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의 간장 공장에서 종이팩(카톤팩)에 핫필링(Hot Filling)하는 공정은 위생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1. 원료 준비 및 간장 살균

1. 원재료 혼합: 대두, 밀, 소금 등을 발효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숙성 과정을 거침.


2. 여과 및 살균:

이물질 제거를 위해 마이크로 필터링(Microfiltration) 진행.

80~90°C 정도의 고온 살균(HTST: High-Temperature Short Time) 또는 UHT(초고온 살균, Ultra-High Temperature) 처리.

살균된 간장은 즉시 핫필링 공정으로 이동.





---

2. 종이팩 살균 및 준비

1. 종이팩(카톤팩) 살균

포장재 내부를 과산화수소(H₂O₂) 또는 자외선(UV) 살균.

종이팩 내부에 사용된 코팅(폴리에틸렌, 알루미늄층 등)이 고온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됨.



2. 충전기 내 무균 환경 유지

SK-S30과 같은 자동 충전기 내부는 HEPA 필터로 공기 정화.

작업 공간을 클린룸 등급으로 관리하여 외부 오염 방지.





---

3. 핫필링 (Hot Filling) 과정

1. 80~90°C 온도의 간장 충전

SK-S30 충전기는 온도 센서를 통해 적정 온도 유지.

종이팩이 변형되지 않도록 충전 속도를 조절.



2. 즉시 밀봉 (Heat Sealing or Ultrasonic Sealing)

충전 직후 즉시 고온 밀봉하여 외부 오염 방지.

일부 공장은 무균 밀봉(Aseptic Sealing) 기술 적용.



3. 충전 후 급속 냉각

밀봉된 종이팩은 **급속 냉각 시스템(Cold Air or Water Cooling)**을 통해 25~30°C로 빠르게 냉각.

이 과정이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고, 종이팩의 변형을 최소화함.





---

4. 유통기한 테스트 및 품질 검사

1. 밀봉 검사

초음파 검사 또는 압력 테스트를 통해 밀봉 상태 확인.



2. 미생물 검사

핫필링 후 샘플링하여 미생물 검출 테스트 진행.



3. 유통기한 안정성 테스트

온도 조건(저온, 실온, 고온)에서 저장 후 품질 변화 평가.



4. 라벨링 및 포장

종이팩에 유통기한, 제조일자 인쇄 후 최종 박스 포장 진행.





---

핫필링 종이팩 간장의 특징

✅ 무균 상태 유지: 열을 이용한 충전 및 밀봉으로 보존제 없이도 장기 보관 가능.
✅ 고온 충전에 적합한 패키징 필요: 종이팩의 내부 코팅이 내열성을 갖춰야 함.
✅ 냉각 과정이 중요: 충전 후 빠르게 냉각하지 않으면 품질 저하 위험.

이 방식은 아사히, 기코만, 야마사 등 일본의 주요 간장 제조업체에서 사용되며, 일부 공장은 아셉틱 충전(Aseptic Filling, 무균 충전) 방식으로 전환하여 더욱 긴 유통기한을 확보하기도 합니다.


+ Recent posts