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상 380V란?

3상 전원은 세 개의 교류(AC) 전압이 120도 위상 차를 두고 발생하는 전력 시스템입니다.
대한민국과 많은 나라의 산업용 전원 시스템에서는 3상 380V를 아주 많이 사용합니다.

3상 4선식 구조 (R, S, T, N)

선간 전압 (R-S, S-T, T-R 간 전압) : 380V

상전압 (R-N, S-N, T-N과 N 중성선 간 전압) : 220V
→ 즉, 선 하나와 중성선(N) 사이 전압은 220V



---

왜 3상 전기를 쓰나요?

단상(220V)보다 출력이 크고, 효율이 높으며, 모터 회전이 부드럽고 안정적입니다.

대형 모터나 기계, 설비들은 거의 대부분 3상 전기가 필요합니다.



---

3상 380V 기본 구조

R ----
        │
380V    │
        │
S ----
        │
380V    │
        │
T ----
        │
380V    │
        │
N ---- (Neutral, 중성선)

R-S 간 전압 = 380V

S-T 간 전압 = 380V

T-R 간 전압 = 380V

R-N, S-N, T-N 간 전압 = 220V



---

3상 380V 주요 특징


---

참고: 3상 380V 시스템에서

모터는 보통 3선(R, S, T)만 연결합니다. (N선 연결 안 함)

일반 전등, 콘센트는 R-N 또는 S-N 또는 T-N 중 하나를 이용해 220V로 씁니다.



---

간단 정리

3상 380V = 산업용, 고출력 필요할 때 사용

3상 = 전기가 3줄 (R, S, T) 흐르고, 중성선(N)은 필요에 따라 추가

모터, 인버터 같은 설비는 3상 380V 없으면 제대로 동작안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


3상 380v와 단상 220v 차이점은?

좋아요,
3상 380V랑 단상 220V의 차이, 핵심만 깔끔하게 설명해드릴게요.


---

1. 전기의 흐름 (전원 구조 차이)


---

2. 전압 차이

3상 380V

R-S, S-T, T-R 간 전압 = 380V

R-N, S-N, T-N 간 전압 = 220V


단상 220V

L-N 간 전압 = 220V



→ 즉, 둘 다 220V를 쓸 수 있지만, 3상은 기본적으로 더 강력한 380V 전원을 갖고 있습니다.


---

3. 사용 용도 차이


---

4. 설치와 배선 차이

3상 380V는 배선이 더 복잡합니다. (R, S, T 3가닥 + 중성선 필요할 수도 있음)

단상 220V는 배선이 간단합니다. (2가닥이면 충분)



---

5. 쉽게 비유하면


---

6. 요약

> 3상 380V는 "힘이 세고, 고출력 설비" 에,
단상 220V는 "집안, 간단한 기기" 에 씁니다.




'전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쯔비시 인버터 결선 rst, uvw에 대해 설명  (0) 2025.04.27
PT100 측온저항체란?  (0) 2025.02.26
16비트와 32비트 차이점  (0) 2025.02.24
PNP NPN  (0) 2025.02.20
릴레이 베리어란? (역활, 구조, 배선 방법)  (0) 2025.02.19
반응형

미쯔비시 인버터 결선에서 RST와 UVW는 매우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1. RST (입력 단자)

R, S, T는 인버터에 들어오는 AC 전원 (3상 입력) 을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쉽게 말하면, 외부 전원 (보통 3상 220V 또는 380V AC)을 여기 연결합니다.

순서는 일반적으로 상관없지만, 인버터 매뉴얼에서는 권장 순서로 연결하는 걸 추천합니다.

인버터 내부에서 이 전기를 DC로 변환(정류)한 후 다시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해 모터를 구동하게 됩니다.


2. UVW (출력 단자)

U, V, W는 인버터에서 나오는 3상 교류 출력입니다.

이 출력은 모터에 연결됩니다.

인버터는 이 UVW를 통해 주파수와 전압을 제어하면서 모터의 속도나 토크를 조정합니다.

만약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돈다면, UVW 중 두 선을 바꾸면 됩니다 (예: U와 V를 교체).



---

간단 요약
| 구분 | 의미 | 연결 대상 | |:---|:---|:---| | RST | 인버터 입력 (3상 AC 전원) | 외부 전원 | | UVW | 인버터 출력 (3상 AC 전원) | 모터 |


---

필요하시면 결선도나 실제 연결 예시도 같이 설명드릴게요!
혹시 인버터 모델명 (예: FR-D700, FR-E800 등) 알려주시면 그 모델에 맞게 좀 더 디테일하게 설명해드릴 수도 있어요.

필요하신가요?

좋습니다!
미쯔비시 FR-E800 시리즈 인버터의 경우, RST와 UVW 결선은 기본적인 구조는 같지만, 조금 더 세밀한 기능들도 추가되어 있습니다. 바로 본격적으로 설명드릴게요.


---

FR-E800 모델 RST / UVW 결선

1. R, S, T (입력단)

3상 AC 전원 입력입니다. (주로 200480V 3상 depending on 모델)

일반적인 결선:

R → 외부 전원 R상

S → 외부 전원 S상

T → 외부 전원 T상


만약 단상 전원(220V) 을 사용할 경우에는 R, S에만 연결합니다. (T는 비워둡니다)


2. U, V, W (출력단)

인버터에서 모터로 출력되는 3상 전원입니다.

결선 방법:

U → 모터 U상

V → 모터 V상

W → 모터 W상


모터가 역회전(반대 방향 회전)할 경우, UVW 중 두 선을 바꿔주면 됩니다 (예: U와 V를 서로 교환).



---

추가 포인트 (FR-E800 특징)

일부 모델은 R0, T0 단자도 있습니다. (이건 브레이크 저항기 연결용 전원 등 특수용도)

Input Reactor 또는 Noise Filter를 추가 설치할 수 있습니다. (특히 400V급 모델에서는 추천)

FR-E800은 기본으로 Ethernet 통신, Modbus, CC-Link IE TSN 지원하는 고급형 인버터입니다.

만약 EMC 규정(노이즈 규정)이 중요한 현장이라면, 외부 필터(Ferrite Core 등) 추가 권장합니다.



---

FR-E800 기본 결선 다이어그램 (간단 버전)

외부 전원 (3상 AC)
   │    │    │
   R    S    T
   │    │    │
+--+----+----+--+  
|              |
|    인버터    |
|              |
+--+----+----+--+
   U    V    W
   │    │    │
모터 (3상)


---

주의사항

인버터 전원을 켜기 전에 반드시 결선이 정확한지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모터 정격 전류에 맞게 인버터 용량을 맞춰야 합니다.

전원 투입 전에 모터 및 배선 절연 저항 점검 필요합니다. (Mega 테스트기 사용)



---

필요하면 실제 FR-E800 단자 블록(단자판) 사진이나 매뉴얼 표도 같이 첨부해드릴게요.
혹시 연결하려는 모터 사양(전압/출력/kW 등)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그럼 좀 더 맞춤형으로 세팅 방법도 안내해드릴 수 있어요!

필요하세요?




'전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3상 380v란?  (0) 2025.04.27
PT100 측온저항체란?  (0) 2025.02.26
16비트와 32비트 차이점  (0) 2025.02.24
PNP NPN  (0) 2025.02.20
릴레이 베리어란? (역활, 구조, 배선 방법)  (0) 2025.02.19
반응형

PT100 측온저항체는 온도를 측정하는 저항 온도 감지기(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의 한 종류입니다. **백금(Platinum, Pt)**을 센서 재료로 사용하며,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PT100의 특징

1. 저항 값:

PT100은 0°C에서 100Ω의 저항 값을 갖습니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며, 3850ppm/°C(0.385Ω/°C)의 온도 계수를 가집니다.



2. 정확성과 안정성:

백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장기간 사용해도 신뢰성이 높습니다.

다른 온도 센서(예: 서미스터, 열전대)보다 선형성이 우수합니다.



3. 온도 범위:

일반적으로 -200°C ~ 850°C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 PT100 센서는 주로 -50°C ~ 250°C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4. 배선 방식:

2선식: 저항 변화만 측정하지만, 선의 저항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선식: 선 저항의 영향을 보정하여 정확도를 높임.

4선식: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함.




PT100의 용도

산업용 온도 측정 (화학, 발전소, 제조업 등)

정밀한 실험실 온도 모니터링

의료 및 식품 산업에서 온도 관리

반도체 및 전자 부품 테스트


PT100은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 덕분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필요한 온도 범위와 정확도에 따라 적절한 배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 3상 380v란?  (0) 2025.04.27
미쯔비시 인버터 결선 rst, uvw에 대해 설명  (0) 2025.04.27
16비트와 32비트 차이점  (0) 2025.02.24
PNP NPN  (0) 2025.02.20
릴레이 베리어란? (역활, 구조, 배선 방법)  (0) 2025.02.19
반응형

 

1. 16비트
16비트 숫자는 2의 16승(216)까지의 고윳값을 저장할 수 있는 숫자입니다.
16비트 숫자의 범위는 부호 유무에 따라 다릅니다. 

 

2. 16비트 숫자의 범위

부호가 없는 16비트 정수의 범위는 0부터 65,535까지입니다
부호가 있는 16비트 정수의 범위는 -32,768부터 32,767까지입니다




1.  32비트
32비트 숫자는 32개의 비트로 표현한 숫자로,
32비트 컴퓨터에서 정수로 저장할 수 있는 최대값은 2,147,483,647입니다. 

2. 32비트 숫자의 범위

32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의 숫자는 0부터 4294967296까지입니다. 

32비트 부호형 정수형이라면 -2147483648 ~ 2147483647입니다. 

 

3. 32비트 숫자의 특징
양과 음이 있는 정수를 표시하려면 32비트 가운데 한 비트는 비워두어야 합니다. 
부호 있는 정수는 2의 보수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가장 중요한 비트는 부호(음수의 경우 1, 양수 및 0의 경우 0)를 포함합니다. 
32비트 컴퓨터는 메인 메모리인 RAM을 읽고 쓸 때 4 GB(기가바이트) 까지만 인식할 수 있습니다. 

 

 

 


 

 

 

 mAh 단위

 

mAh(밀리암페어시, milliampere-hour)**는 배터리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읽는 방법

 "밀리암페어아워" (한글)
 "밀리암페어시" (조금 더 직역된 표현)
 "엠에이치" (줄여서 읽는 경우)
 "밀리암페어아워즈" (영어 발음: milliampere-hours)

예를 들어 3000mAh
🔹 "삼천 밀리암페어아워"
🔹 "삼천 엠에이치"
🔹 "Three thousand milliampere-hours" (영어)
등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1. PNP : 0V전원이 인가되어 있다가, 입력 신호가 24V가 되어 나옴
  - PLC카드에는 L, M이 있고, 각 24VDC임.
  - 카드에 24VDC가 들어가야함.
  - 카드에 0V가 들어가서, 컴온(공통)으로 있는 상태.

2. NPN : 24V전원이 인가되어 있다가, 입력 신호가 0V가 되어 나옴
  - PLC카드에는 L, M이 있고, 전원(24VDC)을 넣어줘야함.
  - 카드에 입력은 0VDC가 들어가야함.
  - 기본 24V가 인가되어 있고, 이를 COMMON(공통)으로 있는 상태.

3. 솔벨브 코일을 살려줄려면, +24VDC, -0VDC 두선이 연결되어야,
   자기장이 형성되어서 밸브가 열림.

4. 단자대 (P, N)에서 솔밸브 동작 구조
   - N에서 여러개 솔밸브에 0V의 선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음. 다른 한선은 PLC에서 출력이 오면 솔밸브 동작(PNP 유럽)
   - P에서 여러개 솔밸브에 24V의 선이 하나씩 연결되어 있음. 다른 한선은 PLC에서 출력이 오면 솔밸브 동작(NPN 일본)






반응형

 

릴레이 배리어(Relay Barrier)란?

 

전기 회로에서 릴레이(Relays)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 장치입니다.

배리어 릴레이, 배리어, 접점신호변환기 등으로도 불립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역할

  1. 전압 및 전류 보호
    • 과전압,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릴레이를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합니다.
  2. 신호 간섭 방지
    • 외부 전자기 간섭(EMI)이나 노이즈로 인해 릴레이가 의도치 않게 작동하는 것을 막습니다.
  3. 안전성 향상
    • 릴레이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기계적 오작동이나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절연 기능
    • 고전압 회로와 저전압 제어 회로를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종류

  1. 방폭형 배리어(Explosion-Proof Barrier)
    • 폭발 위험이 있는 산업 현장에서 릴레이 신호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광절연 배리어(Opto-Isolated Barrier)
    • 광학 절연(Optocoupler)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합니다.
  3. 서지 보호 배리어(Surge Protection Barrier)
    • 번개나 순간적인 전압 상승으로부터 릴레이 및 전자 장치를 보호합니다.

릴레이 배리어는 주로 산업 자동화, 전력 시스템, 통신 장비 및 방폭 지역 등에서 사용됩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릴레이 배리어 배선 방법

릴레이 배리어의 배선은 사용 목적(예: 신호 절연, 방폭, 서지 보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배선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기본적인 릴레이 배리어 배선 개요

릴레이 배리어는 입력(제어 신호), 출력(릴레이 또는 부하), 그리고 전원(DC 또는 AC) 단자로 구성됩니다.

🔹 기본적인 배선 흐름:

  • 제어 신호(입력) → 릴레이 배리어 → 릴레이(출력) → 부하(모터, 램프 등)

2️⃣ 배선 방법 (Step by Step)

① 전원 연결

  • 릴레이 배리어의 전원 단자(예: +V, GND)에 적절한 전압(예: DC 24V, AC 220V) 을 연결합니다.
  • 올바른 극성을 확인하여 연결해야 하며, 서지 보호를 위해 퓨즈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② 입력(제어 신호) 연결

  • PLC, 스위치, 센서 등에서 나오는 신호선을 입력 단자(IN+, IN-) 에 연결합니다.
  •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릴레이 배리어가 동작하여 출력을 제어합니다.

③ 출력(릴레이 또는 부하) 연결

  • 릴레이 배리어의 출력 단자(OUT+, OUT-)를 릴레이 코일 또는 부하(전등, 모터 등) 에 연결합니다.
  • 만약 릴레이를 사용한다면, 릴레이의 NO(통상 개방), NC(통상 폐쇄), COM(공통) 단자에 맞춰 배선해야 합니다.

3️⃣ 릴레이 배리어 배선 예시

📌 PLC와 릴레이 배리어를 사용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

PLC 출력  →  릴레이 배리어 입력
릴레이 배리어 출력  →  릴레이 코일
릴레이 접점  →  모터 ON/OFF

🔹 배선도 예제:

[PLC] ---- (입력) ---- [릴레이 배리어] ---- (출력) ---- [릴레이] ---- [모터]
  • PLC의 출력 신호가 ON되면 릴레이 배리어가 동작하여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모터가 구동됩니다.

4️⃣ 배선 시 주의 사항

전원 극성 확인: DC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오동작할 수 있습니다.
입력 신호 레벨 확인: PLC나 센서의 출력 전압이 릴레이 배리어의 입력 전압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세요.
출력 전류 용량 확인: 릴레이 배리어의 출력 전류가 부하(릴레이 코일, 모터 등)의 요구 전류보다 충분한지 체크하세요.
노이즈 방지: 신호선과 전력선을 분리하여 배선하고, 필요하면 차폐선을 사용하세요.


릴레이 배리어의 배선 방법은 제품의 사양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매뉴얼을 반드시 확인하고 배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iOQoWngmMw0

 

 

 

내부 회로 블럭도

 

- 아래 : 부분이 비 위험측 (비안전회로)

- 위 : 위험측 (본안전회로)

- 위험측 : 입력 기기를 접속하는 위치

 -  L,N 부위 : AC전원은 직류전원에 변환되어, DC/DC컨버터에 의해 직류가 강압되어 있습니다.

    어느쪽의 변환 부분도 아이솔레이션(도체적으로 분해 해서, 절연)된 상태입니다.

- 입력과 출력간의 포토 커플러도 절연 되어 있습니다.

 

 


배선 방법

 

 

 

 

입력측인 위험 장소측에 셀럭트 스위치를 접속합니다.

 

전체 도면

 

 

 

이번에는 PLC측의 전원 및 24V 전원의 1차측에 배선합니다.

 

 

 

 

우선. PLC 입력유닛 QX40의 COM단자에 24V 전원의 (+)를 접속합니다.

 

 

 

 

 

 

 

 

 

 

 

 

 


 

 

1. 전원 확인

브레이커를 ON하면 전원이 켜지고, PLC, 릴레이 배리어에 전원이 들어옵니다

 

2. 테스터로 전압 확인

- 위헙장소측의 전압을 테스터로 확인하면, 직류 12V임을 확인 가능합니다.

- 비위험장소측의 전압은 직류 24V임을 확인 가능합니다.

- 비 위험장소측과 위험장소측이 전압이 틀리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 이유 : 위험장소측의 현장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해서, 착화가 되는 화제가 발생하지 않는 레벨로

             제어 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3. 셀렉터 스위치를 ON 동작시

 - 위험장소측의 CH1 P1 옆에 표시가 점등되어 입력됩니다.

-  릴레이 배리어의 CH1이 ON되고, PLC의 입력이 ON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niE1CLPL8qg

 

 

 

 

 

 

 

리드봉 단선 확인 방법

저항으로 하고, 리드봉을 접속하면 0근처로 되어 있으면, 리드봉이 단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 가능합니다.

큰 저항치는 단선을 의미, 수리 필요합니다.

 


 

 

교류 전압 측정 방 (콘센트의 전압을 측정)

1. 교류측정레인지로 이동

교류는 +, - 극성에 관계 없으므로, 리드봉 색에 상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콘센트  전압 약 102.5V임을 확인. (일본의 경우)

 


직류전압 측정 방법

1. 직류 전압측정으로 돌

붉은색 리드봉을 전지의 +측,  검은색 리드봉을 -측에 접속합니다.

 

2. 건전지 전압은 약 1.6V임

 

 


저항(전) 측정 방법

 

케이블 단선을 확인 하는 방법.

- 실제 저항측정 및 전도 확인을 확인시 전압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해 주세요.

- 전압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저항치를 즉정하면 스파크가 튀어, 테스트기 내부 휴즈가 고장남.

 

1. 저항

2. 전선을 리드봉으로 접속하고, 표시가 0옴 근처에 있다면 정상.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2UDVg9cS4Rs

 

 

 

 

 

오므론 MY형식의 릴레이.

이 릴레이의 접점은 2C, 3C, 4C 의  3종류가 있음. 2C / 4C를 많이씀.

릴레이는 코일부분에 전압이 인가되면 접점이 동작합니다.

점점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코일의 전압에는 종류 있고, 교류(AC)와 직류(DC)가 있습니다.

 

코일 전압이 직류의 경우 (+)와 (-)의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 합시다.

 


 

오므론 MY형식의 릴레이.

 

13번, 14번은 코일 단자입니다.

13번, 14번에 전압을 가하면, 코일 전류가 흘러 접점이 개폐합니다.

 

코일 전압이 직류의 경우 : 13번에 (-)측의 배선을 14번에 (+)측의 배선을 접속 합니다.

(-)마이너스는 [낮음, 작음]의 의미로, 14번보다 작은쪽 13번을 마이너스라고 외워두면 편리함.

 

 

릴레이 위에 적혀져 있는 번호와 소켓의 단자 번호의 읽는 방향이 반대임

이유 : 아래에서 본 단저번호가 기제되어 있기 때문임.  릴레이를 소켓에 삽입히면 같은 번호가 

배선시 : 소켓의 번호를 보고 배선하면됨.

 

 


 

온 / 오프 회로로 설명

 

 

동작 설명

 

1. 푸쉬버튼 BS1을 누르면, 릴레이(R) 코일단자에 전압이 걸려, 코일이 여자됨.

2. 코일이 여자되어, 릴레이의 a접점이 닫힘.

3. 릴레이의 접점이 닫힘으로, 표시등이 점등됨.

 

 

 

 


참고 자료

 

1. 시퀀스 접점에 대해

 

https://blog.naver.com/bonitastudio/220891675762

 

시퀀스제어에 대하여.. 기호, 문자기호 등, 시퀀스회로 접점에 대한 이야기...

안녕하세요 포동이 인사드립니다. 오랜만에 제가 포스팅하게되네요~ 와이프는 바쁜 사람인지라.. 물론 저도...

blog.naver.com

 

 

 

 

 

 

2. 릴레이 배선

https://blog.naver.com/bonitastudio/221101930275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Le_1pJYPm-A

 

 

 

 

 

 

COM은 공통 단자 및 공통선을 말함.

 

 

 

릴레이 CO 접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자가 COM이됨. (9번, 12번)

 

 

 

 

 

 

 

직류 24V 회로에서 a접점의 경우.

5를 + 전원측

9를 - 전원측에 접속

 

 

릴레이를 정면에서 보면, 배선이 위의 단자로 들어가서,

아래의 단자로 나옵니다.

 

 

미쯔비시 PLC, DC 전원 사양, 입력 유닛 종류

 

1. 플러스 코먼 타입 : COM 단자에 플러스 전원(24V)을 접속

2. 마이너스 코먼 타입 : COM 단자에  마이너스 전원(0V)을 접속

3. 플러스 마이너스 커먼 공용 타입 : COM 단자에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으로도 접속됨.

 

 

 

상기 도면은 미쯔비시 PLC Q시리즈, 유저 매뉴얼에 기제되어 있는, 플러스 커먼 타입의 입력유닛 QX40의 사양

 


 

미쯔비시 PLC 입력유닛 QX40의 사양 전기 도면

 

도면 설명

TB17의 COM단자에 DC24V의 플러스측을 접속할 필요가 있음.

+측의 전원은 입력 유닛의 내부에 공유되어 있음.

 

 

 

 

입력유닛 QX40의 실물

 

[TB17]  커먼(COM) 단자에 DC 24V(+)를 접속함.

일본 설비에는 플러스커먼 타입의 입력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커먼(COM)선은 공통의 선으로, 여러선을 모은 배선 및 COM단자에 접속하는 배선을 말함.

릴레이 (-)측의 배선 부분이 공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이 COM선이 됩니다.

 

 

입력 유닛 QX40

 

 

QX40  COM단자에 24V를 접속함으로, 24V가 입력 유닛의 내부에 공통이 되어, 이부분의 배선이 COM선이 

누름 버튼등의 입력기기에는 마이너스 전원 OV와 PLC의 입력선을 접속합니다.

 

 


 

입력단에서 PLC의 공통단자는 무슨말일까?

PLC 내부의 결선을 한데 묶어 놓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끝단에는 LED가 각각 1개씩  정방향, 역방향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된다. 

 

입력단에서 보면, COM 입력단에 +24V를 입력한다는 것은 입력포트에 24G(GND, 0V)를 입력받겠다는 의미이다.

이래야 입력단의 포트LED를 점등할 수 있다. 

실제의 PLC 내부의 입력단의 회로도는 아래와 같다.

 

 

보기가 좀 어렵다. TB는 Terminal Block의 약자이다.

 

그럼 출력단에서 COM은 무엇일까?

입력단의 COM과 같은 의미이나 출력단에서는 COM으로 들어온 선을 그대로 내부회로(래더도)의 연산 결과를 내보내는 릴레이로 ON/OFF 하겠다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COM에 220V 선(특정 색)을 연결하였다면 출력에는 220V가 나간다. 물론, +24V를 연결해 놓으면 +24V가 나간다. 

 

입력단과 출력단의 차이점은 하나 더 있는데,  출력단의 COM이 여러개 있는점이 다르다.

COM0 P40
COM1 P41
COM2 P42, P43
COM3 P44, P45, P46, P47

출력단의 COM이 여러개 있는 이유는 출력단에는 전류를 소모하는 LOAD가 걸리는데 이 때 너무 많은 LOAD를 하나의 출력단에 연결해 놓으면 출력전류가 낮아서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출력이 필요하면 P40, P41에 저출력이면 P44, P45, P46, P47을 이용하자.

 

끝으로, 

XBC/XEC-DN20E : Tr 출력부(싱크타입)

XBC/XEC-DP20E : Tr 출력부(소스타입)

이라는 모델이 있는데 이 모델은 왜 만들어 졌을까?

 

정답은 출력속도를 높히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 릴레이 출력은 내부의 코일을 여자시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이것을 싱크와 소스로 나눈 이유는 로드에서 원하는 출력단의 형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출처: https://fotc.tistory.com/entry/PLC의-COM공통단자의-의미 [Fire On The Candle:티스토리]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74BmN5k0ANA

 

반응형

전기는 양경식 TV 님 유튜브님

 

https://www.youtube.com/watch?v=8qHJTiLyj8g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tdsxM5W-M0g

 

 
 
 

 
고장 진단에 사용하는 디지털 데스터기 기능
1. 전압 측정(교류, 직류)
2. 저항 측정
 


 
 

 
각 기기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지 확인 할 필요가 있음.
 
 
1. 차단기 
차단기의 1차측과 2차측을 측정 합니다.
이번에는 100V 전원의 제어반이기 때문에, 정상일 경우에는  1차측도 2차측도 100V 부근을 표시합니다.

 

1차측 측정 103.7V (정상) 모습

 
예를들어, 트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1차측 전압이 0V인 경우, 그 상류의 차단기 등을 조사 합니다.
 
또, 트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1차측 전압이 100V로
2차측 전압이 0V의 경우는, 브레이커 내부의 접점 불량으로 결상이 되어 있거나, 
볼트의 풀어짐으로 소손되어 있거나,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때는 차단기의 교환이 필요합니다.
 


 
1. 파워 서플라이의 1차측과 2차측을 측정합니다.
1차측과 2차측이 직류, 교류이므로, 테스터기의 레이지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tQtYM01daU

 

 

 

- 전류에는 누전과 부하전류가 있음.

- 横河電機  : リーククランプメーター : CL340

- 후쿠메타 라고도함.

 

 

 

 

누전은 mA로 매우 작은 값이기 때문에, 
작은 전류가 측정되는 누전 전용 클램프 메타로 측정합니다.

부하전류용 클램프메타로는 측정이 불가능함.

 

 

누전은 고장 트러블을 발견하는 지표가 됨으로, 사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 누전전류의 기준치로서, 1mA 이하로 되어 있습니다.

 

 

1mA 이하라면, 절연성능이 잘되어 있다고 해석 된다.

 

 

 

- 절연 저항의 판정 기준

- 상기 표에 기제 되어 있는 전압과 절연저항에서 전류치를 계산하면, 어느 경우에도 1mA가 됩니다.

 

- 누전전류는 노이즈를 발생 하거나, 주의의 사람을 감전 하거나 하므로 주의가 필요함.

- 설비 노후화에 따라 누전이 늘어남.

 

 

 

요코가와 CL340 제품은 mA부터 A까지 광범위한 전류 측정이 가능한 클램프 메터임.

 

 

 

 

 

 


 

누전 측정 방법 2가지


 

 

 

1.  배선을 모아서 센서 부분에서 모아서 즉정하는 방법.

 

 

- 측정 원리

  전류는 부하로 가서 돌아온다. 가는 방향과 돌아오는 방향은 반대임. 서로 곂쳐져서 약  0A가 되어야함.

  만약 누전이 발생하면, 가는 방향, 오는 방향의 차가 발생하므로 그 차를 측정함.

 

 

 

 

단상 2선식 경우 : 2개의 선을 모아 측정

 

 

 

3상 3선식 경우 : 3개의 선을 모아 측정

 

 

 

 

 

 


 

 

 

 

 

 

 

 

 

 

2.   1번에서 어스선 1본을 더 모아서 어스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음.

 

 

 

 

 - 1번 전류와. 2번 전류가 거의 비슷해야함.

 -  다를 경우, 누전전류가 어스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에 흐르기 때문임.

 

 

 

 

 

 

반응형

 

테스터기(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브레이커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 안전 주의사항

전압 측정은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절연 장갑 및 보호 장비 착용
테스터기의 측정 범위와 리드선 상태 확인
측정할 부위에 절연 상태 확인 후 접근
한 손으로 측정하여 감전 위험 최소화


1. 필요한 장비

🔹 디지털 멀티미터 (DMM) 또는 아날로그 테스터기
🔹 절연 장갑
🔹 절연화


2. 테스터기 설정

  1. 테스터기의 전압 측정 모드(V)로 설정
    • 교류(AC) 전압을 측정할 경우 "V~" 또는 "ACV" 선택
    • 직류(DC) 전압을 측정할 경우 "V⎓" 또는 "DCV" 선택
    • 보통 가정 및 산업용 전기는 AC 220V 또는 AC 380V이므로 AC 전압 측정 모드(V~) 로 설정
  2. 측정 범위 설정
    • 220V, 380V 브레이커를 측정할 경우, 600V 이상 범위 선택 (예: 750V AC)
    • 자동 범위 설정(AUTO RANGE)이 있는 테스터기는 자동 선택됨

3. 브레이커 전압 측정 방법

(1) 단상 220V 브레이커 측정

🔹 목적: 브레이커의 정상 동작 및 전압 확인

📌 측정 방법

  • 검은색 리드(접지) → 중성선(N) 또는 접지(GND)에 연결
  • 빨간색 리드(전압 측정용) → 브레이커 출력 단자(L)에 연결

정상 값: 약 220V 표시됨
이상 값:

  • 0V → 브레이커 차단됨 또는 이상 발생
  • 180V 이하 → 전압 강하 또는 문제 발생 가능

(2) 삼상 380V 브레이커 측정

🔹 목적: 3상 전원 상태 및 상간 전압 확인

📌 측정 방법

  • R, S, T 상간 전압 측정
    • R-S: 380V
    • S-T: 380V
    • T-R: 380V
  • 각 상과 중성선(N) 간 전압 측정
    • R-N: 220V
    • S-N: 220V
    • T-N: 220V

정상 값: 상간 380V, 상-중성선 220V
이상 값:

  • 특정 상에서 0V → 상 결손(Fault) 또는 단선 의심
  • 상간 전압이 350V 이하 → 변압기 문제 또는 전압 강하 가능

4. 측정 후 정리

✅ 테스터기 전원을 끄고 리드선을 정리합니다.
✅ 브레이커 주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측정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전기 전문가에게 점검 요청합니다.


📌 결론

테스터기 설정: AC 전압 모드(V~) + 600V 이상 범위 선택
단상 220V: L-N 간 220V 측정
삼상 380V: R-S, S-T, T-R 간 380V 확인
이상 값이 나오면 차단기 및 배선 점검 필요

안전하게 측정하세요! 🔧⚡

 

 


https://www.youtube.com/watch?v=zloUM3W4bzI

 

 

사용할 테스터기

 

 

단상 100V회로에 사용되는 브레이커의 전압을 측정 합니다.

 

 

 - 끝 부분 프로

 

 

일본 일반 가정의 분전반 모습 (단상 100V 다상 200V가 있음)

 

 

 

 

 

 

- 교류전압으로 다이얼 돌림.

- 이때, 저항측정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것.

  실수로 측정하면, 브레이커 트립, 테스터기 고장, 테스터내 휴즈 끊어짐 등의 고장 발생 가능성 있음.

 

 

 

 

 

 

 

 

 

 

 

 

 


3상 브레이커 측정

 

 

 

외관상은 단상 3선식에 사용되는 브레이커와 동일한 형태로 보이지만,

단자간의 전압이 틀립니다.

 

하기의 3구간을 측정해 보면 틀림을 알수 있습니다.

3개 구간이 200V 정도 동일한 전압이면 정상임

  - R-S간 : 205.3V (정상)

  - S-T간

  - R-T간

 

R-S간 : 205.3V (정상)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9dMLcNBsK4

 

 

 

 

시지계, 시지조절계 차이점

 

 

 

 

 

아즈빌 제품 : 열전대 입력

요코가와 제품 : 측온저항체입력

 

 

 

 

 

 

 

 

 

 

 

 

 

 - 단자대에 조절기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되어 있음

 - 입력 :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배선

 - 출력 : 밸브, 덴퍼, 히터등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자계폐기등의 배선을 접속합니다.

 

 

 


 

구성

 

 


 

 

 

1.  아즈빌 제품 : 열전대

      - 입력 : 열전대(봉 형태)

 

 

2. 요코가와 제품 : 측온저항체 입력

    - 단자대에 3개의 전선이 접속 되어 있고, 끝단이 금속 봉형태로 되어 있는게 측온저항체 입니다.

 

 

3. 지시조절계

  - 온도센서의 출력을 현재치로 변환해서,

  - 온도가 목표치로 가까워 지도록, 조작기기에 제어출력을 행함.

  - 제어 출력 종류 : 릴레이 출력, 전압출력, 전류출력이 있음

 

 

 

 

 

 

[참고]

왜 직류 0~20mA가 아니고,  4~20mA를 쓰고 있는가?

  - 고장, 배선 단선으로 신호가 오지 않을 상태와,   측정치가 0일때를 구분하기 위해서임


 

 

 

조작기기

  - 측정 대상의 상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의 전류를 온/오프 하기위해,  전자계폐기 및 SSR을 말함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MGLkNrxM9EM

 

 

使用した機器
ターミナルリレー:オムロン G6D-F4B DC24V(配線で使用)
ターミナルリレー:ミスミ MWTR-1A-4 DC24V
ターミナルリレー:オムロン G6B-47BND DC24V
セレクタスイッチ:オムロン
表示灯(赤):富士電機 DR22D0L-E4R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黄):富士電機 DR22D0L-E4Y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緑):富士電機 DR22D0L-E4G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白):富士電機 DR22D0L-E4W DC24V(配線で使用)
表示灯(赤):IDEC  HW1P-1H2R (AC100V 配線で使用)
パワーサプライ:オムロン  S8VS-09024S
遮断器:三菱電機 NF30-FA 5A
PLC:三菱電機Qシリーズ 出力ユニット QY40P他

 

 

 

 

 

 

터미널 릴레이 : 4개의 릴레이가 독립되어 있음, 각각 제어 가능.

 

 

 

 

일반 렐리이 4개 쓰는것 보다, 터미널 릴레이 1개를 사용하는게 공간활용에 좋음.

 

 

 

 

 

 

- 터미널 릴레이에는 C접점 타입이 판매되고 있음.

  접점의 종류는 A접점이 대부분임.

- 용도 : 다른 설비와 운전, 정지등 신호를 주고받기,

  1극으로 충분할 경우. PLC와 전자변등의 부하를 연결하는 중계용 릴레이등으로 사용됨

 

 

 

 

 


 

 

코일에 전압이 인가되면, 릴레이의 접점이 동작 함.

그때, 상기 표시등이 점등 된다.

 

 


 

 

 


 

 

 


 

파워서플라이 +측과 셀렉터스위치를 연결함.

 

 

 


 

 

 

 

 

 

 

 

 

 

 

 

 

 

 

 

 

배선 완료


 

 

스위치를 ON 하면,  터미널 릴레이와 램프가 ON 됨.

 

 

 

 

 


PLC와 터미널 릴레이 연결

 

  -  PLC:三菱電機Qシリーズ 出力ユニット QY40P他

 

 

 

PLC 출력 유닛(QY40P) 단자 TB17에    DC24V   +(24V) 를 접속함.

 

 

 

 

 

PLC 출력 유닛(QY40P) 단자 TB18에    DC24V   - (0V) 를 접속함.

 

 

 

 

 

 

 

 

 

 

 

 

 


 

표시등을 점등, 소등 하기 위해 접점을 배선 합니다.

 

 

 

 

 

 

 

 

 

 


 

동작 테스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b8Aih12wbA

 

 

 

 

 

 


1.  단선 결선도

차단기, 변압기등 기기 전체적인 접속 관계를 알기 쉽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GL-01  : 주간이 되는 간선의 명

수변전 설비(배전반)에서 부설 되어 있는 케이블

그 분전반으로 메인이 되는 제일 사이즈가 큰 케이블

 

- 1상 3W 200~100V : 이 분전반의 전원의 종류를 표시되어 있음

   (단상 3선식 200 - 100V로 되어 있음)

- CVT 150sq (스퀘어) : 상류의 설비에서 배선되어 있는 케이블 종류와 사이즈

 

- CVT 케이블 : 트립렉스 케이블이라고 해서, 단심 3본을 합쳐서 폴리에텔렌 절연 비닐 시스 전선

  전력용 케이블로 국내에서 폭 넓게 보급되어 있는 케이블

 

3개의 선을 합친 모

 

 

동바

 

- 동바 : CVT150sq 케이블이 동바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함.

- 동바와 1R, 1N이 접속되어 있음 표시

 

 

퓨즈 3A

 

WL(흰색 램프), 상류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지 표시되어 있는 램

 

 

유도등 차단기(계단통로투광등) : 차단기 정격은 50AF (암페어 프레임) / 20AT(암페어 트립)

 

 

브레이커에 붉은색 핸들이 붙어있음.

이것은 소방설비등의 전원을 떻어뜨리면 안된다라는 의미의 표시

 

MCCB 225AF 200AT 차단기 : 이 분전반의 메인 브레이커(차단기) 입니다.

 

 

 

- 메인브레이커(메인 차단기)에서 하기의 동바의 금속판이 3개가 있고, 이중 2개를 분배용 브레이커로

  접속하는데, 어느쪽에 접속하는가에 따라 전압이 달라집니다.

 

 

 

 

 

 

 

브레이커 문자의 색이 다름

- 단상 200V(오렌지색)

- 단상100V(흰색)

 

 

 

 

 

 

 

 

 

 

 

 

 

 

 

반응형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JG21n6KAdU&list=PL4jXe_SNMQxe3GLpORtVeAVyytQl1hHsh&index=3

 

 


 

 

1.  사용한 볼륨 품명 :  東京コスモス電機 :  RV24YN20S B102

      ボリューム (주파수 설정기) 1K옴 가변 저항기

 

2.  노브 장착 (돌리기 쉽게)

 

3. 인버터 : FR-D710W-0.1K (단상 전원 입력 사양)를 이용해서 3상 모터를 동작 할 예정

 

 

 


 

 

 

 

도면을 이미지화 하면 이렇게 됩니다.

 

 

 

 

 

 

 


 

 

 

 

 

 

 

 

 

 

 

 

 

 

 

 

인버터 단자 U에서 모터 단자 U에 접속

인버터 단자 V에서 모터 단자 V에 접속

인버터 단자 W에서 모터 단자 W에 접속

 

여기까지 주 전원 회로 연결 완료.

 

 


 

제어 회로 연결

 

 

 

 

 


 

운전 테스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pSknTFOuKYc&list=PL4jXe_SNMQxe3GLpORtVeAVyytQl1hHsh&index=2

 


 

 

 


배선 연결 순서


 

 

 

 

 

 

 

 

 

 

 

 

 

 

 

 

 

 

 


동작 테스트


 

 

 

센서 교환, 설비 개조등으로 센서 배선할 기회가 있을때 사용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1. 🔌 SSR의 배선 방법 소개

 

SSR은 오무론의 G3FD-X03SN을 사용하며, 일반적인 접점 리레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된다.

[1-2]처음 접하는 사람은 리레의 단자 배치와 내부 연결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실은 거의 동일한 방식이다. [1-5]

미니파워 리레 MY2N과 비교하여 같은 형태의 소켓을 사용해 배선을 설명한다. [1-7]

 

 

 

2. ⚡ SSR과 유접점 릴레이 회로 비교

 

1) G3FD-X03SN 사

 

  • 입력 전압 DC5부터 24V,
  • 출력 적응 부하 : DC4V에서 48V, 최대 3A의 전류 값에 대응

 

  • 회로는 셀렉터 스위치를 켜면 SSR이 ON되고 표시등이 점등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 이번 회로는 실제 SSR을 사용하지 않지만,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유접점 릴레이 동작 구조

미니파워 리레 MY2N, 회로도

 

미니파워 리레 MY2N

회로도 설명 : 입력단자 13,14

단자 : 8, 12 (A접점)

 

 

셀렉터 스위치가 ON되면, 코일 단자에 전가 흘러, 코일이 여자되면 A접점이 닫힘

 

 

표시등에 전기가 흘러 점등되는 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SSR 릴레이 동작 구조

 

 

 - 입력측 : 단자 14, 13이 릴레이 코일 단자에 해당 하는 부분

 - 출력측 : 단자 8, 12가 릴레이 접점에 해당하는 부

 

- 동작 : 셀렉터 스위치가 ON되면 단자 14, 13에 전압이 걸리면, SSR이 ON되어, 접점 대신에 전자 회로에서 신호를 전달

  출력측의 단자 8, 12부분이 ON 

 

SSR 이런 이미지가 됨

  • 유접점 릴레이와 비교하기 위해 회로도를 제시하고, 릴레이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분해 설명한다.
  • SSR을 사용할 경우, 세레크타 스위치를 켜면 전압이 가해져 SSR이 활성화되고, 전자 회로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어 출력 접점이 ON된다.

 

 

 

3. 🔌 SSR 배선 방법

 

  • SSR배선 작업을 시작한다. 
  • 배선에 사용되는 부재 목록은 설명란을 참조해야 한다. 
  • 효율성을 위해 전원 라인에서 배선하는 것이 좋지만, 이번에는 순서대로 배선한다. 
  • 입력 측에서 24V 전원 공급 장치의 플러스와 세렉트 스위치를 연결한다. 
  • SSR의 단자 14와 세렉트 스위치의 배선이 연결된다. 
  • 24V 전원 공급 장치의 마이너스와 SSR의 단자 13이 연결된다. 
  • 출력 측에서는 24V 전원 공급 장치의 플러스와 SSR의 단자 8이 연결된다. 
  • SSR의 단자 12와 표시등이 연결된다. 
  • 마지막으로 24V 전원 공급 장치의 마이너스와 연결되지 않은 표시등의 단자가 연결된다. 
  • 배선 작업이 끝난다. 

 

1) 입력측 배선

 

 

 

2) 출력측 배선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rNhOqyoob20

 

 

 

 

SSR (무접점 릴레이)

 

 

 

이번 영상에서는 SSR(소리드 스테이트 릴레이)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다양한 용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SSR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비접촉형 릴레이로, 고속 스위칭과 정숙한 동작이 특징이며,
 
특히 노이즈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SSR의 구체적인 배선 방법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 SSR 개요

SSR은 소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의 약자로, 무접점 릴레이를 의미함.

전통적인 릴레이와 달리, 반도체 소자(트랜지스터, 트라이악, 사이리스터 등)를 사용하여 전자적으로 작동함.

SSR은 기계적 소음이 없고, 접점의 마모가 없음.

 

2. 장단점

1) 장점 

- 빠른 동작 속도

- 접점의 마모가 없음

- 소음이 없음

 

2) 단점

- 출력은 1A로 제한됨

- SSR 자체가 발열하므로, 큰 전류의 경우 방열 대책이 필요함

- off시에도 매우 작은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음

- 유접점 릴레이보다 비쌈

 

3. 사용 용도

 

1) SSR은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사용됨

 - 빠른 동작 속도가 필요한 회로

 - 높은 빈도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회로

 - 노이즈에 민감한 약전류 회로

 

4.  SSR 구체적인 사용 사례

고속 생산 라인에서 신호를 주고받을 때 사용됨. 기존 릴레이로는 신호 전송이 지연될 수 있음.

- 히터 제어에서 많이 사용됨. 히터는 온/오프가 잦아, 점점이 마모해서, 접점 릴레이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음.

- LED 점등 제어에서도 사용됨. LED는 빠른 온/오프를 통해 빛의 양을 조절함.

 

5. SSR의 종류 및 특징

 

SSR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오므론의 G3FD-X03SN 모델이 소개됨.

 

예시 제품 : G3FD-X03SN은 기존의 접점 릴레이와 동일한 소켓을 사용함.

 

 - 입력측 : 단자 13, 14  (입력이 직류의 경우, 극성이 있으므로 주의 필요)

 - 부하측(출력측) : 단자 8, 12

 

 - SSR 제로 크로스 기능 :  AC 전압이 0이 되는 순간에 SSR을 ON/OFF하는 기능

 - 장점 : 전압이 0V일 때 스위칭하여, 돌입 전류를 억제함으로, 램프, 히터, 모터등에 급격한 전류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메리트가 있음

 

 

 

 

6. SSR의 외관 비교

 

 

 

 

 

 

  

두 가지 SSR(G3HD와 G3FD)의 차이점은 단자의 형태임.

- G3HD는 오므론의 바이파워 릴레이와 동일한 형태

- G3FD는 미니파워 릴레이와 동일함.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DiONNW8E4o

 

 

이번 영상은 제어판 내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소개합니다.
압착 단자는 크게 기계와의 연결용과 전선 간의 연결용으로 나뉘며,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이 영상은 압착 단자의 중요성과 사용 시 주의사항을 강조하며, 특히 일본에서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압착 단자의 현황을 설명합니다.

 

1. 소개 및 목적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와 특징을 소개함.

압착 단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이번에는 기계의 단자에 연결하는 압착 단자에 대해 설명함.

 

2. 압착 단자의 정의

압착 단자는 전선과 단자대를 연결하기 위한 필수 부품임.

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압착 도구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해 고정함.

과거에는 납땜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압착 단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3. 주요 제조사

주요 압착 단자 제조사로는 일본 압착 단자 산업, 일본 압착 단자 제조, 대도 단자 제조, 후지 단자 산업 등이 있음.

 

4. 압착 단자의 종류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는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의 4가지가 있음.

각 단자의 종류와 특징을 순서대로 설명함.

 

5. Y형 압착 단자

 

Y형 압착 단자는 Y자 형태로, 와이어 단자라고도 불림.

Y형 단자는 네지 볼트를 통해 연결되며, 전선 연결이 용이함.

단점 : 네지 볼트가 느슨해지면 전선이 빠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함. 주로 중요도가 낮은 회로에 사용됨.

 

 

6. 원형 압착 단자

 

 

- 원형 압착 단자는 원형 끝단을 가지며, R형, 마루탄이라고도 불림.

- 전선이 빠질 위험이 적어 감시 회로 및 전원 회로에 사용됨.

- 단점으로는 매번 네지를 풀어야 하므로 배선 효율이 떨어짐.

- JIS 기준을 준수해야 할 경우, 원형 단자를 사용해야 함.

 

 

 

7. 막대형 압착 단자

 

페루루 단자 (이런 타입이 늘고 있음)

막대형 압착 단자는 막대 모양으로, 삽입형이라고도 불림.

사용 빈도가 낮고, 주로 제어판 내에서 제한된 용도로 사용됨.

최근에는 페룰 단자와 같은 다른 단자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

 

 

 

8. 블레이드형 압착 단자

 

인버터 등에 블레이드 단자를

 

블레이드형 압착 단자는 판 형태로, 판형 또는 판상형이라고도 불림.

사용 예로는 미쓰비시 전기의 인버터 제어 회로의 단자대가 있음.

최근에는 페룰 단자가 사용되는 경우도 많음.

 

 

 

9. 압착 단자의 크기

 

 

 

압착 단자의 크기는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유사함.

예를 들어, 일본의 원형 압착 단자는 R1.25mm와 3.5mm가 있음.

알파벳은 단자의 형태를 나타내며, 숫자는 전선 적합 범위를 나타냄.

R : 원형

Y : Y형

TC : 봉

BT : 블레이드형

 

1.25mm : 전선보호 범위, 전선의 단면 사이즈, より線の場合 : 0.25~1.65mm

3.5mm : 구멍 직경(단자 설치 구멍)

 

전선 사이즈 (R1.25mm와 3.5mm) 사용범

 

 

 

10. 결론 및 참고 자료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에서 사용되는 압착 단자의 종류를 소개함.

압착 단자는 Y형, 원형, 막대형, 블레이드형 등이 있으며, 형태와 크기에 따라 사용 가능 전선 크기가 다름.

페룰 단자와 같은 다른 유형도 소개되었으며, 해외에서는 스프링식이나 푸시식 단자가 주류임.

일본에서는 여전히 압착 단자가 주로 사용됨.

더 알고 싶다면 2023년 일본 전기 산업 협회와 일본 전기 제어 기기 산업 협회가 발행한 자료를 참고하길 권장함.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KIZgHVGpT54

 

영상은 제어판 내부에 어떤 부품들이 들어있는지와 그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초보자와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를 위한 내용으로, 다양한 전기 기기와 그 기능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며,
각 부품의 중요성과 사용 방법을 강조합니다.
이 영상을 통해 제어판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소개 및 목적

이 영상은 제어판의 내부에 어떤 기기가 들어 있는지, 각 기기의 역할과 제어판의 기능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전기 기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초보자나 장비 유지보수 담당자, 기계 유지보수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다.

제어판의 구성은 기계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상에서는 자주 보이는 전기 부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산업에 따라 자주 보이는 기기는 다를 수 있다.

 

2. 단자대

제어판의 왼쪽과 오른쪽 이미지에서 빨간 테두리 부분은 단자대이다.

단자대는 전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중계 역할을 한다.

분전반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외부의 센서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나사식 단자대가 사용되며, 전선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돌린다.

감전 위험이 있어 대부분 투명한 커버로 덮여 있다.

 

3. 차단기(=브레이커)

차단기는 전원을 끄기 위한 기기로, 수동으로 전원을 끄거나 특정 전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한다.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있는 형태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다.

 

 

1. 배선용 차단기 : 큰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

2. 누전 차단기 : 누전 차단 기능 추가,

    누전 발생 시 전원을 끄지 않고 경고하는 기능이 있는 차단기가 있음(중요 회로 보호용)  

 

 

 

 

 

차단기를 오프 상태로 하지 않으면 제어판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차단기의 기본 구성은 큰 전류를 설정하는 메인 차단기와 여러 개의 작은 차단기 또는 서킷 프로텍터가 있다.

 

 

4. 서킷 프로텍터(= CP, 차단기)

 

 

서킷 프로텍터는 차단기와 유사하게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주로 용량이 낮은 회로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0.1A, 0.2A.... 등 다양한 정격 전류가 많이 있다. 

서킷 프로텍터는 크기가 작아 제어판 내 공간 절약에 기여한다.

 

 

 

5. 변압기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일반 모터는 AC200V가 필요하지만, 제어 기기는 AC100V가 필요할 수 있다. 

변압기는 전압을 낮추거나 높이는 데 사용된다.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 전압은 배선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서비스 콘센트

제어판 내에 서비스 콘센트가 있을 수 있다.

이 콘센트는 PLC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위한 PC용으로, 대전력 기기는 연결할 수 없다.

과거에 청소기를 연결해 회로가 차단된 사례가 있다.

 

7. PLC

PLC(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는 장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기이다.

PLC는 입력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간단한 제어의 경우 PLC 없이 배선만으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다.

 

8.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장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기기이다.

많은 제어 기기는 DC24V로 작동하므로, AC 전원을 직류로 변환해야 한다.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이 클수록 더 많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사진의 파워서플라이의 사양

입력 : 100~240V

출력 : 직류 24V, 용량 30W

 

9. 인버터

 

 인버터는 입력된 AC 전압을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로 컨베이어 모터나 펌프에 사용된다.

 

10. 서보 앰프

서보 앰프는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기기이다.

서보 모터는 높은 정밀도로 지정된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11. 릴레이

 

 

 

 릴레이는 전자기 접점을 열고 닫는 부품이다.

전자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접점이 열리거나 닫힌다.

 

12. 전자 접촉기

 

 릴레이와 차이점

 

릴레이를 크게 만든 느낌의 접촉기

전자 접촉기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접점을 여닫는 기기이다.

주로 모터, 히터, 램프 등의 부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주접점 : 모터의 전원 ON/OFF용

보조접점 : 주접점이 ON되면 ON이 되기 때문에, 모터가 운전한다는 신호를 PLC등에 전달할때 사용

 

그외 사용 용도

 

 

전자 개폐기

 

1. 전자 계폐기 : 전자접촉기에 서멀 릴레이를 추가 것

 

2. 서멀 릴레이 (과부하 보호용 릴레이)

모터 등의 부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부하 전류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접점을 개폐시킴

서멀릴레이는 모터를 ON/OFF하는 주회로를 차단하는것은 불가.

차단할 때는 조작회로(제어회로)에 서멀 릴레이를 접속함.                      

 

 

 

서멀릴레이 분해 : 전기의 힘으로 동작하지 않고, 열의 힘으로 동작 (바이메메탈)

 

 

 

13. 허브

 

 

허브는 PLC나 터치 패널을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할 때 필요하다.

최근에는 데이터 수집 및 원격 조작을 위한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14. 표시등 및 경고음

표시등은 장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다.

부저는 장비의 오작동이나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발하는 기기이다.

 

15. 결론

이번 영상에서는 제어판 내 전기 기기 부품을 소개했다.

제어판에는 다양한 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기기에 대해 배우면 장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채널의 다른 영상이나 블로그를 참고하길 권장한다.

 

 

반응형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서11

가상 모드(Simulation Mode)와 리얼 모드(Real Mode)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상 모드(Simulation Mode)

  • 정의: 실제 PLC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에서 PLC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테스트하는 모드
  • 사용 목적: 프로그램 디버깅, 논리 테스트, 오류 검출, 초기 개발 단계에서 사용
  • 특징:
    • 실제 입출력 장치(I/O) 없이 가상의 데이터 값을 사용
    • 실행 속도가 빠르며, 프로그램 수정이 용이함
    • 물리적 장비가 없어도 가상적으로 신호의 흐름을 확인 가능
    • 일부 특수 기능(타이머, 카운터, 통신 등)의 동작이 실제와 다를 수 있음

2. 리얼 모드(Real Mode)

  • 정의: 실제 PLC 하드웨어와 연결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모드
  • 사용 목적: 실제 장비 제어, 생산 공정 운영, 실시간 데이터 처리
  • 특징:
    • 실제 I/O 장치(센서, 모터, 밸브 등)와 연결되어 동작
    • 실시간 응답이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음
    • 디버깅이 어렵고, 프로그램 오류 시 장비 손상 위험 있음
    • 필드 테스트 및 최종 검증 단계에서 사용

주요 차이점 비교

구분 가상 모드(Simulation) 리얼 모드(Real)

실행 환경 소프트웨어 내에서 실행 실제 PLC 하드웨어에서 실행
입출력 방식 가상의 I/O 값 사용 실제 장비와 연결된 I/O 값 사용
프로그램 테스트 안전하게 테스트 가능 실제 장비 영향을 받음
속도 및 반응 빠른 시뮬레이션 가능 실시간 처리 요구됨
사용 목적 프로그램 개발, 디버깅 실제 공정 제어 및 운영
오류 발생 시 안전 (소프트웨어 내) 장비 오작동 및 손상 위험

결론

  • PLC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가상 모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 이후 리얼 모드에서 실제 장비와 연동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가상 모드는 개발 및 시뮬레이션에 유리하지만, 실제 동작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리얼 모드에서 최종 검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yPRbzFQumGM

 

반응형

 

[출처 : 전기청년]   

https://m.blog.naver.com/iclassici/222987220785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전기 상식 -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안녕하세요. 전기 청년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

blog.naver.com

 

1. 전압 3상(380V) 와 단상(220V)의 차이 

380V (3상 4선 차단기)

전기는 발전기에서 만들어질 때 3상으로 생산이 됩니다.

3개의 전선이 있습니다. 이를 각각 'R', 'S', 'T'라고 하며 상전압선 입니다.

(220V 단상의 상전압선도 'R', 'S', 'T' 중 한 선입니다.)

상전압선끼리는 380V를 만들어 냅니다.

'R'상 과 'S'상을 결합하면 380V

'R'상 과 'T'상을 결합하면 380V

'T'상 과 'S'상을 결합하면 380V

파란 동그라미 박스의 전선이 'N'상, 중성선이라고 합니다.

이 중성선을 통해 380V의 전압을 220V로 변전을 합니다.

'R'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S'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T'상 과 'N'상을 결합하면 220V

정리를 하면 380V의 3상전기는 380V 사용 뿐만 아니라 220V사용도 가능하며, 3개의 단상교류를 하나로 통합합니다.

사진출저 : 김기사의 e-쉬운전기 (저자 : 김명진 / 출판사: (주) 성안당)

 

 

 

380V(3상)전기 사용하는 이유

 

380V 3상 교류는 220V 단상교류에 비하여 전기를 송전하는데 경제적이며, 380V와 220V를 동시에 사용도 가능합니다. 또한 전력효율이 높아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이 됩니다.

장점

(1) 전력효율이 단상교류전기에 비해 좋습니다.

(2)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3) 단상에 비해 송배전이 경제적입니다.

(4) 허용전류가 단상에 비해 차단기 용량이 줄일 수 있습니다.

(5) 가장 큰 장점은 3상 4선식의 경우 220V와 380V를 동시에 사용 가능합니다.

가정용 전기는 380V(3상 4선식)으로

승압이 안되나요?

그렇다면 380V 사용도 가능하고, 220V도 3개가 사용이 가능하며, 만들어 질 때 부터 3상으로 만들어졌는데 왜 가정에서는 220V 단상만 사용을 할까요?

첫번째, 안전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사진출처 : 픽사베이 (www.pixabay.com)

예를들어 110V -> 220로 승압시 전압이 2배가 높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은 4배가 됩니다. 그만큼 감전의 위험도 4배가 증가한다는 이야기겠지요.

380V의 감전은 사망 및 부상의 위험도를 훨씬 높입니다.

2. 비용문제

말 그래도 천문학적 비용이 듭니다.

110V에서 220V로 승압할 때, 우리나라는 당시 새마을 운동으로 전국적으로 개발공사가 한창이였으며, 정부의 의지도 강했습니다.

당시 220V 승압공사 누적 투자비용만 1조 4000억원, 연인원 754만 명이 투입되었습니다.

만약 380V로 승압을 한다면 이미 발전소 및 전봇대까지는 380V가 되어 있기때문에

예전만큼은 큰 공사는 아니지만, 각 가정에 들어간 계량기 및 1차측 전선과 더불어 분전함, 차단기 등 모든것을 교체해야 합니다.

또한 당시보다 인건비 및 재료비 등 물가상승폭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돈이 아니지요.

뿐만아니라 380V를 사용하게 되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와 가전제품들도 전부 바꿔야 합니다.

비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우리의 안전을 위해서도 380V 승압은 힘듭니다.

반응형

 

1 프로젝트 구조 설명 Ver2 0

https://www.youtube.com/watch?v=xF-eH_p4KTM&list=PLl7rvubFsuNiii06WYFZjw7Q3xD30p4kj&index=1

 

 

반응형

XGB PLC의 출력구조 설명(XBC DR20SU모델)

 

https://youtu.be/4yK5vFUMnsQ?si=NGu5VInzUHswtc_y

 

 

직장생활 결국 #plc cpu 교체후 프로그램 수정 후 업로드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Vi01lQ9Ngc

 

 

 

PLC 접점불량- 시퀀스 회로변경하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DwPDsgld_M

 

 

 

콘트롤 제어함 누전 찾기

https://www.youtube.com/watch?v=urFm2sD-6DY

 

번호없는 조작선 결선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LUBkgg08c8s

 

 

계측기는 왜 4~20mA가 사용되는 것일까? (자동제어 소피디)

https://www.youtube.com/watch?v=7CbDUX6qjqY

 

(공압시스템에 대해) 공압시스템이란 무엇이고, 계장공기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https://www.youtube.com/watch?v=030IvDTsXSM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wZQCK3BpH9k

 

 

https://www.youtube.com/watch?v=6O75pVy-Ie0

 

 

소비전력 (P = VI )

전력 P=VI[W]는 단위 시간(1초)에 소비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t초간 사용하였을 때의 에너지 H[Ws]는 H=Pt[Ws]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P[W]에 사용 시간 t[s]를 곱한 양을 전력량이라고 한다.

 

3상 소비전력 = √3 x V(전압)  x I(전류)                   

3상 계산 : 25kW(단상) x 1.732 = 43.5kW(3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