드 주소 충돌

✔ 조치 방법
통신 케이블 재연결 및 설정 확인
✅ PLC 및 서보 드라이브 재부팅 후 정상 여부 점검


📌 4. 서보 트러블 발생 시 전체적인 점검 순서

1️⃣ 에러 코드 확인 (서보 앰프 디스플레이 또는 PLC에서 확인)
2️⃣ 배선 점검 (전원, 서보 모터, 엔코더, 통신 등)
3️⃣ 파라미터 설정 점검 (속도, 토크, 인터락 등)
4️⃣ PLC 프로그램 및 신호 확인 (서보 온(SON), 위치 제어 신호 등)
5️⃣ 서보 드라이브 초기화 및 재부팅


📌 5. 최종 해결이 안 될 경우

🔹 미쓰비시 기술 지원 센터 문의
🔹 서보 드라이브 및 모터 교체 고려
🔹 전문 엔지니어 점검 요청


💡 ✅ 결론
미쓰비시 서보 드라이브의 트러블 발생 시 에러 코드 확인 → 원인 분석 → 조치 순서로 해결합니다.
배선 점검, 신호 확인, 서보 리셋 등을 통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